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아이마다 필요한 사회성 모습이 다릅니다.
01.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사회성은 문제가 없는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힘
사회성이란 무엇일까?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사회성이 걱정인 이유
사회성에 대한 다섯 가지 진실
사회성이 잘 발달한 아이는 이렇게 말한다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같이 놀고 싶어서 놀이터에 가도 결국 혼자 놀아요.”
사례2. “늘 노는 아이와는 잘 노는데 새로운 친구 사귀는게 힘들어요.”
사례3. “자꾸 아이들과 부딪치는데 놀이터에 나가지 못하게 하는게 맞을까요?”
‘놀이터 사회성’을 키우는 3가지 비결
02 나이에 따른 사회성 발달 단계
이기적인 게 아니라, 아직은 그럴 나이
사회성에는 기다림이 필요하다
아이는 언제부터, 어떻게 ‘타인’을 인지할까?
나를 알고, 엄마를 알고, 세상을 알기까지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수줍어 하는 건 아닌데, 또래에 관심이 없어요.”
사례2. “이기적인 우리 아이,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요.”
사례3. “자꾸 때리는 아이, 훈육하는 비법을 알려주세요.”
이럴 땐 전문가를 꼭 만나세요
사회성은 ○○ ○○○입니다
03 기질에 따라 달라지는 사회성 과제
기질은 같아도 더 좋은 성격으로 키울 수 있다
수줍고 겁 많은 아이, 사회성이 괜찮을까?
사회성과 성격 발달은 평생에 걸쳐 이루어진다
아이마다 타고나는 다섯 가지 기질
간단하게 해보는 기질 테스트
좋은 기질, 나쁜 기질은 없다
기질 따라 키워줘야 할 사회성 역량이 다르다
자기 자신과 잘 지내야 남들과도 잘 지낼 수 있다
사회성 발달의 키워드, 사회적 민감성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아는 사람에게도 인사를 잘 못해요.”
사례2. “너무 예민한 아이를 돌보는 것, 저도 지쳐요.”
아이가 가진 기질로 좋은 성격 만들기
04 거절 못하는 아이, 사회성 발달 전략
문제가 없는 아이일수록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집에서만 고집불통인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아이의 사회성 과제 5단계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아이를 훈육할 때, 특별 조심!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싫으면 싫다고 하라 해도, 괜찮대요. 정말 괜찮을까요?”
사례2. “친구 말에 쉽게 상처받는 아이, 방어 능력을 키워주고 싶어요.”
마음 약한 아이, 꼭 가르쳐야 하는 다섯 가지
05 눈치 없는 아이, 사회성 발달 전략
사회적 민감성이 낮으면 공감 능력도 낮을까?
사회적 민감성이 낮은 아이가 다른 기질은 높을 때
공감은 배우고 연습해야 하는 후천적 능력
사회적 민감성이 낮은 아이들의 사회성 과제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아이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해요.”
사례2. “눈치 없는 아이, 학교에서 미움받으면 어ᄄᅠᆨ하죠?”
눈치 없는 아이를 훈육할 때 유의사항
06 사회성 키우는 최고의 방법은 놀이
공부도 사회성도, 아이는 재미있을 때만 배운다
미래에는 성적보다 사회성이 더 중요하다
놀면서 사회성 기르는 비법 3가지
아이가 똑같은 놀이를 반복하는 이유
역할 놀이할 때 주도권은 아이가 갖게 하자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아이랑 노는 시간이 너무 힘든데 어떡해요?”
사례2. “놀이가 중요하다는데, 우리 아이 놀이만 하면 울고불고 난리가 나요.”
사례3. “이왕이면 사회성 발달에 효과적인 놀이를 알려주세요.”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주는 놀이 비결 7
07 기관, 학교에서 발생하는 사회성 문제
“엄마, 나만 친구가 없어” 아이의 진짜 감정은 무엇일까?
또래 관계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성장할 수 있는 기회
가족은 아이가 사회성을 연습할 수 있는 안전한 대상
사회성은 공감받을 때 더 잘 자란다
선생님과 잘 협력하면 생기는 좋은 인ㄹ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나만 친구가 없어. 아무도 나랑 안 놀아줘.” 아이의 말에 마음이 아파요.
사례2. “영순이가 나를 괴롭혀.”
선생님을 든든한 내 편으로 만들기
08 부모의 사회적 민감성에 대한 제언
엄마가 모임에 나가지 않아서 아이가 친구를 못 사귀는 걸까?
부모의 사회성이 아이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칠까?
모든 사람마다 적절한 ‘거리’가 다르다
다랑쌤의 솔루션
사례1. “부모 모임에 아이가 몇 살까지 나가야 하나요?”
사례2. “부모 모임에 시간을 너무 많이 쓰고 있어요.”
사회적 민감성에 따른 양육 팁
에필로그 그림책으로 사회성을 배우고 연습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