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어린이/유아

이름:김양진

최근작
2025년 4월 <한국어 질병 표현 어휘 사전 4>

김양진

고려대학교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마쳤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편찬에 참여하였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를 창립하여 한국어와 만주어의 상관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2012년 이후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경희대학교 교수의회 의장 및 대학평의원회 의장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 편집위원장을 겸하고 있고, 그 밖에 한말연구학회 회장, 한국지명학회 부회장, 국제역학서학회 부회장, 디지털인문지식유산학회 부회장, 운곡학술원 부원장 등 국어학 및 인문학 분야에서 다양한 학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저서로 『사전편찬의 원리와 실제』(2008, 공역), 『국어사전학개론』(2009, 공저), 『우리말 동요 노랫말 수수께끼』(2009), 『동물이름 수수께끼』(2010), 『식물이름 수수께끼』(2011), 『우리말 수첩』(2011), 『언어학으로 풀어본 문자의 세계』(2018, 공역), 『화병의 인문학』(2020, 공저), 『의료문학의 이론과 실제』(2020, 공저), 『출산의 인문학』(2022, 공저),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대화로 읽는 국어 만들기의 역사』(2023, 공저), 『호모 파베르의 출산 이야기』(2023, 공저), 『호모 팬데미쿠스-코로나19 데카메론3-펜데믹 3년의 목소리』(2023, 공저), 『역주 태교신기와 태교신기언해』(2023), 『한국어 질병 표현 어휘 사전-주요 사망원인 질병을 중심으로』(2023), 『역주 한창녹몽』(2024, 공역주), 『한국어교사를 위한 한국어 첫 문법』(공저), 『한국어 질병 표현 어휘 사전Ⅱ-한국인이 자주 걸리는 질병 관련 표현을 중심으로』(2024, 공편), 『추정 이강래-민족어 교육의 한길』(2024, 공저) 등 20여 권의 저서가 있고 “한국어의 형태와 형태소”(국어학 81, 2017), “한민족어와 만주어의 형태론적 동형성”(민족문화연구 67, 2015), “시어(Poetic word)와 문법(Grammar)”(어문논집 71, 2014), “〈현대 한국어 단어족 사전〉 연구 시안”(우리어문연구 69, 2021), “〈조선왕조실록〉 속 의료 관련 어휘군 연구”(우리말연구 66, 2021), “한국어 통증표현 어휘의 낱말밭 연구”(한국사전학 40, 2022), “한국어 호출어 연구”(국어학 104, 2022), “문자의 정의-문자란 무엇인가?”(국제어문 96, 2023), “불교 어휘의 한국어 전래 과정에 대하여”(동양학 95, 2024), “춘천의 초기 지명 ‘烏斤乃’를 찾아서”(지명학 40, 2024), “음소 /의/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한글 86-1, 2025) 등 1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우리말 동요 노랫말들은 어디에서 왔을까?> - 2010년 3월  더보기

영후가 어렸을 때 아빠가 들려주던 이 이야기들은 영후의 꿈속에서 날개를 펄럭이며 하늘 높이 흩어졌지만, 이 책을 펼칠 때마다 늘 영후의 기억 속에서 되살아나게 될 거예요. -사랑하는 아들 영후에게 이 이야기는 아빠들이 영후 또래의 아이들에게 읽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었어요. 이 책을 아이들에게 읽어 주시면서 동요도 함께 부르고 그 속에 들어 있는 맑은 마음과 소중한 우리말들을 하나하나 아이들에게 되새겨 주세요. -영후 친구들의 아빠들에게 이 책 속의 동요들은 절반 이상이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 있는 것들이에요. 선생님께서 어린이들에게 동요의 아름다운 음률과 함께 그 속에 들어 있는 노랫말의 유래를 설명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초등학교 선생님들께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