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교재

이름:김귀환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최근작
2025년 2월 <사회문제론>

김귀환

순천제일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논문 및 저서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연구(2021)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정책에 대한 연구(2022)
보육정책에 대한 연구(2023)
케어복지론(8인 공저), 나눔의집(2006)
사회복지입문, 나눔의집(2008)
사회복지와 정책(4인 공저), 동문사(2009)
현대사회문제의 이해, 청목출판사(2011)
사회복지정책론, 정민사(201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5인 공저), 정민사(2013)
노인복지론(김귀환), 정민사(2017)
사회복지법제론(김귀환), 정민사(2019)
사회복지학개론(김귀환), 정민사(2021)
생각하고 있습니까(김귀환), 도서출판다컴(2021)
정신건강론(김귀환‧강길원), 정민사(2023)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사회문제론> - 2025년 2월  더보기

모든 사회는 안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모든 나라들은 국가의 안전과 안위를 최고의 과제와 연결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안정된 사회란 어떤 사회인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이어져 왔습니다. 사람들은 사회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는 사회가 안정된 사회일 수 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그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한때 국가의 안정을 최고의 과제로 간주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제한하여 오명을 들었던 적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문제는 권력기관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산업이 고도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안전한 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편안함이란 우리사회의 화두로 던져져야 할 시기입니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세 분야 20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는 총론의 측면에서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토대에 대한 논의가 전개될 것입니다. 제2부에서는 각론의 측면에서 계층‧계급적인 측면에서 현대사회의 고전적 시각에서 바라본 문제들과 사회문제로서 논쟁이 되는 문제들에 대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한편으로는 미시적인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접근이 시도될 것입니다. 제3부에서는 제1부의 이론적 토대로 분석된 제2부의 사회문제들에 대해 총론적인 측면에서 정책적 접근뿐만 아니라 제가 기고하였거나 워크숍 등에서 발표 제안하였던 것을 보완 정리하여 산업사회로서, 복지사회로서 정보화사회로서 당면과제 해결의 측면에서 10가지 주제로 정책과 사회복지로 접근해 보았습니다. 사회문제는 사회악이기도 하지만 필요악이기도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안전한 사회의 건설은 사회문제들이 부재한 사회라기보다는 인간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입니다. 그러므로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로서 사회복지적인 접근이란 부재를 설정하게 된 것입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