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해외저자 > 소설

이름:펄 S. 벅 (Pearl S. Buck)

성별:여성

국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 미국

출생:1892년,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 (게자리)

사망:1973년

직업:소설가

최근작
2025년 4월 <대지>

이 저자의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하길태
1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순오기
2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로쟈
3번째
마니아

펄 S. 벅(Pearl S. Buck)

미국에서 태어나 생후 3개월 뒤 장로교 선교사 부모를 따라 중국으로 이주해 어린 시절을 보냈다. 중국인들과 함께 살며 영어보다 중국어를 먼저 배웠다. 가정 교사와 어머니에게 교육을 받다가 정식 교육을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랜돌프메이컨여자대학교를 졸업했다. 어머니의 병 때문에 중국으로 돌아온 후 5년간 화북 지방에서 가뭄과 기근에 시달리는 가난한 중국 농민들의 현실을 생생하게 체험했다. 1923년 잡지 《애틀랜틱》에 〈중국에서〉라는 제목의 짤막한 글을 발표했고, 다음 해에 〈중국과 서양〉을 발표해 로라 메신저상을 받았다. 첫 저서 《동풍 서풍》에서 시작해 《붉은 흙》을 집필하다 사망하기까지 중국을 서양에 알리는 작업을 계속했다. 《대지》, 《아들들》, 《분열된 일가》로 이어지는 대지 3부작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중 첫 책인 《대지》는 출간 후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퓰리처상을 받았으며 서른 개 넘는 나라에 번역 출간되었다. 이외에도 한국을 배경으로 하는 《살아 있는 갈대》 등 여러 작품을 남겼으며 미국 여성 작가로는 최초로 1938년에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1973년 버몬트주 댄비에서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대표작
모두보기
수상내역
1938년 노벨문학상 <결혼하고 싶은 이유 결혼하고 싶지 않은 이유>
1938년 노벨문학상 <고백하기 어려운 슬픈빛깔의 사랑이야기>
1938년 노벨문학상 <구약성서 이야기>
1938년 노벨문학상 <그대가 사랑을 느낄 때>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4>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2>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2 >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2>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2 - 아들들>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I>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I>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I>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II>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II>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II>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3 - 분열된 일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딸에게 들려주는 인생론>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사랑에 산 여인들>
1938년 노벨문학상 <산다는 것의 의미>
1938년 노벨문학상 <삶의 의욕을 찾는 당신에게>
1938년 노벨문학상 <숨은 꽃>
1938년 노벨문학상 <신약성서 이야기>
1938년 노벨문학상 <십계명>
1938년 노벨문학상 <아들들 1>
1938년 노벨문학상 <어머니 당신은 영원한 사랑입니다>
1938년 노벨문학상 <어머니의 초상>
1938년 노벨문학상 <여성 자신으로 살기>
1938년 노벨문학상 <여성이 사는 지혜>
1938년 노벨문학상 <여자의 삶이란 무엇인가>
1938년 노벨문학상 <예수 그리스도>
1938년 노벨문학상 <우리가 지금 서로 사랑을 가르친다는 것은>
1938년 노벨문학상 <이브의 멍에>
1938년 노벨문학상 <자라지 않는 아이>
1938년 노벨문학상 <젊은 여성을 위한 인생론>
1938년 노벨문학상 <젊은 여성을 위한 인생론 >
1938년 노벨문학상 <천지창조>
1938년 노벨문학상 <풀어 쓴 성서>
1938년 노벨문학상 <Letter from Peking: 북경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어머니의 초상>
1938년 노벨문학상 <살아있는 갈대 -상>
1938년 노벨문학상 <살아있는 갈대 -하>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사랑을 시작했을 때, 비로소 삶은 시작된다>
1938년 노벨문학상 <The Good Earth (Paperback, Revised Ed)>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성서 이야기>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왕룽 외>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해일>
1938년 노벨문학상 <양쯔강(외)>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사랑스런 자녀와 함께 특별세트 - 전3권>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피오니>
1938년 노벨문학상 <새해>
1938년 노벨문학상 <동풍서풍>
1938년 노벨문학상 <리틀 레드>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아들들>
1938년 노벨문학상 <분열된 일가>
1938년 노벨문학상 <여인의 저택>
1938년 노벨문학상 <싸우는 천사>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리앙가>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세 남매의 어머니>
1938년 노벨문학상 <이야기 성서>
1938년 노벨문학상 <용의 자손>
1938년 노벨문학상 <청년 쑨원>
1938년 노벨문학상 <여신>
1938년 노벨문학상 <성의 죽음>
1938년 노벨문학상 <건너야 할 다리>
1938년 노벨문학상 <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1938년 노벨문학상 <어서 와요, 나의 연인>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3 - 분열된 일가>
1938년 노벨문학상 <타향살이>
1938년 노벨문학상 <약속>
1938년 노벨문학상 <숨은 꽃>
1938년 노벨문학상 <펄 벅의 인생 수업>
1938년 노벨문학상 <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2>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살아있는 갈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연인 서태후>
1938년 노벨문학상 <양 마담과 세 딸>
1938년 노벨문학상 <자라지 않는 아이>
1938년 노벨문학상 <살아있는 갈대 -상>
1938년 노벨문학상 <살아있는 갈대 -하>
1938년 노벨문학상 <행복한 여자로 사는 법>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의 세 딸>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사탄은 잠들지 않는다>
1938년 노벨문학상 <아주 특별한 선물>
1938년 노벨문학상 <열두가지 이야기>
1938년 노벨문학상 <연인 서태후>
1938년 노벨문학상 <만다라>
1938년 노벨문학상 <북경에서 온 편지>
1938년 노벨문학상 <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아들들>
1938년 노벨문학상 <분열된 일가>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명문대 선정 세계문학 68 : 대지>
1938년 노벨문학상 <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포켓북)>
1938년 노벨문학상 <양부인과 세 딸>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1>
1938년 노벨문학상 <대지 2>
1932년 노벨문학상 <대지>
1932년 퓰리처상 <대지>
1932년 퓰리처상 <대지>
1932년 퓰리처상 <대지>

저자의 말

<살아있는 갈대> - 2014년 4월  더보기

독자 여러분은 아마 이 소설의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지 궁금할 것이다. 이 소설의 중심인물인 한국인 가족은 작가의 창조 과정을 거친 사실적 소재에 기초를 두고 있다. 역사적 소재들은 독립군 재판과 일제의 기독교회 방화 사건을 비롯한 여러 사건,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군이 인천에 상륙하던 날 일어난 일들까지 모두 사실이다. 미국과 한국을 포함하여 모든 외교상의 인물은 사실 그대로 제시하였다. 정치적 사건들 역시 역사에서 발췌한 것이다. 윌슨 대통령에 대한 인물 묘사는 기록으로 증명된 사실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소설에서 하는 말은 모두 그가 실제로 했던 말이다. 그의 말이 아시아인들의 상상력을 사로잡게 된 경위도 모두 사실이며, 한국의 대표가 약소국들의 사절처럼 파리에서 그를 찾아가 만났던 것 역시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그러나 내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알게 된 사실과 중국에서 살 때 보았던 것에 기초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등장인물들을 구상했다. 나는 이 소설에서 한국인들을 묘사할 때마다 항상 그들에게 진실 되려고 노력하였다.

- 서문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