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종로점] 서가 단면도
(0)

《한국일보》 문화부장 라제기가 〈어벤져스〉부터 〈기생충〉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이 열광했던 영화를 통해 우리 사회의 단면을 읽어 낸다. 10년이 넘게 영화 현장의 최전선에서 영화 전문 기자로 활동했으며 여전히 ‘시네 마니아’를 꿈꾸고 있는 저자는 다시 볼수록 깊이가 더해지는 25편의 영화를 소환해, 청소년들에게 제대로 감상해 보자고 제안한다. 무심코 기분 전환을 위해 본 영화일지라도 스쳐 지나가는 대사들을 곱씹고, 스크린에 투영된 사회적 배경을 되짚어 보면 근사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이다.

<질문하는 영화들>은 영화라는 프레임 밖으로 나가서 영화 속 이야기를 들여다보자고 손 내미는 책이다. 저자 라제기는 일간지 기자다운 예민한 사회적 감수성, 영화 마니아다운 날카로운 통찰로 영화 속에 담긴 사회와 역사, 문화와 일상 등의 코드에 자유자재로 접속한다. 그는 우리 사회 무의식과 대중의 욕망을 들여다보며 이야기의 맥락을 끝없이 확장시킨다. 그럼으로써 영화관에서 조용히 가슴속에 묻어 둔 질문을 꺼내 영화 이야기에 동참하라고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부추킨다.

8·15 해방 정국에서 친일파를 속시원하게 단죄한 〈암살〉의 결론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아버지가 아들을 살해한 〈사도〉의 참혹한 비극을 오늘날 부모 자식 관계에 빗대어 본다면? 〈기생충〉의 기택 가족과 문광 부부의 갈등이 상징하는 자본주의의 모순은 무엇일까? 그렇게 영화가 던지는 질문 속에서 포착한 메시지는 사뭇 진지하다.

자본주의, 근현대사, 국가, 전쟁과 평화, 가족과 같은 묵직한 문제에서부터 최근 대중문화의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페미니즘, 자연과 인간의 관계까지 망라한다. 25편의 영화를 거울 삼아 세계를 깊숙이 들여다본 책으로, ‘영혼 없는 영화 관람’을 넘어 ‘제대로 된 감상’을 하고 싶은 청소년에게 든든한 길잡이가 되어 준다.

첫문장
우리는 언제나 무언가를 욕망하지요. 좀 더 나은 음식, 좋은 옷, 안락한 집, 남보다 나은 성과, 지금보다 괜찮은 직장 등등.

이준익 ([왕의남자] [황산벌] 영화감독)
: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를 야무지게 파고드는 반가운 책”

한 편의 영화가 개봉되고 나면 극장가 주변에는 입소문이 돌기 시작한다. “잘 만들었다”, “반전이 기막히다”, “그저 그렇다”, “지루하다”…. 관객들의 발길을 영화관으로 돌리게 할 수도 있고, 매표소 앞에서 잠시 머뭇거리게 할 수 있는, 짧지만 의외로 힘이 센 말들이다. 하지만 영화관에서 나오고 나면 이런 단편적인 말들로는 부족하다. 왜 좋은지, 어떤 장면이 좋았는지, 누군가와 걸쭉한 수다를 늘어놓고 싶지 않는가.
『질문하는 영화들』은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를 야무지게 파고드는 반가운 책이다. 영화의 여운을 되살려 내는 섬세함은 기본이요, 스크린 너머를 꿰뚫어 보는 사회적 감수성은 덤이다. 많은 이들이 이 책을 읽고 극장을 나오고서도 영화 이야기를 길게 이어 갔으면 한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국일보 2019년 9월 26일자

최근작 :<말을 거는 영화들>,<질문하는 영화들>,<인성, 영화로 배우다> … 총 4종 (모두보기)
소개 :

북트리거   
최근작 :<막힘없이, 토론!>,<시장의 빌런들>,<매일 쓸 것, 뭐라도 쓸 것>등 총 85종
대표분야 :교양 인문학 2위 (브랜드 지수 7,480점)
추천도서 :<[세트] 문헌학자의 현대 한국 답사기 1~2 - 전2권>
추천글: 『문헌학자의 현대 한국 답사기 1·2』는 2017년 여름부터 ‘도시 답사’를 시작한 문헌학자 김시덕의 답사 방법론과 그의 전국 답사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서울과 경기도라는 도시지역에 관심을 두고 출발한 김시덕의 답사는 어느덧 전국 곳곳의 도시는 물론 농촌, 산촌, 어촌 지역에까지 이르러 일종의 ‘문명론 탐구’라는 성격을 띠게 되었다. 급변하는 21세기 초 한국의 모습, 오늘날까지 이 땅에 발 딛고 살아온 시민들의 다채로운 삶을 김시덕은 생생히 포착해 낸다. 운전면허 없이, 오롯이 두 발로 뚜벅뚜벅 걸으며.

북트리거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