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정년퇴임을 앞두고 있다. 공부를 막 시작한 30대에는 한국문학 연구자로 출발하여 『문학의 존재영역』, 『희곡 읽기의 방법론』, 『한국의 희곡과 연극』등의 학술서를 썼고, 『희곡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희곡의 본질과 역사』등의 번역서를 냈다.
군산대학교 국문학과와 인하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를 거쳐 인하대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교수가 된 이후로는 문학을 벗어난 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 문화 연구 영역에서 여러 편의 연구서와 교재를 집필했다. 『문화콘텐츠 유형론』, 『스토리텔링 시대의 플롯과 캐릭터』 등이 그것인데, 문학과 현대 문화 사이의 경계에도 관심을 두어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을 새롭게 해석한 『진달래꽃 다시 읽기』, 한국의 신화와 민담이 현대문학과 현대 드라마에서 재수용되는 과정을 탐구한 『옛이야기의 귀환』 등의 저서도 집필했다.
앞으로도 신화와 민담 등의 중세적 형식, 시와 소설 등의 근대적 형식, 인터넷과 OTT 플랫폼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콘텐츠 사이의 생산적인 관계를 탐구할 생각으로, 덜 부지런하지만, 북유럽 신화와 한국 근대문학을 읽기도 하고 유튜브와 넷플릭스에 매달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