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구마라습한역(漢譯)자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은 범어 쿠마라지바(Kum?raj?va)를 음사한 말로 구마라습, 구마라십, 구마라집이라고 표기해 왔다. 고대 인도 구차국(龜玆國) 출신으로 명문 귀족 집안에서 아버지 구마염(鳩摩炎, Kum?r?yana]과 어머니 기바(耆婆, J?va)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구차국 왕의 누이동생이었다. 일곱 살 때 어머니를 따라 출가해 아버지의 고향인 서역(西域) 카슈미르 야르칸드에서 대승(大乘)·소승(小乘)을 두루 배우고 돌아와서 발군의 실력을 발휘해 그의 명성은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중국 후진(後秦) 시대 장안(長安)에 와서 약 300권의 불교 경전을 번역한 역경가로 알려졌지만 삼론종(三論宗)·성실종(成實宗)의 사상 토대를 마련한 불교 사상가이기도 하다. 그를 최초의 삼장 법사(三藏法師)라 불렀으며, 이후 250여 년 후 현장(玄?)에 이르기까지 많은 삼장이 등장했다. 구마라습은 현장과 더불어 2대 역경가(譯經家)로 꼽히며, 또한 진제(?諦), 불공(不空)과 함께 4대 역경가로 꼽기도 한다. 한때 384년 쿠차로 쳐들어온 중국 후량(後?)의 장군 여광(呂光)의 포로가 되기도 했으나 후에 후진의 황제 요흥(姚興)에게 국사(國師)로 봉해지기도 했다. 그의 생몰 연대에 대해서는 문헌마다 차이가 있어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413년에 70세로 입적했다는 설에 의거해 344년에 태어나 413년에 입적한 것으로 보는 것이 상례가 되었다. 그가 번역한 경전으로는 《좌선삼매경(坐禪三昧經)》, 《아미타경(阿彌陀經)》, 《사익범천소문경(思益梵天所問經)》,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 《소품반야경(小品般若經)》, 《대지도론(大智度論)》, 《중론(中論)》, 《백론(百論)》, 《십이문론(十二門論)》, 《십송율(十誦律)》, 《법화경(法華經)》, 《유마경(維摩經)》, 《성실론(成實論)》 등이 있고, 《마명보살전(馬鳴菩薩傳)》, 《용수보살전(龍樹菩薩傳)》, 《제바보살전(提婆菩薩傳)》 등 전기류도 번역했다. 구마라습의 번역을 구역(舊譯)이라 하고 후에 당대(唐代)에 와서 현장이 번역한 것을 신역(新譯)이라 했다. 구마라습이 《금강경》을 번역한 해는 402년이었다. 한역(漢譯) 육본(六本) 중 최초의 번역이었다. 이어 보리유지가 509년에 번역했고, 진제가 562년에, 급다가 590년, 현장이 663년, 의정이 703년에 번역했다. 구마라습과 현장이 번역한 시대 차이는 260여 년에 이른다. 여섯 명의 번역가 중 네 명은 인도 출신으로 중국에 와서 번역했고, 현장과 의정은 중국 사람으로 인도에 가서 범어를 공부하고 와서 번역했다. ![]() ![]() 대표작
모두보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