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예술
국내저자 > 번역

이름:박가희

최근작
2021년 2월 <큐레이팅 9X0X>

박가희

큐레이터.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로 일하고 있다. 전시를 하나의 매체로서 간주하고, 큐레이터의 질문과 문제의식이 주제나 지식의 차원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질문과 문제로 전이되는 앎의 사건(event of knowledge)을 촉발하는 전시의 수행적 실천에 관심이 많다. 최근에는 큐레토리얼 실천으로서 과거의 전시들을 아카이빙, 연구, 맥락화함으로써 전시의 역사와 담론을 통해 다양한 미술의 역사 쓰기를 수행하고자 한다. 동료기획자 전효경, 조은비와 함께 『스스로 조직하기(Self-organised)』(미디어버스, 2016)를 번역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스스로 조직하기> - 2016년 1월  더보기

자기조직화를 단순히 권력에서 벗어나는 탈중심, 또는 저항으로 이해하면서 경제와 반경제, 제도와 비제도라는 이분법적 논리 구조로만 사고하는 것은 조금은 시대착오적인 일이 되겠다. 우리는 흔히 ‘자기조직화’를 이야기할 때, 90년대 반제도적 차원에서 형성된 ‘대안공간’과 ‘아티스트런 스페이스’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데, 지금 우리가 논의하고 있는 ‘자기조직화’를 과거의 그것과는 구별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의 자기조직화는 더 다층적인 관계망에 놓여 있으며, 단순한 이항대립 위에서 보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다. 그런 의미에서 마이브릿 보르겐의 글 「자기조직화의 내외적 형식」에서 언급된 샹탈 무페의 복수성과 비평적 경합주의를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비평적 경합주의’는 정치적 토대로서 상대 진영을 이분법 상의 ‘적’으로 분리하기보다는 ‘동등한 파트너’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복수성을 만들고, 결국 복수성과 경합주의는 다원화되고 다양한 외부 조건을 반영한 미술계 안에서도 필요한 태도로 여겨진다. 우리는 변화하는 조건과 제도적 환경 속에서 좀 더 영리한 태도를 취해야 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