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최종호

최근작
2023년 2월 <[세트] 역사 밖으로 나온 별쭝난 사람들 상·중·하 - 전3권>

최종호

영남대 한문교육과 강사.
학력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민속학석사,인도 바로다 대학교(M.S. University of Baroda) 박물관학 박사
약력 한국민속촌박물관 관장·한국민속촌 이사 역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물관학과 주임교수 역임
주요 저서 『박물관 실무지침』(2000), 『박물관의 이론과 실제』(2004), 『민속학개론』(2005), 『문화인류학개론』(2006),『한국박물관교육학(공저)』(2010)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 - 2011년 7월  더보기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 는 장인이 말하는 예술혼, 자개를 가공하는 섭패, 끊음질과 주름질, 자개박이, 백골제작, 옻칠에 관한 역사와 전통기법, 예술혼, 과학적 분석등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글과 도표, 도판, 사진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전문가 뿐 만 아니라 모두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든 책입니다. 제1장 는 송방웅(중요무형문화재 제 10호 나전장)과 이형만(중요무형문화재 제 10호 나전장) 선생을 만나 나전에 입문하게 된 동기와 체득 과정, 스승과 자신들의 예술혼, 작품세계, 나전의 매력과 옻칠의 신비에 이르기까지 인간문화재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특히, 오색영롱한 빛을 내는 전복패 자개가 생산되는 통영이야기와 조선시대부터 품질 좋은 옻이 생산되는 원주 이야기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장인들의 나전칠기 활동을 통해서 살펴 본 것입니다. 제2장 는 고조선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나전칠기 출토품과 명품을 나전칠기 제작기법에 따라 연표로 구성하였습니다. 제3장 는 전통적으로 자개가공에 사용된 우리나라 전복패와 1950년 후반부터 사용된 수입패의 영롱함의 차이와 가공기술(섭패)의 발달, 가공도구의 개발, 옻채취, 옻 정제, 옻칠과정, 옻의 효능 등에 관한 체계적 조사와 과학적 분석 내용을 담았습니다. 제4장 는 자개가공과 자개박이 대표기법인 끊음질과 주름질의 과정을 비교하여 분석한 뒤 3단계로 나눠 묶고, 각 기법의 전 과정을 다이어그램으로 구성하여 한눈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제 5장 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나전기불과 나전의 시대별 무늬와 그 특성을 도표화하여 정리하였습니다.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는 나전칠기를 고려 전기와 후기, 조선 전기, 중기, 후기로 시대를 구분하고 각 시대별 나전의 용도, 사용, 주무늬, 보조무늬, 무늬특성, 재료, 기법, 칠 등을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과 도안, 사진 등을 체계적으로 담았기 때문에 나전칠기 노하우 전수와 나전칠기 재료와 기법을 생활과 산업에 활용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