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예술

이름:김소영

최근작
2014년 10월 <비상과 환상>

근대성의 유령들

30대의 나는 한국영화가 거는 주술에 사로잡혔다. 그러나 그녀/그의 완강함과 침묵, 텍스트의 밖에 그리하여 역사 밖에 머무르려 하는...... 시인 허수경이 노래한 '공후인' 같은 상태의 한국 고전영화들. 노래를 멈춘 그들. 망각의 강 위에서 조용히 배 젓는 그녀 또는 그. 반면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주술법 또는 유혹술이란 보잘것없는 것이었다. 서구에서 기원한 그러나 그 서구적 틀의 편협함을 비판하는, 비교연구적 혹은 절합적 연구에 귀기울이면서. 그 소리의 반향 속에서 한국영화의 역사적/문화적 특정성을 모색하고 간혹 그 중얼거림을 들을 수 있다면 하고 바라는 일. 이런 여정 속에서 나는 현실과 환영의 접경, 그 문지방 혹은 유령의 공간이라 알려진 곳에 닿아있는 몇 편의 한국영화들을 보았다. 현실/환영이라는 존재론적 짝짓기를 뒤집는 이 유령의 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판타지 영화들과 그 (비)주체 형태들을. 그리고 이곳으로의 여행 속은 횡단을 가로막고 있는 낡은 적들을 만났다. 그것이 낡은 이유는, 어느 시기에 발생한 한시적 언어, 아마도 그 당시로서는 진보적일 수 있었던 그것을 반복사용함으로써 사유의 영구집권을 기획한다는 것이다. 마치 바위에 붙어 있는 따개비처럼. 한국영화를 둘러싸고 있는 몇 개의 담론들은 아마도 기분 좋게 손끝에 닿을 수도 있을 촉촉한 바위의 질감, 그 위에 어린 약간의 물기마저도 건조시키고 있다고 느꼈다. 사실은 5월쯤에 내리는 비를 알리는 바람처럼 글을 쓸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한국영화를 화석화시켜 온 따개비들을 떼어내고 그와 감응할 수 있게 하는.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