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남 6녀 딸부잣집 셋째로, 차별에 속을 끓이며 ‘내 손으로 벌어서 먹고살 거야!’ 결심했다. ‘결혼 안 했거나 못했을 것, 아이 없을 것, 아들만 있을 것 같다’는 평을 자주 받는데, 다 오해다. 티격태격하면서도 남편은 가장 믿는 인생 파트너다. 딸 둘이라서 더 속 깊은 휴머니스트, 리얼리스트, 페미니스트로 살아가려 한다.
시대를 앞서 건축과를 택했는데, 서울대 공대에 다니며 남자 세상에서 살아남는 비결을 세게 익혔다. 미 MIT에서 도시계획학 박사를 따면서, ‘분수를 지키며 분수를 키운다’는 소신과 팀플레이에 대한 열망을 키웠다. 미 《타임》이 ‘21세기 리더 100인’에 꼽아서 유명세를 치렀으나 리더십을 성찰하게 된 건 성장의 큰 자극이었다.
‘변화에 대한 희망’이라 정치를 정의한다. 18대 국회에서 4대강 사업의 진실을 파헤치는 전사로 활약했고, 21대 국회 법사위원회에서는 상식의 힘으로 주목받았다. 열린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로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에 패한 후 의원직을 사퇴해서, 희귀한 헌정 기록을 남겼다.
일 년에 한 권꼴로 책을 쓰며 에너지를 분출하고 또 채운다. 첫 책 『서울성』으로부터 30여 권을 썼다. ‘김진애너지’는 가장 오래된 별명이고 ‘김진애어컨’, ‘킹진애’, ‘진애 형님’이라 불린다.
저는 정치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정치란 한정된 자원을 지혜롭게 배분하는 기술이며, 정치란 갈등을 조정하고 줄이는 행위이고, 정치란 다양한 이해집단의 균형적 관계를 세우는 행위이며, 정치란 사회 약자와 소수자도 행복하게 해주는 기술이며, 정치란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가치를 공유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렇게 보면 공간정치란 정치의 정의에 너무나도 딱 들어맞습니다. '누가, 누구를 위하여, 왜, 어디에, 어떻게, 무슨 공간을 만들고 누리게 하느냐'가 공간정치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