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반수연

최근작
2023년 10월 <당신은 나를 이방인이라 부르네 (표지 5종 중 1종 랜덤)>

반수연

통영에서 태어나 1998년 캐나다 밴쿠버로 이주했다. 공장 지대에 식당을 열고 오지 않는 손님을 기다리며 카운터에 앉아 내내 책을 읽었다. 2002년 식당이 망하고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200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메모리얼 가든」이 당선되며 등단했다. 청탁도 없고 기억하는 이도 없이 서서히 잊혔다. 2014년 다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네 차례 재외동포문학상을 받았으며, 그중 2020년에는 「혜선의 집」으로 대상을 받았다. 등단 16년 만인 2021년 소설집 『통영』과 산문집 『나는 바다를 닮아서』 등을 펴냈다.  

대표작
모두보기
수상내역

저자의 말

<선량하고 무해한 휴일 저녁의 그들> - 2023년 1월  더보기

빅터 아일랜드 “남자가 없는 집에서 자랐다. 아버지는 일찍 죽었고 오빠들은 각자의 가정으로 가버렸다. 마흔에 과부가 된 어머니는 함께 사는 네 딸 대신에 죽은 남자를 원망하고 오지 않는 아들을 그리워하며 평생을 보냈다. 어머니의 생은 남자의 유령에서 한시도 벗어나지 못했다. 나의 생은 그런 어머니의 생과 좀체 유리되지 못했다. 나는 남자를 모른 채 남자가 없는 여자들에 둘러싸여 자랐다. 세상에 남자 없는 이야기가 어디 있을라구, 화끈한 연애 소설이나 써야지. 남성 서사를 써보자 했을 때 재밌겠다며 맞장구쳤던 걸 이 소설을 쓰는 내내 후회했다. 나의 대부분의 성장 과정 속에서 남자는 부재했고 남겨진 여자는 불행했다. 그러니 나는 남자를 몰랐다. 평범한 남자와 결혼하고 아들을 낳아 갓난쟁이가 성인이 될 때까지 키웠지만 여전히 나는 남자를 알 수 없었다. 도대체 남성 서사라는 게 뭐란 말인가. 산문집을 내느라 두 달을 한국에 머물다 어제 돌아왔다. 돌아오자마자 마감이 지난 작가노트를 쓰려고 노트북 컴퓨터를 열었다. 집이 캐나다에 있으니 돌아온다는 표현을 쓰긴 하지만, 비행기를 타기 전 친구들에게 보낸 작별 문자에는 곧 한국으로 돌아오겠다, 고 썼다. 언제부턴가 어디가 나의 원점인지 헷갈린다. 어디로 가는 게 돌아오는 건지 모르겠다. 이젠 돌아온다는 표현을 쓸 때면 모르는 문제를 받아 든 것처럼 잠시 골똘해진다. 골똘해질수록 더 미궁이다. 모국어가 없는 곳에서 그것의 부재를 써온 시간이 길었다. 부재는 존재를 증명한다 했던가. 그건 끊임없이 모국과 모국어를 생각하는 시간이었다. 남자 이야기를 쓰는 동안 나는 남자 없는 여자들의 삶을 더 오래 생각했다. 남자의 부재는 여자의 불행으로 존재를 증명하고 있었을까. 내가 보고 겪은 삶은 얼마간 그랬다. 하지만 두어 달 남자 이야기를 쓰고 나니 그런 생각이 든다. 모국과 이국. 남자와 여자. 어쩌면 중요한 건 그게 아닌지도 모르겠다. 이야기의 마침표를 찍고 나니, 원점이 어딘지 더 모르겠다. 그래서 남자 이야기가 아니라 그냥 사람 사는 이야기가 되어버린 것도 같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