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수역점] 서가 단면도
(0)

마음산책에서 펴낸 문학평론가 신형철의 세 번째 책. <정확한 사랑의 실험>은 2012년 6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약 2년간 「씨네21」에 발표했던 '신형철의 스토리-텔링' 연재글 19편과, 2011년 웹진 '민연'에 발표했던 글 2편, 2013년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에 발표했던 글 1편을 묶어 27편 영화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총 22편의 글을 주제와 성격에 따라 4부로 나누고, 연재 외 발표 글을 5부 '부록'으로 엮었다. 4부로 묶은 글의 주제는 각각 '사랑의 논리', '욕망의 병리', '윤리와 사회', '성장과 의미'다. 저자는 '책머리에'에서, "네 개의 주제로 나눠 묶고 보니 비평가로서의 내 관심사가 대개 이 넷으로 수렴된다는 것을 알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책의 저자는 이미 문학비평으로 두꺼운 팬층을 확보한 신형철이다. 문학평론가로서 영화평론을 쓴다는 일이 과연 쉬웠을까. 어두운 극장에서 메모를 하고 같은 영화를 대여섯 번 반복해서 보며 이 글을 쓴 신형철은 「씨네21」 연재 당시 이런 글을 덧붙이기도 했다. "영화라는 매체의 문법을 잘 모르는 내가 감히 영화평론을 쓸 수는 없다. 영화를 일종의 활동서사로 간주하고, 문학평론가로서 물을 수 있는 것만 겨우 물어보려 한다. 좋은 이야기란 무엇인가, 하고."

그가 쓰는 영화평론은 결국 '좋은 이야기'에 대한 글이며 그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인간의 비밀에 대한 글이기도 하다. 눈이 깊은 저자는 그 비밀을 더 정확하게 말하기 위한 노력을 이 책 안에 고스란히 담고 있다.

첫문장
잭 스나이더 감독의 <맨 오브 스틸>(2013)에서 영웅과 악당은 끊임 없이 싸우고 부수고 절규하지만 거기에서는 아무런 심리적.육체적 고통도 느껴지지 않았는데, 특히 육체적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이들의 액션을 구경하는 일은 마치 무성영화에 나오는 수다쟁이들의 대화를 지켜보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을 하면서 나는 길고 긴 클라이맥스가 끝나기를 기다려야 했다.

박찬욱 (<스토커> <박쥐> <올드보이> 영화감독)
: 내가 관계한 <스토커>와 <설국열차>를 다룬 글을 읽으면서 나는, 내가 비평가가 되어 그 영화들을 보고 글을 썼다면―그리고 피나는 노력으로 능력의 최대치에 도달했다면―똑 이렇게 썼겠다고 생각했다. 내 머릿속에 들어갔다 나온 듯이 표현해놓은 대목과 맞닥뜨릴 때면 좀 무섭기까지 했다.
‘탁월한’ ‘놀라운’ ‘충격적인’ ‘심오한’ 따위의, 들으면 기분 우쭐해지는 형용사에 신형철은 인색하다. 그래도 이렇게 엄격한 사색의 결과를 이렇게 정확하고 유려하게 표현한 글을 얻는다면 그 영화는 복되다. 감독조차 자기 영화를 이렇게 잘 알기는 힘들다, 알기는 하지만 이렇게 말하기는 힘들다. 벙어리가 말문이 열리면 이런 기분일까. 이게 과장이라면 적어도 아름다운 발음과 억양과 최적의 속도로 말할 수 있게 된 말더듬이의 심정이라고는 해도 되겠지.
그럴 수 있게 만들어주는 신형철의 비결은 내 보기에 도식화다. 개념을 가지런히 놓고, 단계를 나누고, 비교해서 차이와 유사성을 지적하는 작업 말이다. ‘도식화’의 본뜻이 ‘그림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는 짓’이니만큼, 그는 정말 그림 보여주듯 명쾌하게 설명한다. 그런데 그 그림이 그 자체로 예술 작품이라는 게 다른 여느 도식과의 차이라면 차이다. 이렇게 우아한 도식이라면 마다할 이유가 어디 있겠나. 논리의 수립이나 정식화 같은 것을 예술 창조와 작품 해석의 적이라고 여기는 이들이 뜻밖에 많은데 그런 사람 만나 백날 떠들어봐야 내 입만 아프고 이제 이 책 한 권 툭 던져주면 되겠다.
우리나라 영화 비평사에 새 페이지가 열렸다고, ‘충격적으로 탁월하고 놀라우리만큼 심오한’ 책이 나왔다고, 신형철은 좀 우쭐할 자격이 있다고, 이렇게 적은 다음 나는 기꺼운 맘으로 마침표를 내려놓는다.
: 지난 몇 해 동안 영화잡지 기자로서 내가 제일 잘한 일은 신형철에게 영화에 대한 원고를 청해 받은 게 아닐까 생각하곤 한다. 내러티브 비평이란 고작해야 “영화의 줄거리와 메시지에 붙이는 자의적 코멘트”라는 인식을, 신형철의 글은 차곡차곡 뒤엎었다. 청탁한 날부터 고대한 그 광경을, 나는 질투를 누르며 바라보았다. 신형철의 영화서사론을 읽는 나의 즐거움은 희미한 유대감으로 배가됐다. 어떤 부류의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겐, 정확하고자 하는 노력이 사랑이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조선일보 북스 2014년 10월 3일자 '한줄읽기'
 - 한겨레 신문 2014년 10월 6일자 교양 잠깐 독서

최근작 :<[큰글자도서]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인생의 역사>,<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 총 20종 (모두보기)
소개 :2005년 〈문학동네〉에 글을 발표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조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몰락의 에티카》, 《느낌의 공동체》, 《정확한 사랑의 실험》,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인생의 역사》 등이 있다.

마음산책   
최근작 :<레이먼드 카버의 말>,<웨하스 소년>,<좋아 보여서 다행>등 총 350종
대표분야 :영화/드라마 4위 (브랜드 지수 126,644점), 에세이 6위 (브랜드 지수 796,427점), 책읽기/글쓰기 11위 (브랜드 지수 29,11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