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혼신의 책읽기와 곁다리 글쓰기로 인문학의 문턱을 낮추다 ‘가장 영향력 있는 인터넷 서평꾼’이자 ‘우리시대 대중지성’으로 꼽히는 로쟈. 드넓은 책의 바다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인문학 지도를 그려온 로쟈(이현우)에게 책읽기의 즐거움과 글쓰기의 괴로움을 묻습니다. ‘자기계발’이 우선인 시대에 인문학의 의미와 쓸모에 대해 로쟈만의 삐딱한 대답을 통해 ‘저 높은 인문학’이 아닌 ‘피가 되고 기쁨이 되는 삶의 인문학’의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소중한 기회!

5월 19일 오후 7시~9시
웅진 빌딩 카페 W
이현우(로쟈)
이현우(로쟈)
‘로쟈’라는 ID 혹은 필명으로 알려진 그는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강사이며, 대학 안팎에서 러시아 문학과 인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한겨레21》과 《교수신문》 등에 서평을 연재하고 있다. 인터넷서점에 <로쟈의 저공비행>이라는 이름의 블로그를 꾸리고 있으며, 이른바 ‘인터넷 서평꾼’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로쟈의 인문학 서재』(제50회 한국출판문화상 수상), 옮긴책으로 『레닌 재장전』(공역) 등이 있다.
저자파일 보기

로쟈의 인문학 서재
이현우 지음 / 산책자

인터넷을 할 줄 알고 책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로쟈’라는 이름은 전설이자 유령이다. ‘로쟈에게 물어보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수 년 동안 인문학 리터러시의 준거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문학 멘토 역할을 해온 저 유명한 서재 블로그 '로쟈의 저공비행'의 주인장 이현우가 첫 책 <로쟈의 인문학 서재>로 드디어 오프라인에 모습을 드러낸다. 이 책은 그간 로쟈가 쓴 문학과 영화, 예술, 철학에 대한 진지한 에세이와 지젝 읽기, 그리고 번역비평에 관한 주요 글들을 망라해 놓았다.

 
새로운 빈곤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이수영 옮김 / 천지인

이 책의 테마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도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빈곤문제이다. 특히 고용을 둘러싼 환경변화나 소비사회의 진전 등에 따른 현대의 새로운 유형인 '신빈곤층'을 다루고 있다. 현대사회가 잉태한 다양한 문제, 즉 세계화, 복지국가의 쇠퇴 등에 대처하는 지그문트 바우만의 이 책은 근대 영국의 공업화의 전개와 전후해서 등장하는 '노동윤리'의 관점에서 현실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유동하는 공포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함규진 옮김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장 폴 사르트르 지음, 박정태 옮김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
이택광 지음
희망의 인문학
얼 쇼리스 지음, 이병곤.고병헌.임정아 옮김
새 인문학 사전
A. C. 그레일링 지음, 윤길순 옮김

댓글 신청 기간 : ~ 5월 16일까지 l 당첨일 : 5월 17일
강의 당첨자 보기 강의 후기 보기

이벤트 참여하기

지금까지 총 31건의 글이 있습니다.
12

 
서재바로가기gongdosa  2010-05-15 16:40
현재까지 강좌 출석률 100퍼센트입니다. 계속 이어가고 싶습니다. 글고 말로만 듣던 로쟈 선생의 강의를 꼭 듣고 싶습니당~^-^
 
서재바로가기sweetie12  2010-05-14 21:46
'책읽기'와 '글쓰기' 둘 다 힘들어서 신청합니다.
 
서재바로가기teen1985  2010-05-13 14:24
20대 중반 직장인 3년차입니다. 좋은 기회 부탁드립니다.
 
서재바로가기바른생활  2010-05-12 16:32
알라딘 인문학 스터디를 이제서야 알게 된 게 아쉽네요. 로쟈님 강의도 신청합니다~
 
서재바로가기tired  2010-05-12 10:40
강의 제목처럼 인문학을 통해 제가 갖고 있는 고민들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책과 블로그를 통해서 접했던 이현우님의 강의를 직접 듣고 싶습니다 ^^
 
서재바로가기Blssing.  2010-05-11 20:13
요즘 인문학을 바라보는 시선이 두가지가 있는 거 같습니다.
'인문학의 위기'로 바라보는 시선과 '인문학이 희망이다' 라는 시선
모가 어찌 되었든 인문학이 요즘 시대에 중요한 화두인건 분명한거 같습니다.
인문학 전공자가 아닌 사람으로서 인문학과 친해지고 싶습니다~
 
서재바로가기문탱  2010-05-10 17:56
피가 되고 기쁨이 되는 인문학의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강의 신청합니다.
 
서재바로가기미지  2010-05-08 01:55
로쟈의 인문학적 실천법을 지지하는 알라디너입니다. 실제 강의를 듣고 싶네요.
 
서재바로가기JM  2010-05-06 02:29
로쟈의 인문학 서재를 읽고 일종의 충격을 받았습니다. 내가 지금까지 알고 공부하던 인문학이란 과연 무엇이었을까. 근본적인 의심과 회의가 뒤따랐습니다. 그 이후로 치열하게 읽고 치열하게 부딪쳐보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이토록 저에게 큰 변화를 준 로쟈님의 강의를 직접 들어보고 싶습니다. 마음의 가난을 극복하는 방법이라면 제가 요즘 가장 관심있는 테마 가운데 하나입니다. 현실이라는 장벽 앞에 자꾸만 쪼그라드는 듯한 저 자신에 대한 도움의 말을 듣고 싶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서재바로가기elcor  2010-05-05 02:43
대중없이 책읽기, 막무가내로 읽기, 내키는 대로 마구잡이. 대략 이런식으로 책을 읽고있었습니다. 소설류는 이런방법이 꽤 괜찮았고 유행하는 책을 따라가는것도 좋았지만, 역시나 기본기인 인문학에서는 이런일이 잘안통하는 거 같더군요. 길잡이가 필요하고 누군가 먼저간 길을 따라가는 일이 현명한 길이기도 하고요..
그런면에서 로자님의 이번강의 꼭 듣고싶습니다.. 대중없이 읽어댄 책읽기에서 멘토를 구하고자 하는 부탁을 꼭 들어주세요.
 
서재바로가기사무라이밍키  2010-05-04 22:53
오랜만에 강의다운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신청합니다
 
서재바로가기강아지풀  2010-05-04 13:26
마음의 풍요를 일구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서재바로가기ryderryderryder  2010-05-04 11:55
1,2 강의를 듣고 제가 모르는 분야에 대한 관심과 많은 지식들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로쟈의 인문학 서재를 읽으면서 어려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저자와의 시간을 꼭 가지고 싶습니다.
 
서재바로가기사랑서리  2010-05-03 16:08
책 보는것을 직업으로 삼은 대학원생이지만 아직도 책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인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져보고 싶습니다.
 
서재바로가기나막신  2010-05-03 01:11
제인생의 중요한 시기에 무엇을 봐야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이 강의를 들을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재바로가기  2010-05-03 00:39
꼭! 가고 싶습니다
 
서재바로가기이혜라  2010-05-02 22:29
기초 학문인 인문학을 좀더 깊이 있게 생각하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이리라 믿으며 강의 참석 하고 싶습니다 ^^*
 
서재바로가기capejasmin  2010-05-02 22:10
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입니다. 로쟈 이현우님의 강의에 꼭 듣고싶어요!!
 
서재바로가기originalcolor  2010-05-02 21:41
대학에서 인문학을 공부하고, 앞으로 글쓰는 것을 제 직업으로 삼고 싶은 인문학도로써 이현우씨의 인문학 강의를 듣고 싶습니다.
 
서재바로가기wolfmono  2010-05-02 18:49
이현우 선생님께 번역에 대해서 묻고 싶은게 많고, 러시아문학에 입문하기 위한 길잡이를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으면 해서 신청합니다.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