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최학종

최근작
2007년 7월 <건축이론 2>

최학종

영남대학교에서 건축공학사를 받았으며, 이후 미국에서 Saarinen Scholarship, Gaylord and Roberta Watts Architectural Award Scholarship, Architecture Program Merit Scholarship, William Kinne Traveling Fellowship 등으로 공부하여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Master of Architecture, Columbia niversity에서 Master of Science in Advanced Architectural Design을 받았다. 공저로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픽셀하우스), 역서로 <MVRDV 건축읽기>(시공문화사), <건축이론 1965~1995 (I), (II)>(시공문화사) 등이 있다. AIA, LEED AP이며, ALNY, AAM, USGBC의 회원으로 활동 중이고, 현재 New York에서 Beyond Architecture를 설립, 다양한 차원에서의 건축적 시도를 모색하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MVRDV 건축읽기> - 2004년 10월  더보기

MVRDV의 건축에 대해서, 이 책에 글을 쓴 사람들 및 번역작업을 한 나를 포함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고 있다. 이들이 MVRDV를 띄우기 위해서 선전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그들의 건축에 매료되어서 그런 것인지에 대해서는 우리가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두 눈을 크게 뜨고, MVRDV가 이전 세대 건축가들의 언어를 마치 자기들의 언어인양 모방을 일삼으며, 다른 분야 선구자들의 용어를 갈취하여 암암리에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직접 판단해야 할 것이다. 과연 MVRDV의 건축이 현재의 시점에서만 유효할 것인지, 앞으로도 계속 영향력을 발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오직 시간 만이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MVRDV의 건축에 대해서 부러운 사항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그들의 건축 자체가 아니라, 네덜란드 건축계 나아가서 사회 전체의 성숙함이다. 네덜란드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적 실험에 대해서 사회에서 발언하고 공유하고 영향을 미치면서, 서로 논의가 된다. 이러한 것이 활성화되어 서로 탄력을 받고, 그런 노력이 건축의 근본적인 사고의 변화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흔히들 '건축이론은 죽었다’라고 한다. 나는 건축이론의 위기는 건축이론의 위기가 아니라 건축이론의 위기를 논하는 사람들의 위기일 따름이라고 생각한다. 그들끼리의 건축이론, 건축이론을 위한 건축이론, 권력화한 건축이론 속에 안주하려는 한, 건축이론이 망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2004년 10월 18일에 알라딘에 보내주신 작가코멘트)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