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 의료 비즈니스의 시대 사람은 생각하는 대로 된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나는 언제나 삶에 미소지었다"
이것은 라울 뒤피에 관한 이야기
이소영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혹독했던 2023년의 여름도 느리게 떠나가고 있다. 1877년 태어나 1953년에 사망한 프랑스인 화가 라울 뒤피의 그림은 2023년 예술의전당, 더현대서울 등의 미술관에서 2023년 여름 한국 관객을 만났다. 르아브르 해변에서 만난 삶의 기쁨을 악보에 놓인 음표처럼 그린 화가 라울 뒤피의 그림에서 우리에게 이 여름이 어떤 의미일지를 다시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최신작 <하루 한 장, 인생 그림>을 통해 한 화가를 발견해 자신의 삶의 풍경에 작품을 놓는 것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한 '아트메신저' 이소영이 라울 뒤피의 삶에 대해 들려준다. 리듬감이 느껴지는 감각적인 표지를 열면 인상파, 야수파, 입체파를 넘나들며 회화와 도서 삽화(아폴리네르의 <동물시집>의 삽화를 뒤피가 그렸다.), 태피스트리와 패션을 오가며 경계를 벗어나 아름다움을 추구한 한 화가의 열정을 200여 점의 도판과 함께 만날 수 있다. 라울 뒤피가 활동한 20세기 초 역시 혹독한 시대였다. 화가가 그토록 사랑한 바다, 노르망디 해변이 세계대전으로 파괴되는 아픔을 겪고서도 화가는 자신의 마음에 놓인 아름다움을 향해 눈을 돌렸다. 음악과 바다를 사랑한 화가가 칠한 파란 캔버스를 보며 다음 여름의 파랑을 기대해보는 것은 어떨까. - 예술 MD 김효선
이 책의 한 문장
그가 남긴 말인 "삶은 나에게 미소짓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언제나 삶에 미소지었다.", "내 눈은 추한 것은 지우게 되어 있다"라는 문장을 곱씹어 보면 그가 죽는 날까지 그림에 고통과 슬픔보다는 희망과 행복, 낙관을 담고 싶어 했음을 알 수 있다. 뒤피의 작품을 보면 세상은 끝끝내 아름다울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북트레일러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미야베 미유키, 기담을 모으는 주머니 가게"
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에도의 주머니 가게 '미시마야'는 손님을 초대하여 그가 직접 겪은 기이한 이야기를 청취하는 '괴담 자리'로 명성이 높다. 너무도 괴이하여 타인에게 쉽게 털어놓기 어려운 사연을 풀어내고 마음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도록 하는 자리다. 듣는 이는 미시마야의 차남 도미지로. 그는 이야기를 전해 들은 후 떠오르는 단상을 그림으로 그려 오동나무 상자에 봉해 넣는 의식을 통해 이야기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도록 예방하고 있다.

보슬비가 거리를 적시는 가을, 웃는 방법을 잃어버린 이야기꾼이 괴담 자리를 찾아온다. 그간 누구도 믿어주지 않을 것이라 여겨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그의 이야기는 유년기로 향한다. 무시무시한 저주에 씌어 고통받는 소중한 사람을 위해 그 저주를 대신 받고자 했던 아이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오직 신들만이 출입할 수 있는 도박장에 불시착한다. 인간계의 시간과는 다른 시간이 흐르는 그곳에서 고용살이를 하며 보낸 세월은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뒤바꾸어 놓는다. "이야기하고 버리고, 듣고 버린다." 말하는 이도 듣는 이도 명심해야 할 이곳의 가장 중요한 규칙을 지키며 괴담 자리는 계속된다. - 소설 MD 권벼리
이 책의 첫 문장
에도 간다 미시마초에 있는 주머니 가게 미시마야는 흑백의 방이라는 객실에 손님을 초대하여 조금 특이한 괴담 자리를 마련해왔다.

추천의 글
『삼가 이와 같이 아뢰옵니다』는 시대 소설에 ‘좀비물’의 요소를 융합시킨 야심작이다. 밤의 산촌(山村)을 삼키면서 배회하는 '인간이 아닌 자'들로 인한 두려움! 공포 액션 영화 특유의 좀비와의 공방을 박력 넘치게 그리는 한편으로, 재앙에 의해 생활이 파괴된 사람들의 모습도 저자는 세심하게 짚어내고 있다. 서로 몸을 의지하며 '인간이 아닌 자'로부터 도망치는 마을 사람들의 모습은, 흡사 요즘의 일본 정세를 방불케 한다.
- 아사미야 운가 (서평가)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한국의 의료 체계, 정상인가요?"
의료 비즈니스의 시대
김현아 지음 / 돌베개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간혹 길고 자세한 진단을 해주는 의사를 만나면 일순간 놀랐다가, 퉁명한 대답이 돌아올까 봐 지레 삼켜뒀던 질문들을 부랴부랴 꺼낸다. 잘 오지 않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긴긴 대기와 무엇인지도 모를 검사, 지나치게 단순한 진단. 한국의 병원에선 대체로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일반인 환자의 입장에서는 늘 불유쾌한 경험이긴 하나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 꼽아 말하긴 어렵다. 내과 교수인 저자가 쓴 이 책은 지금 한국의 의료 체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요소별로 나누어 살핀다.

책은 병원에 간 환자가 겪는 상황, 그리고 병원에서 일하는 의사의 상황을 각각 짧은 소설처럼 묘사하여 각자의 고충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자세한 진단은 듣지도 못하고 의미 없는 검사를 계속하는 환자와 3분마다 다른 환자를 받아야 하는 의사. 이 문제는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왜 해결되지 못하고 있나? 저자는 낮은 진찰료, 이를 메꾸기 위한 과도한 검사, 자본에 종속된 병원, 수익만 좇는 제약회사와 의료기업, 전문성을 잃어가는 의사 등 의료 체계를 둘러싼 모든 주체를 돌아보며 하나하나 문제를 따져보고 해결 방안까지 내어 놓는다. 무엇이 어떻게 문제인지도 알기 어려운 의료 환경에 대한 개괄적 이해에 도움이 되는 책이다. - 사회과학 MD 김경영
이 책의 한 문장
불필요한 검사로 인한 의료 재원의 낭비는 아직까지 정책적으로 제대로 다루어진 적이 없는 영역이다. 많은 환자가 도대체 병원에 가면 검사 말고 하는 게 뭐냐는 불만을 토로한 지 오래된 것을 감안하면 희한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고가 검사는 여러 건 찍으면 경제적 부담이 바로 체감되기 때문에 쉽게 논란을 불러일으키지만, 건당 수가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검사실 검사들은 가랑비에 옷이 다 젖듯, 보일 듯 말 듯 의료 재정을 좀먹는다.

북트레일러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성공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생각한다”
사람은 생각하는 대로 된다 (양장)
얼 나이팅게일 지음, 정지현 옮김 / 빌리버튼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얼 나이팅게일은 192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그의 아버지는 가족을 버리고 떠났고, 두 형과 책을 사랑하는 어머니와 함께 롱비치의 ‘텐트 시티’에서 궁핍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는 12세 때부터 “왜 어떤 사람들은 부유하고 어떤 사람들은 가난하지?”라는 물음을 품었고, 공공도서관의 책 속에서 그 비밀을 찾고자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독서광이 되었다. 17세가 되던 해 학교를 그만두고 해병대에 입대하였고, 잭슨빌 방송국에서 아나운서로 일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 와중에도 계속해서 유년 시절 품었던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독서를 계속하였는데, 29세가 된 어느 날 나폴레온 힐의 <생각하라 그리고 부자가 되어라>를 읽던 중 자신이 오랜 세월 똑같은 진실을 계속 읽어왔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것은 ‘사람은 생각하는 대로 된다(We become what we think about)'는 여섯 단어였다.

그는 자신이 깨달았다고 여긴 진리를 라디오, 오디오, 비디오, 강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전달했다. 그는 연설을 통해 긍정적 사고, 동기부여, 잠재력 등에 대해 말하며 수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에는 자기계발의 대가로 일컬어지는 웨인 다이어나 밥 프록터, 존 소포릭 같은 사람들도 있었다. 그는 사망하기 2년 전인 1987년 이 책을 집필하여 자기 생각을 집대성하였다. 그에 따르면, 성공한 사람은 문제가 없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 사람이라고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생각을 집중하고 마음을 쏟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며, 그들은 그 목표를 향해 움직이고, 포기하지 않고 버티고 도전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원하는 것을 결국 얻는다. 그래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생각하며. 그 생각이 성공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 자기계발 MD 박동명
이 책의 한 문장
목표가 없다면 보트가 있지만 갈 데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목표는 원하는 것을 달성할 때까지 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필요한 추진력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북트레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