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종로점] 서가 단면도
(0)

질문은 “국가 시스템이 무너지는 불행한 사태가 대통령에게서 비롯되었다면, 절반 이상의 국민이 그를 지지한 정치적 선택과도 연관이 있지 않은가?”라는 것이다. 그 답을 “‘인문정신’이 작동하는 사회”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사회 프레임의 모색이 절실한 지금, ‘생각하는 시민’을 키우는 ‘시민 인문교육’이야말로 이 사회의 긴급한 현안이자 한국 미래 교육의 핵심임을 내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우리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이 문학, 건축, 글쓰기, 교육론, 생명·평화 등의 분야에서 오랜 시간 성심과 성의를 다해 높은 공력을 쌓아온 ‘스승’들을 초대해 깊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초대된 스승은 황현산, 정성헌, 김흥규, 이도흠, 조성룡, 나희덕, 박수밀, 함돈균, 8명의 저자들이다.

이들은 각각 ‘주체성 교육은 어떻게 아이들을 억압하는가?’ ‘평화와 생명의 가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문학은 어떻게 아이들의 공감 능력을 키우는가?’ ‘공감하고 연대하는 시민을 어떻게 키워낼 수 있을까?’ ‘공간과 환경은 사람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어떻게 가르치지 않고 배우게 할 수 있을까?’ ‘생명을 살리는 언어의 회복은 가능한가?’ ‘인문교육은 어떻게 예술교육과 결합해 생각하는 시민을 키워낼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진심어린 이야기, 온몸으로 깨닫고 실천해온 깊은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

prologue ‘생각하는 시민’을 키우는 교육이 미래 교육의 목표다

part1
주체성 교육은 어떻게 아이들을 억압하는가?_황현산

얼굴 없는 사람, 얼굴 없음의 의미|‘나는 나다’라는 무의식적 주문|주체성 교육이 억압하는 것|자기 안의 타자 응시하기|당신의 숨죽인 말들, 숨어버린 생각|‘주체성’을 걷어내고 나를 드러내다|시를 읽는 사람이 받는 선물|Q&A 미니 인터뷰

part2
어떻게 가르치지 않고 배우게 할 수 있을까?_나희덕

교실에 갇힌 아이들, 도끼는 누구 손에 들려 있는가|오늘날에도 유효한 두 책 『페다고지』와 『무지한 스승』|교육의 그물망|대화적 스승과 무지한 스승|은행 저금식 교육 vs 문제 제기식 교육|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도 가르칠 수 있다|미트라의 교육 실험 ‘벽에 난 구멍’|일상에서 예술을 향유하고 창조하는 사람들|예술은 어떻게 삶이 되는가|Q&A 미니 인터뷰

part3
인문교육은 어떻게 예술교육과 결합해 생각하는 시민을 키워낼 수 있을까?_함돈균

인문적 관점을 제시하는 인문큐레이터로 나서다|인문정신으로 접근하는 인문예술융합교육|인문예술융합교육과 문화예술융합교육의 차이|크리에이티브의 핵심은 정확한 관찰이다|Q&A 미니 인터뷰

part4
문학은 어떻게 아이들의 공감 능력을 키우는가?_김흥규

나 아닌 다른 존재를 만나는 일|‘공통된 인간 경험’이란 존재하는가|서로 경쟁하는 해석과 평가의 공존을 받아들이다|문학 교육을 위해 필요한 네 가지 명제|문학작품을 읽고 해석하는 즐거움|인간을 볼 줄 알아야 해석이 제대로 나온다|Q&A 미니 인터뷰

part5
공감하고 연대하는 시민을 어떻게 키워낼 수 있을까?_이도흠

첫문장
2013년 제가 『밤이 선생이다』라는 책을 냈어요.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조선일보 2017년 1월 6일자 '한줄읽기'

수상 :2012년 대산문학상, 2012년 팔봉비평문학상, 2011년 서정시학 작품상
최근작 :<황현산 전위와 고전 :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강의>,<황현산의 현대시 산고>,<내가 모르는 것이 참 많다> … 총 64종 (모두보기)
소개 :
수상 :2022년 대산문학상, 2019년 백석문학상, 2019년 고산문학대상, 2014년 미당문학상, 2014년 임화문학예술상, 2010년 지훈문학상, 2007년 소월시문학상, 2005년 이산문학상, 2003년 현대문학상, 2001년 김달진문학상, 1998년 김수영문학상,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최근작 :<시와 물질>,<문화과학 121호 - 2025.봄>,<그러나 꽃보다도 적게 산 나여> … 총 113종 (모두보기)
소개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뿌리에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그곳이 멀지 않다』 『어두워진다는 것』 『사라진 손바닥』 『야생사과』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파일명 서정시』 『가능주의자』, 시론집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한 접시의 시』 『문명의 바깥으로』, 산문집 『반통의 물』 『저 불빛들을 기억해』 『한 걸음씩 걸어서 거기 도착하려네』 『예술의 주름들』 등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최근작 :<초연결 학교>,<백 투 더 퓨처>,<사물의 철학> … 총 35종 (모두보기)
소개 :
수상 :2013년 임화문학예술상
최근작 :<조지훈 연구 2>,<교사 인문학>,<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총 28종 (모두보기)
소개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인문적 시야를 통해 한국문학의 여러 면모를 폭넓게 바라보는 관점의 확보에 크게 기여했으며, 오랫동안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한국학 연구 역량의 조직과 세계화에도 힘썼다. 쓴 책으로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사설시조의 세계』『한국 현대시를 찾아서』『한국문학의 이해』『조선 후기의 시경론과 시의식』등이 있다.
수상 :2016년 유심상 , 2016년 원효학술상
최근작 :<인공지능의 쟁점과 대안>,<[큰글자책] 인공지능의 쟁점과 대안>,<풍석 이종학 교수 추모 사제동행 논문집> … 총 41종 (모두보기)
소개 :
최근작 :<연암, 경계에서 보다>,<[큰글자도서] 한자의 쓸모>,<한자의 쓸모> … 총 88종 (모두보기)
소개 :
최근작 :<통일한반도의 녹색비전>,<2030 생명의 길 1>,<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 … 총 8종 (모두보기)
소개 :고려대를 졸업한 뒤 40여 년 동안 가톨릭농민회 활동을 해왔으며, 우리밀살리기운동 본부장,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및 남북강원도협력협회, 함께하는 경청(傾聽) 이사장을 맡고 있다. 지속가능한 산업의 토대인 농업 농촌을 살리는 길,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책과 이를 위한 정치혁명과 교육개벽 실천 등에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 :<건축과 풍화 : 우리가 도시에서 산다는 것은>,<교사 인문학>,<건축이란 무엇인가> … 총 5종 (모두보기)
소개 :
최근작 : … 총 2종 (모두보기)

세종(세종서적)   
최근작 :<RNA의 역사>,<무기력한 사람을 위한 저속생활법>,<가스라이팅에서 회복하기>등 총 157종
대표분야 :마케팅/브랜드 7위 (브랜드 지수 48,428점),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11위 (브랜드 지수 41,677점), 경영전략/혁신 11위 (브랜드 지수 70,912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