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책 | eBook | 알라딘 직접배송 중고 | 이 광활한 우주점 | 판매자 중고 (16) |
15,000원(품절) | 출간알림 신청![]() | - | - | 2,900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국현대사 연구총서 12)
양장본 | 397쪽 | 158*230mm | 845g | ISBN : 9788998443177(8998443171)
▶ 이 책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현대 동아시아 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제1부 국제비교적 관점에서 본 식민지 경험과 국가수립
제1장 조원빈 성균관대학교
식민주의가 국가형성과 발전에 미친 영향: 아시아지역
Ⅰ. 서론
Ⅱ. 발전에 대한 세 가지 이론
Ⅲ. 아시아 식민주의의 특성
Ⅳ. 식민주의의 영향: 신흥 엘리트 집단 형성
Ⅴ. 독립운동과 국가형성
Ⅵ. 결론
제2장 박인휘 이화여자대학교
제2차 세계대전 후 분단국가들의 국가형성과 국제정치환경 영향 분석
Ⅰ. 서론
Ⅱ. 냉전질서와 국제정치구조
Ⅲ. 국가형성과 국제정치환경: 5개 분단국가 비교분석
Ⅳ. 한국의 국가형성과 국제정치환경의 영향
Ⅴ. 결론
제2부 분단 경험 비교와 냉정과 탈냉전 시기 아시아 국가의 이데올로기 수용과 반발
제3장 김학성 충남대학교
한반도와 독일의 분단 경험 비교
Ⅰ. 서론
Ⅱ. 양 지역 간 비교의 기준 설정
Ⅲ. 한반도와 독일 분단의 시기별 비교
Ⅳ. 결론: 한반도와 독일 분단의 비교 요약
제4장 이한우 서강대학교
베트남의 분단과 통일 과정이 한반도에 주는 함의
Ⅰ. 서론
Ⅱ. 베트남 분단체제의 형성 과정
Ⅲ. 분단체제 하 남북 사회의 발전
Ⅳ. 남북의 통일정책과 통일운동
Ⅴ. 결론
제5장 윤대엽 연세대학교
냉전과 탈냉전의 동아시아의 자본주의 수용과 전환: 한국과 대만의 비교
Ⅰ. 서론: 동아시아의 전후와 자본주의 발전
Ⅱ. 미국: 동아시아 자본주의 체제의 이념과 제도의 기원
Ⅲ. 일본: 냉전적 합의와 자본주의적 화해의 두 경로
Ⅳ. 중국: 중국 특색적 자본주의와 자본주의적 협력
Ⅴ. 결론: 동아시아 특색적 자본주의와 협력?
제6장 서보혁 서울대학교 통일문화연구원
사회주의 진영의 분기: 중국과 북한의 길
Ⅰ. 서론
Ⅱ. 냉전기 중국과 북한
Ⅲ. 탈냉전기 중국과 북한
Ⅳ. 결론: 두 분기의 특징과 전망
제3부 광복 70년, 한국의 발전
제7장 손기영 고려대학교
광복 70년, 한국의 국가발전 궤적 따라잡기
Ⅰ. 서론: 한국의 국가발전 궤적
Ⅱ. 냉전기의 한국의 발전: 분단의 고착화 경제성장, 민주화
Ⅲ. 냉전 후의 한국의 발전: 세계화, 정권교체, 양극화
Ⅳ. 결론: 21세기 한국의 과제-분단 및 양극화의 해소와 글로벌 한국
제8장 김기정 연세대학교 / 천자현 고려대학교
광복 70년의 한국 현대사: 국제정치 환경변화와 한반도
Ⅰ. 서론: 한반도 분단구조의 독해법
Ⅱ. 한반도 분단질서 변천의 분석틀: 원인과 유형
Ⅲ. 한국전쟁과 분단, 그리고 동북아의 적대적 균형
Ⅳ. 데탕트와 남북관계: 교류형 공존질서에서 내부결속 지향형 대립질서로
Ⅴ. 탈냉전지의 한반도: 교류와 대립의 반복
Ⅵ. 결론: 새로운 70년의 한반도 질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