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인의 작가가 독자에게 들려주는 못다 한 이야기. <행복한 문학편지>는 우수문학도서로 선정된 책의 저자들이 독자들에게 띄우는 한 토막의 편지이다.
작가는 자신의 책에서 미처 못다 한 이야기를 풀어놓기도 하고, 독자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를 전하기도 한다. 그 편지에는 작가의 추억도 있고 가슴 속에 담아두었던 아쉬움도 있으며, 인생이나 사랑과 같은 큰 그림에 대한 나름의 관점도 담겨 있다. 짤막한 편지의 형식을 빌려 문학과 행복, 문학과 삶의 만남을 꿈꾼 것이다.
: 행복하신가요, 하고 물어보면 행복하다고 미소 지을 사람 과연 몇이나 될까요? 열 중 아홉 명은 스스로 불행하다 여기고 있지 않을까요?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저 숱한 사람들 표정을 좀 보세요. 왠지 화난 것 같지 않나요? 저 얼굴 어디에도 행복은 스며 있지 않아 보입니다.
그래서 그런 걸까요? 힐링과 치유라는 단어가 엄청나게 세를 불리고 있습니다. 힐링과 치유만이 살 길인 듯, 모두가 그쪽으로 치달려갑니다. 그만큼 현대인의 피로도가 쌓여 있다는 증거이겠지요. 몸과 마음이 무너지는 소리가 곳곳에서 들려옵니다. 스스로 목숨 버리는 사람들 얼마나 많은가요. 경쟁과 소외에 짓눌리다가 마침내 저를 던져버리는 것이지요. 그런 점에서 힐링과 치유는 살아가기 위한 몸부림의 대안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행복해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왜일까요? 무엇이 행복으로 가는 길을 가로막고 있을까요? 가만히 혼자 생각해봅니다. 혹 행복을 목적으로 여기기 때문은 아닐까 하고.
행복은 느낌입니다. 지향이 아니지요. 저기 어디라고 설정한 뒤 정신없이 몰아간다고 해서 얻어지지 않습니다. 내 몸과 마음이 지금 여기서 절실히 느끼는, 그것이 행복입니다. 그래서 행복에는 기쁨과 슬픔, 즐거움과 화가 함께합니다. 바로 여깁니다. 이 지점에서 ‘행복한 문학편지’가 태동했습니다.
편지라는 형식으로 문학과 행복의 따뜻한 만남을 꿈꾼 것이지요. 컴퓨터로 주고받은 메일이긴 해도, 편지여서일까요? 아니면 시인, 작가들이 써가는 마음에 진정성이 담겨서일까요? 귀가 절로 열리고 눈가가 촉촉해졌다는 사람들 의외로 많았습니다. 아마도 빼어난 문학과 정감 어린 편지글의 공명 아닐까 싶습니다.
이제는 그 공명이 문학나눔 사이트를 넘어 책장 갈피갈피에서 피어날 것입니다. 버거운 생의 나날을 위로하는 고운 손길이길 바랍니다.
시인. 199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 『빵 냄새를 풍기는 거울』 『물속까지 잎사귀가 피어 있다』 『춤』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 『불탄 집』 『줄무늬를 슬퍼하는 기린처럼』을 펴냈다. 현대시학작품상·소월시문학상·이육사시문학상·유심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글도 쓰고, 영어와 불어로 된 그림책 번역도 합니다. 어렸을 때는 파니처럼 밤을 무척 무서워했지만, 지금은 밤을 대단히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어쩌면 파니와 같은 경험을 했는지도 모르겠어요. 《행복한 학교》 《새를 사랑한 새장》 등의 그림책을 썼고, 《거꾸로 앉는다고?》 《봄은 또 오고》 《무릎딱지》 외 많은 번역을 하였습니다.
1965년 인천에서 출생했다.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젖은 눈』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뺨에 서쪽을 빛내다』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산문집 『물의 정거장』 『물 긷는 소리』 『시의 정거장』 『사랑하는 것은 모두 멀리 있다』 등이 있다. 김수영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25년 현재 한양여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학평론가.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학사·석사·박사)에서 수학했다. 200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주요 저서로 『비평의 모험』 『모욕당한 자들을 위한 사유』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 인문비평서 『절망의 인문학』 등을 냈다. 현재 중앙대학교 교양대학 및 대학원 문화연구학과 교수이다.
소설가. 1997년 《세계의문학》에 단편 〈둥근잎나팔꽃〉을 게재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수화》, 《나비를 태우는 강》, 《꾼-이야기 하나로 조선을 희롱한 조선의 책 읽어주는 남자》, 《탐욕-사랑은 모든 걸 삼킨다》, 《화투 치는 고양이》, 《그림자 개》, 《조지아 오키프 그리고 스티글리츠》, 《버지니아 울프와 밤을 새다》, 《열애를 읽는다》, 《울지 마라, 눈물이 네 몸을 녹일 것이니》, 《사랑하고 쓰고 파괴하다》, 《윗도리》 등의 책을 썼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부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근대성 연구: 이상과 김수영 문학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음.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등단. 고석규비평문학상, 젊은평론가상 수상. 저서 『반대자의 윤리』, 『다른 목소리들』, 『모더니티의 이면』, 『유령들』 등.
1986년 『세계의문학』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눈물은 푸르다』 『나의 밥그릇이 빛난다』 『고양이의 마술』 『인생은 짧고 기계는 영원하다』 『그리운 네안데르탈인』이 있고 산문집으로 『노동과 예술』이 있다. 제20회 신동엽창작상, 제5회 오장환문학상을 받았다.
1965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나 1998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직선 위에서 떨다』 『그늘과 사귀다』 『아픈 천국』 『나무는 간다』 『끝없는 사람』 『해를 오래 바라보았다』 『깨끗하게 더러워지지 않는다』, 산문집 『나는 지구에 돈 벌러 오지 않았다』 『왜냐하면 시가 우리를 죽여주니까』 등이 있다. 노작문학상, 지훈문학상, 미당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04년 단편 소설 「정원에 길을 묻다」가 『세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서울 동굴 가이드』, 『아무도 펼쳐보지 않는 책』, 『옛 애인의 선물 바자회』, 장편 소설 『여덟 번째 방』, 『일주일의 세계』 등을 썼다. 신동엽문학상, 젊은작가상, 오늘의젊은예술가상, 이해조소설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여자고등학교에서 언니들을 가르쳤습니다. 2003년「혜린이는 찬밥이 아니야」를 발표하면서 동화를 쓰기 시작했고 이후 아동문학평론에서「날아라 대통아」가 추천 받았습니다. 작품집에「우리 집 옆 비밀장소」「말을 해야 알지」「인어공주가 된 수진이」등이 있습니다. 현재 현실요법 전문가로 상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산에 오르기 좋아하고, 강가를 걷는 것도 즐기며, 어린이 친구랑 노래 부르고, 이야기 나누기를 좋아합니다.
2001년 창비신인소설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동안 펴낸 책으로 소설집 『3번 출구』 『하우스메이트』 『내 이웃의 안녕』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청소년소설 『오프로드 다이어리』 『어느 날 난민』 『개를 보내다』 『버샤』 등이 있다. 권정생문학상, 오영수문학상, 신격호샤롯데문학상을 수상했다.
충북 충주에서 태어난 농부이자 소설가입니다. 2006년 제15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고, 2010년 《즐거운 읍내》로 제1회 고루살이 문학상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소설집 《미궁의 눈》, 《사라진 노래》와 평전 《계훈제》, 《남북이 봉인한 이름 이주하》, 《당신이 옳았습니다-김근태》, 산문집 《사시사철》, 《아들아, 넌 어떻게 살래》 등을 썼습니다.
1986년에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다 1989년부터 창원으로 내려가 공장을 다녔다. 1994년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됐다. 1997년 시 부문 전태일문학상을 받았다. 2005년 공장 생활을 때려치우고 농민과 노동자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일에 뛰어들었다. 쓴 책으로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아-이소선, 여든의 기억》, 《밥과 장미-권리를 위한 지독한 싸움》, 《전태일-불꽃이 된 노동자》, 《속 시원한 글쓰기》 등이 있다.
그동안 장편소설 『편의점 가는 기분』 『게스트하우스 Q』 『쉿, 고요히』(『나의 고독한 두리안나무』 개정판) 『가짜 인간』 『나로 만든 집』 『서울 아이』(『서울역』 개정판) 『못된 정신의 확산』, 소설집 『안의 가방』, 동화 『옥상 정원의 비밀』 등을 썼다. 마음이 쓰이는 곳에 내 소설도 머물고 있다.
199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풍경」이 당선되면서 등당한 시인이자 사회학자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의 문화매개전공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대표작으로 시집 『슬픔이 없는 십오 초』(2008), 예술비평서 『그을린 예술』(2013), 산문집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2019), 『책장을 번지다, 예술을 읽다』(공저, 202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