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학과 의사가 들려주는 의학교양
응급의학과 전문의이자 작가로, 생생한 의료 현장의 이야기와 인간적 통찰을 담은 글로 독자들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 남궁인이 5년 만에 신작으로 돌아왔다.
호모 날레디, 인류 진화사를 뒤흔든 신인류의 발견과 다시 읽는 인류의 기원
지난 2013년, 그간 깊은 동굴 속에 파묻혀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인류종, 호모 날레디가 ‘현생인류’라 부르는 호모 사피엔스가 부상한 것으로 알려진 아프리카에서 화석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호모 사피엔스만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행위들이 결코 사피엔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여러 근거도 발견되었다. 《케이브 오브 본즈》는 이런 호모 날레디의 발견이라는 중대한 사건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인류 진화사에 엄청난 충격과 논란을 불러일으키게 된 것인지 다루며 호모 날레디라는 신인류의 존재를 정의하고 살피고자 한다.
최재천 추천
모든 동물은 먹고 싸고 죽는다. 그런데 그다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생태학자 조 로먼은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자연의 숨은 순환 고리를 집요하게 추적한다. 동물이 배설하고 사라진 자리에 또 다른 생명이 움트고, 남겨진 배설물과 사체는 이동과 분해를 거쳐 에너지와 영양분으로 바뀐다. 그렇게 생태계를 타고 흐르며 숨겨진 순환의 고리를 이룬다. 저자는 이 보이지 않는 흐름이야말로 지구를 살아 있게 하는 근본적인 동력이라고 되짚는다.
미래를 결정할 치열한 금속 전쟁
전작 『모래가 만든 세계』에서 우리가 미처 보지 못한 모래라는 물질 이면에 있던 현실을 고발하고 비밀을 파헤쳐 베스트셀러 작가 반열에 오른 빈스 베이저는 이번에 우리의 미래를 결정지을 핵심 금속의 세계를 탐사한다. 친환경 기술을 뒷받침하고 디지털 세계를 구현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리튬, 구리, 니켈, 코발트, 희토류의 현실을 파악하기 위해서 칠레, 나이지리아, 미국 등 전 세계를 누비며 고철 수집원에서부터 억만장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을 만난다.
『조이 럭 클럽』의 에이미 탄, 새들의 경이로운 드라마를 발견하다
2016년, 64세의 탄은 가짜뉴스와 혐오가 일상화되고 그 어느 때보다 나라가 분열된 현실에 압도당했다. 위안과 평화를 찾기 위해 그녀는 자연으로 눈을 돌렸다. 자연 일지 수업에 나가 그림을 배우고, 탐사 모임에 참석해 새들을 관찰했다. 그러다 문득 자기 집 뒷마당에도 새들이 무척 많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곳을 새들의 천국으로 만들기로 결심한다. 다시 말해 이 책은 탄이 2017년에서 2022년까지 6년간 뒷마당 새들을 관찰하며 작성한 일지 중 90편을 모아 약간의 글을 보탠 것이다.
느낌의 공동체에서 사고의 공동체로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단순한 수정이 아니라 ‘4부 새로운 세상을 위한 공감 교육’, ‘5부 사고의 공동체를 조직하는 정치’를 새로 마련하여 대한민국의 미래에 가장 중요한 두 축, 교육과 정치 분야에서 어떤 혁신을 이뤄내야 인지적 공감의 반경을 넓힐 수 있는지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