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 강한 자에는 호랑이처럼 약한 자에는 비둘기처럼
  • 새상품
    20,000원 20,000원 (마일리지1,000원)
  • 판매가
    14,000원 (정가대비 30% 할인)
  • 상품 상태
    최상
    • 배송료
      50,000원 미만 구매시 택배 3,000원, 도서/산간 6,000원
    • 판매자
    • 출고예상일
      통상 72시간 이내

    무이자 할부 안내

    • * 2~3개월 무이자 : 신한, 국민,현대,하나
      * 2~4개월 무이자 : 농협, 비씨,우리
      * 2~5개월 무이자 : 롯데,삼성
      (전월대비 변동사항 : 삼성/롯데카드 2~3개월 → 2~5개월)

      ※ 제휴 신용카드 결제시 무이자+제휴카드 혜택 가능합니다.
      ※ 알라딘페이는 토스페이먼츠사 정책으로 5만원 이상 할부 선택이 가능하오니 필요시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 부탁드립니다.
      ※ 오프라인결제/Non ActiveX 결제(간편결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간편결제/법인/체크/선불/기프트/문화누리/은행계열카드/ 알라딘 캐시와 같은 정기과금 결제 등은 행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무이자할부 결제 시 카드사 포인트 적립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

    보관함에 상품 담기

    • US, 해외배송불가, 판매자 직접배송
    • 중고샵 회원간 판매상품은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오픈마켓 상품으로, 중개 시스템만 제공하는 알라딘에서는 상품과 내용에 대해 일체 책임지지 않습니다.
    중고상품 구매 유의 사항
    중고상품 구매 유의 사항

    반양장본 | 648쪽 | 200*148mm | 842g | ISBN : 9788952113160(8952113160)

    『강한 자에는 호랑이처럼 약한 자에는 비둘기처럼』은 3ㆍ1 독립운동의 민족대표 34인으로 우리나라에 알려진 캐나다인 스코필드 박사의 자료집이다. 해방 후 스코필드가 은퇴하고 한국에 다시 와서 국내의 언론에 기고한 3ㆍ1운동에 대한 회고나 당시 사회적 이슈에 대한 충고, 현대 사조에 대한 감상 등 다양한 내용의 기고문들을 수록하였다. ‘박정희 신임 대통령을 위한 기도문’을 수록하여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그의 기대를 엿볼 수 있다.

    화보
     일러두기
     추천사 | 박유철
     머리말 | 유 진
    [해제] 한국을 조국처럼 한국인을 동포처럼 사랑한 캐나다인, 스코필드 박사 자료 | 김승태

    I. 일제 강점기 스코필드 박사의 보고서 및 기고문 

    1. 스코필드 박사의 일제 만행 보고서
    01. 제암리 학살 만행 보고서(1919. 4)
     02. 수촌리 학살 만행 보고서(1919. 7. 26)

     2. 스코필드 박사의 식민지 한국의 상황에 대한 영자 신문 기고문
    01. 한국 사태를 조사할 제국조사위원회(1919. 7. 1)
     02. 한국 민심의 파악: 일본의 가장 중대한 문제와 실패의 원인(1919. 8. 2)
     03. 한국에서의 개혁 I: 한국에 대한 일본의 도전 - 불가능한 정책(1919. 8. 26)
     04. 한국에서의 개혁 II: 캐나다 혹은 아일랜드? - 조사의 필요성(1919. 8. 27)
     05. 한국에서 행해지는 고문: 미즈노 박사가 해결할 문제(1919. 11. 29)
     06. 한국에서 죄수들에게 행해지는 고문: 일제 통치 하에서의 죄악(1920. 1)
     07. 한국의 개선책: 새로운 제도의 비평적이고 건설적인 조망(1920. 3. 12)
     08. 한국의 개선책: 비평적 조망 II - 헌병경찰제도의 폐지(1920. 3. 13)
     09. 한국에서의 개혁 III - 실패의 원인: 가혹한 통치 탓에 진정한 개선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다(1920. 3. 14)
     10. 한국: 프랭크 헤론 스미스 목사에 대한 답변(1920. 4. 10)
     11. 압제자의 멍에 아래 신음하는 한국: 서울의 한 의료인이 전하는 한국의 자유를 향한 부르짖음(1920. 7. 12)
     12. 한국에서 일본의 개혁(1920. 7. 17)
     13. 한국의 미래: 하라 일본 총리와의 인터뷰(1920. 9. 4)
     14. 한국의 여성들은 ‘힘’을 가지고 있다(1920. 6. 7)

     3. 스코필드 박사의 국내 신문 기고문
    01. 한국 발전의 요결(1920. 4. 1)
     02. 조선의 친구여(1) 캐나다로 귀국 중인 스코필드씨 편지(1926. 9. 17)
     03. 조선의 친구여(2) 실행이 제일(1926. 9. 19)
     04. 나의 경애(敬愛)하는 조선의 형제여?스코필드 박사 서한(1927. 1. 5)
     05. 경애(敬愛)하는 조선 형제에게(1931. 12. 26)

    II. 해방 이후 스코필드 박사의 기고문 
    01. 민심은 공포에 잠겨 있다 의사당 앞에 무장경관이라니(1959. 1. 3)
     02. 의, 용기, 자유의 승리(1960. 4. 28)
     03. 내가 본 한국혁명(1961. 1. 8)
     04. 한국 교회의 어제와 오늘(1961. 3)
     05. 정직은 번영에의 유일한 길이다(1961. 4)
     06. 나는 이렇게 본다. 한국의 군사혁명(1961. 6. 15)
     07. 3·1 운동(1962. 3. 2)
     08. 서울대의 문제점(1962. 12. 3)
     09. 1919년 3월 1일과 1963년 3월 1일(1963. 2. 28)
     10. 스코필드 박사, 박의장에게 서한(1963. 3. 23)
     11. 3·1 독립선언기념탑 제막식에서 한 스코필드 박사의 축사(1963. 8. 17)
     12. 나도 한국의 분신, 할 말은 해야겠다(1963. 9. 13)
     13. 내핍은 수범(垂範)에서만(1964. 1. 16)
     14. 사건의 전모 밝혀야(1964. 3. 3)
     15. 나는 왜 돌아왔나?(1965. 1. 4)
     16. 1919년 3월 1일, 삼일절에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가?(1966)
     17. 하나로 뭉친 독립만세(1969. 3. 1)
     18. 3·1 운동은 한국 정신의 상징(1969. 3. 1)
     19. 현대사조(1967~1969)
     20. 한국 국민에 보내는 메시지(1970. 3. 1)
     21. 스코필드 박사 병상 단상록(1970. 4. 16)
     22. 박정희 신임 대통령을 위한 기도문(1963. 12. 15)

    III. 스코필드 박사에 대한 회고 
    01. 석호필 박사의 최후 | 백난영, 전택부(1970. 5)
     02. 고 스코필드 박사 간병 365일 | 태신자(1970. 4. 17)
     03. 1919년 3·1 운동과 선교사들 | J. 어니스트 피셔(J. Ernest Fisher)(1975. 3)
     04. 구두 밑창에 3·1 운동 사진 필름 숨겨 임정(臨政)에 전달 | 정환범(1997. 5)
     05. 스코필드: 조선을 치유한 의사 | 정운찬(2004. 2)
     06. 프랭크 W. 스코필드 박사: 비범한 수의학자 | 더글라스 C. 메이플스던(Douglas C. Maplesde)(2005)
     07. 국립묘지에 잠든 벽안의 애국지사 프랭크 W. 스코필드 박사 | 이삼열(2006. 3)

     IV. 스코필드 박사에 대한 연구 논문
    01.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인의 민족의식 | 도레타 모티모어(Doretha E. Mortimore)
     02. 프랭크 스코필드(Frank W. Schofield)의 영성 | 남태욱
    03. “주동자:”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 독립운동 | 바바라 리걸트(Barbara Legault), 존 프레스콧(John F. Prescott)
     04. 스코필드 박사의 의료(교육)·사회선교와 3·1 독립운동 | 이만열

     부록
    I. 원문
    II. 스코필드 박사 연보

     찾아보기 | 인명
    §

    알라딘 중고
    품질 판정 가이드
    알라딘 중고 품질 판정 가이드
    품질등급 헌 상태 표지 책등 / 책배 내부 / 제본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