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경제학 전문가가 재미있게 풀어 쓴 인문학 같은 경제서. 행동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친숙하고 재밌는 사례를 들어 마치 옆에서 이야기하듯이 설명한다. 저자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에게 행동경제학을 직접 배워, 행동경제학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행동경제학 전문가다.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며, 학문적으로도 상당한 수준의 지식을 전달한다.
1장. 행동경제학이 도대체 뭐야?: 심리학+경제학
행동경제학의 정의 | 행동경제학의 역사 | 주류경제학에 대한 비판 | '생각'에 대한 생각 | 행동재무학 | 노벨경제학상 | 행동경제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3장. 확실한 이득은 취하되 확실한 손실은 피한다: 전망이론
전망이론과 기대효용이론 | 확실성 효과와 손실회피 | 손실회피 | 손실회피와 후회회피 | 지불의 고통 | 보유 효과 | 어린 왕자와 장미꽃 | 고립 효과 | 고립 효과와 전망이론 | 가치함수 | 준거점이 투자와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4장.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풍경이 바뀐다: 프레이밍 효과
프레임과 프레이밍 효과 | 초원복국 사건 | 복지정책을 둘러싼 프레임 전쟁 | 낙태를 바라보는 두 개의 프레임 | 인종차별 프레임의 변화 | 현대미술의 이해 | 프레이밍 효과와 전망이론 | 아시아 질병 문제 | 디폴트값 효과 | 퇴직연금과 디폴트옵션 |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 시간의 프레임과 경제적 가치 판단 | 강대국의 내로남불 | 서는 데가 바뀌면 풍경도 달라지는 거야 | 카인과 아벨 | 기후변화 | 노동시간 감축 | 매몰비용 | 화폐착각 | 공정성
5장. 엄마는 왜 노점상에게 콩나물을 살 때 값을 깎으려고 할까?: 심리적 회계
심리적 회계의 정의 | 기말고사 문제 | 소비자 행동 | 자기통제 | 처분 효과
6장. 사람들은 과연 자신의 선택에 얼마나 확신을 갖고 있을까?: 자신감과 군중심리
자신감 | 과신편향 | 과신편향과 통제편향 | 과신편향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 | 사기꾼 증후군 | 똑똑한 여성들의 사기꾼 증후군 | 오즈의 마법사 | 메타인지 | 군중심리 | 3의 법칙 | 선덜랜드 마라톤 | 네트워크 효과 | 밴드왜건 효과 | 스놉 효과 | 넛지 마케팅 | 베블런 효과 | 크라우드소싱과 집단지성
7장. 행동경제학의 사촌들이 있다: 게임이론과 점증모형
게임이론의 정의 | 용의자의 딜레마 게임 | 사슴사냥 게임 | 상대적 이득 | 정책결정모형 | 주류경제학과 합리모형 | 행동경제학과 점증모형
행동경제학이란 인간 심리의 관점에서 인간의 경제적 선택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심리학의 관점에서 경제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죠. 행동경제학은 해외에서는 이미 주류경제학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고, 얼마 전부터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의 관심과 흥미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접할 수 있는 행동경제학 책은 대부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해외 유명 교수들이 저술한 책을 번역한 것입니다. 리차드 탈러(Richard Thaler)의 『넛지』,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선택』, 『승자의 저주』,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의 『생각에 관한 생각』, 로버트 쉴러의 『야성적 충동』, 『비이성적 과열』, 『버블경제학』 등이 대표적인 행동경제학 번역서입니다.
이러한 번역서는 행동경제학의 대가들이 쓴 책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독자에게 행동경제학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하지만 행동경제학 번역서는 주로 영어권 독자에게 친숙한 사례를 들어 행동경제학 개념을 설명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독자에게는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등장하는 사례가 낯설면 아무래도 독자들이 행동경제학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번역서에 종종 등장하는 영어식 표현은 우리나라 독자가 행동경제학 책을 읽고 공부하는 데 심리적인 불편함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하다 보면 우리나라 독자를 위한 쉬운 행동경제학 입문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책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매우 친숙한 사례와 친절한 표현을 통해 행동경제학에 대해 마치 에세이처럼 이야기하듯이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이 행동경제학의 본질적인 내용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습니다. 좀 더 나아가 이 책이 우리나라 독자들이 보기에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는 행동경제학 입문서가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입니다.
이 책의 뼈대는 제 경영학 박사학위 논문인 「소비자행동에 관한 행동경제학 관점의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박사학위 논문은 이론적인 내용이 많고 지루하기 때문에 일반 독자들이 읽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제 박사논문의 내용 중 행동경제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과 흥미 있는 선행연구 등을 중심으로 책의 전체적인 구조를 잡고, 행동경제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세계적인 행동경제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덧붙였습니다. 문장은 최대한 쉽고 간결하고 명확하게 쓰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