독자와 작가 사이 칼을 넘어서는 방법
세계를 균열하는 작품 스물여섯 권에 대한 읽기 방법. <채식주의자>부터 <모비 딕>, <예루살렘의 아이히만>까지 문학의 아름다움과 함께 텍스트에 빠져드는 감각을 느껴보자.
<세상 끝의 살인> 아라키 아카네 신작
범행 수법 외에는 공통점을 찾을 수 없는 시간도, 배경도, 등장인물도 전혀 다른 1막과 2막. 두 이야기가 하나로 이어지는 순간 놀라운 진실이 드러나는 사회파 미스터리.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는 과학의 세계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사계절을 둘러싼 익숙한 장면들이 ‘물리학’이라는 언어로 새롭게 탄생한다. 작고 정교한 법칙들이 움직이는 세상과 우리가 무심코 지나쳐온 인생의 모든 순간에 대하여.
죽은 자의 영혼이 꽃으로 피어난다면
세상을 떠나버린 사랑하는 이와 딱 한 번만이라도 다시 만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안녕과 위로를 전하는 동양 판타지 소설.
“우린 무언가를 할 때마다 실패도 하고 상처도 입고 후회도 하지. 관계가 잘못되어 마음이 무너지기도 해. 사는 동안 몇 번이고 마음이 무너지지. 하지만 중요한 건 다시 하는 거야.”
빈님다이묘에 대한 정의를 명쾌히 한 책.다만 다케다 신겐 표기 단어가 한 부분이 영어로 오타났음.거의 한 단락이 그랬는데 편집을 제대로 하지않아 그런 듯.편집이 아쉽다.같은 출판사의 다른 책도 읽어보고 싶네.
태인님이재명 지음
구병모 지음
김영편입 컨텐츠평가연구소 지음
개리 R. 레너드 지음, 이균형 옮김
이선 몰릭 지음, 신동숙 옮김
유진 피터슨 지음, 김순현 외 옮김, 김회권 외 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