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판매가 : 13,500원
  • 재고 : 1부 I 도서 위치 : E10 [위에서부터 3번째칸]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인천송도점] 서가 단면도
(0)

어린이가 학교 끝나고 심심할 때 들르는 곳, 친구와 마주 앉아 매운 컵라면을 먹는 곳, 릴스에 나온 신제품 젤리를 구하러 가는 곳은 어디일까? 바로 편의점이다. 하지만 편의점에 간다고 하면 부모님은 눈살을 찌푸리곤 한다. 편의점 먹거리는 몸에 좋지 않다면서.

하.지.만. 모두 오해이다. 요즘 편의점 먹거리가 얼마나 잘 나오는지 모른다. 게다가 먹거리를 사면 과학까지 준다. 먹거리 속에 초등 과학 교과 연계 내용부터 최근 환경 문제까지, 다양한 과학 이야기가 숨어 있다.

《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는 과자, 라면, 아이스크림, 삼각김밥 등 편의점 먹거리에 숨은 맛있는 과학 이야기를 들려준다. 과자 하나만 샀을 뿐인데 ‘과자가 눅눅해지는 이유는 뭘까?’, ‘왜 컵라면 용기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까?’, ‘제로 콜라인데 왜 달콤할까?’, ‘푸딩은 액체일까, 고체일까?’, ‘왜 커피를 마시면 지구가 아플까?’ 등 과학 지식이 선물처럼 쏟아진다. 든든하게 배도 채우고 똑똑하게 과학 지식도 채우고 싶다면, 과자 사면 과학 주는 편의점으로 놀러 가자.

과자 코너
햇감자칩 - 비행기에서는 왜 과자 봉지가 부풀어 오를까? / 감자는 왜 햇빛을 보면 초록색으로 변할까?
버블 풍선껌 – 껌은 뭘로 만들었을까? / 껌을 씹으면 멀미가 사라질까?
버섯 초코 - 초콜릿은 왜 입안에서 더 빨리 녹을까? / 초콜릿 표면의 하얀 가루는 무엇일까?
아이쿠셔 젤리 - 신맛의 정체는 무엇일까? / 비타민 C를 꼭 먹어야 할까?
채소 비스킷 - 왜 과자에 구멍이 뚫려 있을까? / 과자가 눅눅해지는 이유는 뭘까?
사르르 솜사탕 - 솜사탕은 어떻게 만들까? / 맛은 어떻게 느낄까?
영화관 팝콘 - 옥수수가 어떻게 팝콘이 될까? / 옥수수수염은 몇 개일까?

라면&간식 코너
찐라면 컵 - 왜 컵라면 용기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까? / 라면은 왜 꼬불꼬불할까?
불꼬꼬 볶음면 - 매운 음식을 먹으면 왜 입안이 얼얼할까? / 매울 때 물을 마시면 도움이 될까?
주머니몬스터 빵 - 빵은 왜 푹신푹신할까? / 띠부띠부씰은 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을까?
달콤 과일 통조림 - 통조림의 유통 기한은 왜 길까? / 통조림 뚜껑을 따는 원리는 무엇일까?
쫀득 고구마 말랭이 - 고구마 말랭이는 왜 오래 보관할 수 있을까? / 군고구마는 어쩜 그리 달콤할까?

음료&아이스크림 코너
제로 슈거 콜라 - 콜라는 왜 톡 쏠까? / 설탕이 ‘0’인데 왜 달콤할까?
말그미 생수 - 생수는 어떻게 만들까? / 왜 생수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나올까?
스포츠 음료 - 스포츠 음료와 물은 뭐가 다를까? / 열이 날 때 스포츠 음료를 마시면 도움이 될까?

최근작 :<우리 학교에 이상한 곰팡이가 생겼어요!>,<군침이 꼴깍 맛집 과학>,<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 … 총 36종 (모두보기)
소개 :
최근작 :<행복은 슬며시>,<곰팡남녀 연애편> … 총 38종 (모두보기)
SNS ://instagram.com/sosim_in_toon
소개 :

풀빛   
최근작 :<한 컷 쏙 시리즈 세트 - 전8권>,<한눈에 보는 전쟁 세계사 1>,<여기는 문해력 늘어 나라 3>등 총 687종
대표분야 :그림책 1위 (브랜드 지수 232,593점), 전쟁/평화 이야기 4위 (브랜드 지수 15,156점), 사회/역사/철학 6위 (브랜드 지수 150,272점)
추천도서 :<동백꽃, 울다>
매년 4월이 되면 제주는 유채꽃으로 노랗게 물듭니다. 반면 그 무렵 제주 사람들은 마음 한편이 빨갛게 아려 오지요. 여기, 제주 4·3 사건의 희생자인 왕할망 고길녕과 증손녀 지서현이 있습니다. 서현은 왕할망이 그린 그림을 매개로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에서 일어난 충격적인 일들을 마주합니다. 제주 4·3 사건은 비단 제주 사람들만 알아야 할 역사가 아닙니다. 같은 뿌리를 지닌 ‘우리’라면 모두 알아야 하고, 잊지 말아야 하지요. 이 책을 통해 과거를 바로 보고, 현재를 다시 보는 시선을 갖기 바랍니다. - 편집2팀 조유진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