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에세이
국내저자 > 문학일반

이름:이광호

성별:남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63년,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

직업:문학평론가 대학교수

최근작
2023년 1월 <[세트] 토리노 멜랑콜리 + 경험이 언어가 될 때 + 장소의 연인들 - 전3권>

이 저자의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다락방
1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자목련
2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chik...
3번째
마니아

이광호

약력을 고쳐 쓴다고 삶이 달라지지 않는다. 태어난 지방 도시에 다시 가본 것은 수십여 년이 지난 뒤였다. 기억의 흔적을 찾지 못해서 다행스러웠다. 서울의 한 동네 안에서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다녔다. 집에서 학교가 가까운 게 싫어졌기 때문에, 먼 곳의 학교를 다니는 상상을 했다. 대학 시절 학과에서 제때 졸업한 몇 안 되는 남학생 중의 하나였고, 졸업식은 가지 않았으며, 몇 년 후 문학비평가가 되었다. 진해에서 해군사관생도를 가르친 적이 있으며, 서울예술대학교 교수로 20여 년을 재직했다. 직장이 있던 남산과 안산 사이, 남산타워의 늦은 불빛과 서해안고속도로 화물차들의 둔중한 속도 사이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가늠하지 못한다. 어느 날 출판사 대표가 되었다. 어떤 선택에도 충동과 단념이 섞여 있다. 사랑의 서사에서 일인칭 시간의 진실 같은 것은 없어서 『사랑의 미래』를 썼다. 일인칭의 사실성을 비껴가는 ‘익명의 에세이’라는 글쓰기에 이끌린다. 문학적 글쓰기는 자기 얼굴을 지우면서 침묵과 고독을 보존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자연의 유려한 풍광보다는 도시의 무의미한 그림자와 뒷골목의 어지러운 공기에 더 많이 매혹된다. 거리의 소음은 부주의하지만, 저녁의 걸음걸이가 만드는 무력한 리듬이 있다. 단일한 인격과 우월한 지혜를 가진 저자의 권위 같은 것을 잘 믿지 못한다. 약력을 쓰는 자는 약력의 주인이 될 수 없다.  

대표작
모두보기
수상내역

저자의 말

<사랑의 미래> - 2011년 10월  더보기

이 책은 왜 씌어졌을까? 이 책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작은 탐색이다. 이를테면, 사랑에 관한 1인칭의 고백과 2인칭의 대화와 3인칭의 묘사가 공존할 수 있을까, 시적인 이미지와 간명한 서사와 에세이적인 사유는 어떻게 교차할 수 있을까,와 같은 헛된 시도 말이다. 시적인 것과 소설적인 것과 에세이적인 것이 뒤섞인 글쓰기를 향한 무모한 동경은 오래되었다. 이것은 또한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사소란 사유의 궤적이다. 여기, 사랑을 둘러싼 문장들은 사랑의 매혹이 아니라 무기력감에 더 가까울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저 진부하고 상투적인 ‘사랑’에 대해 아직 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내게는 중요하다. 어쩌면 여기에서 사랑을 둘러싼 40편의 공허와 1편의 기이한 위로를 만나게 될 것이다. 나를 흔들었던 날카로운 가시 같은 문장들을 빌미로 이 이상한 글쓰기는 시작된다. 이 글을 ‘허구적인 에세이’ 혹은 ‘픽션 에세이’라고 불러도 되겠지만, 이야기의 주인공과 글쓰기 주체의 얼굴과 이름이 지워진다는 의미에서 ‘익명의 에세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와 ‘그녀’는 복수의 ‘그들’이거나 혹은 ‘당신들’이거나 ‘내’ 안의 사람들이다. ‘사랑의 미래’는 사랑의 설레는 혹은 불안한 앞날을 마라는 것이기도 하지만, 사랑이 아직 오지 않았음을, 혹은 사랑이란 아직 오지 않은 어떤 것, 영원히 오지 않을 어떤 것에 대한 이상한 갈망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래서 여기 사랑의 언어는 갈망의 언어라기보다는갈망에 대한 갈망의 언어이다. 이 책의 1부는 ‘그’의 시간 속에 있고 2부는 ‘그녀’의 시간 속에 있다. 이 두 가지 층위의 시간은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 보거나 교차한다. 그 시간 속에 얼룩처럼 뿌려진 이미지들은 모두 각각 최초의 장면이면서 최후의 장면이다. 사랑이란 그 선후를 알아낼 수 없는 이미지들의 사건이다. 사랑의 마지막 순간, 그 모든 장면의 순서에 대해 입을 다물게 된다. 극단의 공허는 최선의 위로만큼 표현되기 어렵다. 사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사랑이 하나의 관념으로 요약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그래도 사랑이 다시 시작되는 일은 피할 수 없다고 말하기 위해, 이토록 어눌한 언어들이 필요하다는 것이 부끄럽다. 이 글들은 지난해 씌어졌다. 그 여름에서 가을 사이, 방어할 길이 없는 적막한 시간을 마주했고, 더 가난한 시간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너무나 어리석게도…… 연재 때 따뜻한 관심을 보여준 익명의 독자들과 앞으로 이 책을 읽게 될 미지의 독자들에게 감사한다. 이 책이 어떤 느낌을 공유한 이름 없는 공동체의 계기가 된다면 글 쓰는 자의 더할 나위 없는 영예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늦게 온 예감처럼 만날 수 있다면, 이 허술한 글쓰기는 용서받을 수 있을까? 2011년 10월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