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겨울에 평화가 있기를, 김금희 연작소설"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김금희의 연작소설 속 사람들은 그의 소설 <경애의 마음>의 아름다운 문장처럼 '조금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은'채 각자의 크리스마스를 맞는다. 첫 소설 <은하의 밤> 속 방송작가 은하는 항암치료를 하며 '마음이 지옥처럼 어두워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13쪽) 끝없이 기도를 하는 고독한 밤을 보냈다. 쿠바에서 보낸 크리스마스를 기억하며 은하는 이번 크리스마스를 맞이한다. 세 번째 소설 <월계동 옥주>의 옥주는 남자친구 현우와 이별 후 떠난 중국 어학연수에서 크리스마스엔 중국에서 사과를 주고받는 풍습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마지막 소설 <크리스마스에는>에서 은하와 같이 일하는 피디 지민은 음식 사진으로 가게를 맞히는 '맛집 알파고'를 취재하기 위해 전 남자친구인 현우를 눈 오는 크리스마스, 부산에서 만난다.
해명되지 않는 많은 장면들이 함께 떠오르는 소설이다. '당신 개 좀 안아봐도 될까요?' 물음에 기꺼이 호의로 답하는 사람들. 호숫물로 등잔을 밝힐 수도 있다는 얘기를 기꺼이 믿는 사람들. 한번 준 마음을 포기하지 않고, 서로의 평안을 비는 사람들에게 올해도 한 해의 끝이 다가왔다. 크리스마스이브는 중국어로 핑안예(平安夜)라고 한다. 잘 모르는 나라의 말로 각자의 고요한 밤을 기원하게 되는 김금희의 소설의 겨울 정경. 모두가 모두의 행복을 비는 박애주의의 날이 있다는 것(305쪽)은 희박하지만 기쁜 일이다.
- 소설 MD 김효선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