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시대나 불확실성에 대한 공포와 불안이 있었으나 문명 진화의 속도가 극에 달한 현대는 그 정도가 더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인간이 인간인 이유를 자문하면서 수필문학의 방향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AI 시대 서정의 회복을 위한 창작의 방향성 제언
경험 사실을 전제로 한다는 수필 규정은 그동안 문학의 기본인 상상의 발현을 자유롭게 개진할 수 없다는 데서 수필의 태생적 한계로 인식되었다.
이는 수필계 안팎에서 기정사실화되어 왔으나 최근 한계를 가능성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다양성과 다원성을 핵심 코드로 하는 현대성과도 맥이 닿아 있는 부분인데 다행인 것은 현대를 거치며 패러다임의 전회를 꾀한 수필계의 다양한 시도들이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철학수필, 종교수필, 과학수필, 예술수필 등 전문지식을 활용한 수필의 방향성 모색이라든가 형식의 변주로서 손바닥 수필과 소재 확장 차원에서 사물 수필 등 새로움에 대한 맷집의 축적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를 지탱하고 제시할 수 있는 평론 영역은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럴 때일수록 꾸준한 비평 담론을 통해 수필문학의 방향성 제시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 머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