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우치의 친구가 되면 좋겠어
전우치는 약 400년 전 조선시대에 실제 살았던 사람이야. 도술 공부에 빠져 관직도 그만두고 은둔해서 살았다고 해. 전우치가 죽은 후 무덤을 팠을 때 시체가 없더라는 기록이 남아 있지.
그 당시에도 나같이 호기심 많은 사람들이 많았나 봐. 전우치에 대한 기이한 소문들이 사람들 사이에 돌기 시작했고 그 이야기들이 모여 《전우치전》이라는 고전 소설이 되었다고 해. 전우치 이야기를 읽다 보면 떠나지 않는 궁금증이 있어.
‘전우치는 진짜 어디로 갔을까?’
《안녕, 전우치?》는 이런 궁금증에 상상을 보태서 만들었어. 전우치가 지금까지 살아있고, 심지어 옆집에 살고, 게다가 내 친구였으면 정말 좋겠다는 상상. 이야기를 만들며 어릴 적 장난꾸러기 친구들을 많이 떠올렸어. 낮에는 모든 걸 함께하며 놀고, 해가 지면 각자 집으로 돌아가던 기억.
‘친구는 무슨 반찬으로 저녁을 먹고 어떤 집에서 어떤 이불을 덮고 잘까?’
‘내가 엄마 아빠에 관해 물었을 때 친구는 왜 표정이 순간 슬퍼졌을까?’
정말로 좋아하는 친구지만 내가 아는 건 별로 없었지. 좋아하면서도 늘 궁금한 게 친구가 아닐까? 전우치는 뭐든지 알 것 같은 흰머리를 가졌고, 무슨 일이든 해결하는 도술을 지녔으며, 언제나 내 곁에 있어 주는 든든한 친구야. 그러면서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늘 나를 궁금하게 해. 400년 전 사람이 왜 현대로 와서 살고 있는지, 전우치의 책장에 있는 그 많은 책은 다 무슨 내용인지, 전우치 머리는 왜 하얀지. 분명한 건 내가 이 친구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점이야.
이 책을 보는 친구들도 전우치처럼 좋은 친구가 있으면 좋겠어. 또 이 책의 주인공, 전우치를 친구로 삼았으면 좋겠어.
너도 우치의 친구가 되면 좋겠어
전우치는 약 400년 전 조선시대에 실제 살았던 사람이야. 도술 공부에 빠져 관직도 그만두고 은둔해서 살았다고 해. 전우치가 죽은 후 무덤을 팠을 때 시체가 없더라는 기록이 남아 있지.
그 당시에도 나같이 호기심 많은 사람들이 많았나 봐. 전우치에 대한 기이한 소문들이 사람들 사이에 돌기 시작했고 그 이야기들이 모여 《전우치전》이라는 고전 소설이 되었다고 해. 전우치 이야기를 읽다 보면 떠나지 않는 궁금증이 있어.
‘전우치는 진짜 어디로 갔을까?’
《안녕, 전우치?》는 이런 궁금증에 상상을 보태서 만들었어. 전우치가 지금까지 살아있고, 심지어 옆집에 살고, 게다가 내 친구였으면 정말 좋겠다는 상상. 이야기를 만들며 어릴 적 장난꾸러기 친구들을 많이 떠올렸어. 낮에는 모든 걸 함께하며 놀고, 해가 지면 각자 집으로 돌아가던 기억.
‘친구는 무슨 반찬으로 저녁을 먹고 어떤 집에서 어떤 이불을 덮고 잘까?’
‘내가 엄마 아빠에 관해 물었을 때 친구는 왜 표정이 순간 슬퍼졌을까?’
정말로 좋아하는 친구지만 내가 아는 건 별로 없었지. 좋아하면서도 늘 궁금한 게 친구가 아닐까? 전우치는 뭐든지 알 것 같은 흰머리를 가졌고, 무슨 일이든 해결하는 도술을 지녔으며, 언제나 내 곁에 있어 주는 든든한 친구야. 그러면서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늘 나를 궁금하게 해. 400년 전 사람이 왜 현대로 와서 살고 있는지, 전우치의 책장에 있는 그 많은 책은 다 무슨 내용인지, 전우치 머리는 왜 하얀지. 분명한 건 내가 이 친구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점이야.
이 책을 보는 친구들도 전우치처럼 좋은 친구가 있으면 좋겠어. 또 이 책의 주인공, 전우치를 친구로 삼았으면 좋겠어.
너도 우치의 친구가 되면 좋겠어
전우치는 약 400년 전 조선시대에 실제 살았던 사람이야. 도술 공부에 빠져 관직도 그만두고 은둔해서 살았다고 해. 전우치가 죽은 후 무덤을 팠을 때 시체가 없더라는 기록이 남아 있지.
그 당시에도 나같이 호기심 많은 사람들이 많았나 봐. 전우치에 대한 기이한 소문들이 사람들 사이에 돌기 시작했고 그 이야기들이 모여 《전우치전》이라는 고전 소설이 되었다고 해. 전우치 이야기를 읽다 보면 떠나지 않는 궁금증이 있어.
‘전우치는 진짜 어디로 갔을까?’
《안녕, 전우치?》는 이런 궁금증에 상상을 보태서 만들었어. 전우치가 지금까지 살아있고, 심지어 옆집에 살고, 게다가 내 친구였으면 정말 좋겠다는 상상. 이야기를 만들며 어릴 적 장난꾸러기 친구들을 많이 떠올렸어. 낮에는 모든 걸 함께하며 놀고, 해가 지면 각자 집으로 돌아가던 기억.
‘친구는 무슨 반찬으로 저녁을 먹고 어떤 집에서 어떤 이불을 덮고 잘까?’
‘내가 엄마 아빠에 관해 물었을 때 친구는 왜 표정이 순간 슬퍼졌을까?’
정말로 좋아하는 친구지만 내가 아는 건 별로 없었지. 좋아하면서도 늘 궁금한 게 친구가 아닐까? 전우치는 뭐든지 알 것 같은 흰머리를 가졌고, 무슨 일이든 해결하는 도술을 지녔으며, 언제나 내 곁에 있어 주는 든든한 친구야. 그러면서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늘 나를 궁금하게 해. 400년 전 사람이 왜 현대로 와서 살고 있는지, 전우치의 책장에 있는 그 많은 책은 다 무슨 내용인지, 전우치 머리는 왜 하얀지. 분명한 건 내가 이 친구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점이야.
이 책을 보는 친구들도 전우치처럼 좋은 친구가 있으면 좋겠어. 또 이 책의 주인공, 전우치를 친구로 삼았으면 좋겠어.
이상한 마을에 놀러 올 때가 진짜 좋은 때다.
어쩌다 머릿속에서 이런 이야기들이 나왔을까? 콩 심은 데 콩 나듯이 어릴 적 내가 잠들었을 때 누군가 이런 이야기를 내 머릿속에 심어 둔 건 아닐까? 엄마, 아빠가 그랬을까?
엄마, 아빠는 일하시느라 늘 바빴으니 그럴 시간은 없었을 것 같다. 그럼 누가 내 머릿속에 이야기를 심어 놓았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이상한 마을에 관한 이상한 이야기의 시작은 그야말로 이상한 일이다.
처음에는 마크 트웨인이 쓴 《허클베리 핀의 모험》처럼 현실에 바탕을 둔 모험극을 그려 보고 싶었다. 내 머릿속에서 마크 트웨인이 나올 리 없었고 이야기는 처음 계획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달리기 시작했다.
평소에 하던 이런저런 공상과 조금씩 이상한 생각 들이 뒤섞여 나조차도 정체를 알 수 없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이야기를 만드는 동안 미완성인 지도를 들고 도착지도 모른 채 바다를 항해하는 기분이었다. 그런데 이 책의 원고가 끝나고 마침내 지도가 완성이 되었을 때 헛된 모험 아니었구나 하는 안도감이 들었다. 이 책은 유난히 흠뻑 정이 든 작품이다.
자유롭고 유쾌한 시도를 할 수 있어서 좋았고 ‘고치’와 ‘봉구’, ‘누에’를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재밌게 봤던 영화, 재밌게 읽은 책,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한 좋은 기억은 돌이켜 봐도 질리지 않고 키득거리며 되새김질하게 된다. 내 이야기가 어디서 시작되었고 내가 이야기를 언제 멈출지 알 수는 없지만, 내 이야기가 먹어도 먹어도 질리지 않는 짜장면, 짬뽕, 단물 빠진 껌, 엄마 냄새처럼 친구들에게 기분 좋게 기억되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나만 아는 멋진 명언 하나를 소개하며 글을 마칠까 한다.
“이상한 마을에 놀러 올 때가 진짜 좋은 때다.”
이상한 마을에 놀러 올 때가 진짜 좋은 때다.
어쩌다 머릿속에서 이런 이야기들이 나왔을까? 콩 심은 데 콩 나듯이 어릴 적 내가 잠들었을 때 누군가 이런 이야기를 내 머릿속에 심어 둔 건 아닐까? 엄마, 아빠가 그랬을까?
엄마, 아빠는 일하시느라 늘 바빴으니 그럴 시간은 없었을 것 같다. 그럼 누가 내 머릿속에 이야기를 심어 놓았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이상한 마을에 관한 이상한 이야기의 시작은 그야말로 이상한 일이다.
처음에는 마크 트웨인이 쓴 《허클베리 핀의 모험》처럼 현실에 바탕을 둔 모험극을 그려 보고 싶었다. 내 머릿속에서 마크 트웨인이 나올 리 없었고 이야기는 처음 계획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달리기 시작했다.
평소에 하던 이런저런 공상과 조금씩 이상한 생각 들이 뒤섞여 나조차도 정체를 알 수 없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이야기를 만드는 동안 미완성인 지도를 들고 도착지도 모른 채 바다를 항해하는 기분이었다. 그런데 이 책의 원고가 끝나고 마침내 지도가 완성이 되었을 때 헛된 모험 아니었구나 하는 안도감이 들었다. 이 책은 유난히 흠뻑 정이 든 작품이다.
자유롭고 유쾌한 시도를 할 수 있어서 좋았고 ‘고치’와 ‘봉구’, ‘누에’를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재밌게 봤던 영화, 재밌게 읽은 책,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한 좋은 기억은 돌이켜 봐도 질리지 않고 키득거리며 되새김질하게 된다. 내 이야기가 어디서 시작되었고 내가 이야기를 언제 멈출지 알 수는 없지만, 내 이야기가 먹어도 먹어도 질리지 않는 짜장면, 짬뽕, 단물 빠진 껌, 엄마 냄새처럼 친구들에게 기분 좋게 기억되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나만 아는 멋진 명언 하나를 소개하며 글을 마칠까 한다.
“이상한 마을에 놀러 올 때가 진짜 좋은 때다.”
내가 탐정 칸을 만난 것은 약 10년 전이다. 탐정 칸이 나에게 들려준 이야기를 만화로 옮기다 보니 『탐정 칸의 대단한 모험』이 나오게 된 것이다. 2권 작업이 늦어진 이유는 부리부리단이 나를 추적했기 때문이다. 이제 부리부리단은 또다시 나를 추적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걱정하지 않는다. 탐정 칸과 니발리우스가 내 친구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