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9,600원 I 최고가 : 10,000원
  • 재고 : 2부 I 도서 위치 : E22 [위에서부터 2번째칸], E22 [위에서부터 3번째칸]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종로점] 서가 단면도
(2)

2018년 고(故) 최종현 SK 선대 회장의 20주기를 맞아 출범한 최종현학술원의 과학혁신 국제 심포지엄은, 핵심 테크놀로지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이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미래 전망을 토론하는 자리다. 특히 이번엔 리튬이온배터리 연구로 2019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M. 스탠리 위팅엄 교수가 강연과 토론에 참가해 자리를 빛냈다. 코로나 시국 중에도 지난 2년에 걸쳐 배터리의 미래를 논한 강연과 토론이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나왔다.

리튬이온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양극재.음극재 등의 전문용어가 이젠 일반인들에게도 그다지 낯설지 않은데, 배터리 관련주에 대한 뜨거운 관심 때문이다. 저자들은 일반인들도 어디선가 들어본 이야기를 보다 전문적으로, 그러나 비교적 쉽게 풀어준다.

인간 생체에서 벌어지는 에너지 대사를 응용해 생물학적 소재로 배터리를 만드는 공상과학 같은 혁신적 실험까지 소개하는 강연들이, 매우 전문적이지만 대단히 흥미진진하다. 또한 첨단 배터리 분야에서 이미 중요한 업적을 이룬 한국 학자들의 활약상도 이 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근작 :<배터리의 미래>
소개 :리튬이온배터리 연구의 선구자로 2019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석유기업 엑손에서 배터리를 연구했으며 엔지니어링 부문 총괄을 역임했다. 이후 학계로 옮겨 지금은 뉴욕 주립대(빙엄턴) 화학과 석좌교수를 맡고 있다.
최근작 :<배터리의 미래>
소개 :UC버클리 공과대학 대니얼 M. 텔렙 석좌교수. 벨기에 출신으로 루뱅 대학을 나와 UC버클리에서 재료공학 박사를 받았다. 리튬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대안 에너지 저장장치 관련 연구의 권위자다. 다양한 분야에 걸친 배터리 공동연구로 한국 학자들과 인연이 깊다.
최근작 :<배터리의 미래>
소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서울대 재료공학과를 졸업하고 MIT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교수(2009~2012)를 지낸 뒤 서울대로 옮겼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학을 활용한 배터리용 신소재 설계이다.
최근작 :<배터리의 미래>
소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칼텍에서 노벨 화학상(2016년)을 수상한 프레이저 스토더트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카이스트 교수(2010~2017)를 지낸 뒤 서울대로 옮겼다. 홍진기 창조인상(2019), 대통령 젊은과학자상(2015)을 수상했다. 이차전지 소재 및 시스템 연구가 주요 연구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