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토성은 어떤 곳일까 상상하며 그림을 그렸습니다. 어른이 된 지금도 그림을 그리고 있으면 토성에 와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여기 토성에서 보낸 그림이 지구에 있는 여러분에게 즐거움과 꿈을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린 책으로 《끌어올려! 경제 지능 1, 2》, 《물대장 오진한》, 《선생님은 무섭단 말이야!》, 전자책 《예수님과 세례 요한》 등이 있습니다.
정약용은 내 고향 강진으로 귀양을 와 있는 18년 동안 많은 책들을 썼어요. 우두머리 관리들이 어떤 자세로 백성들을 보살펴야 하는지를 제시했고요, 또 나라의 법률에 관한 책들도 써냈어요. 『목민심서』나 『경세유표』 외에도 오백여 권이나 되는 책을 펴냈으니 대단한 일이지요. 그것들은 모두 어른들을 위한 책이었어요. 그런데 그 많은 책 중에서 어린이들을 위해 엮은 책도 있어요.
정약용은 중국 사람이 만들어 놓은 천자문으로 아이들 가르치는 것을 거부했어요. 그래서 조선 사람인 자신이 직접 조선의 한자 교과서인 『아학편』을 엮어냈지요. 그 일을 강진의 동문 밖 주막 사의재에서 했답니다. 그리고 그 책으로 직접 제자들을 가르쳤어요. 강진에는 지금도 동문 주막의 봉놋방에 ‘사의재’란 현판이 걸려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