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올림픽을 향한 세상의 시선이 승패의 결과와 메달의 색깔에 모아진다면, 해부학자는 선수들의 몸에 주목한다. 알리의 주먹(1964년 올림픽), 코마네치의 발목(1976년 올림픽), 조던의 무릎(1992년 올림픽), 펠프스의 허파(2008년 올림픽), 볼트의 허벅지근육(2008년~2016년 올림픽), 태극궁사들의 입술(1984년~2020년 올림픽) 등 올림픽 영웅들의 뼈와 살에는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해부학적 코드가 숨어있다.
저자는 하계 올림픽 중에서 28개 종목을 선별하여 스포츠에 담긴 인체의 속성을 해부학의 언어로 풀어낸다. 복싱편에서는 복서에게 치명적인 뇌세포손상증을 가져다주는 펀치 드렁크 신드롬이 만연함에도 불구하고 국제복싱협회가 헤드기어 착용을 폐지한 연유를 파헤친다. 유도편에서는 200가지가 넘는 기술 중에서 외십자조르기가 목동맥삼각에 위해를 끼쳐 산소부족 상태를 초래해 뇌 손상에 이르는 과정을 규명한다. 육상편에서는 우리 몸의 근육조직을 이루는 속근과 지근이 단거리와 장거리 경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및 마라톤선수의 스포츠심장과 발바닥 구조에 담긴 함의를 해부한다. 축구 역사의 패러다임을 바꾼 회전(스핀)킥과 무회전킥에 얽힌 종아리근육의 구조를 해부도를 통해 풀어낸 대목에서는 우리 몸 곳곳을 다층적으로 탐사하는 해부학의 유니크한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스포츠를 의학의 카테고리에 가두지 않고 해당 종목의 역사적 연원과 과학기술 및 사회적 함의를 살피는 데도 지면을 아끼지 않는다. 수영선수의 전신수영복이 빚은 기술도핑, 사이클에서 불거진 스테로이드 오남용, 복싱과 사격 및 탁구에 담긴 정치외교적 속내, 자본의 논리에 함몰된 비인기종목에 숨겨진 가치에 이르기까지 분야와 관점을 넘나드는 이야기의 향연은 그 자체가 다양성의 미학을 펼치는 올림픽과 닮았다. [프롤로그] ‘최선’이 남긴 상처의 통증유발점을 찾아서 ![]() : 코트 위를 영원히 평정할 것 같았던 마이클 조던이 무릎을 부여잡고 쓰러지던 장면을 잊을 수가 없다. 순간 조던이 속한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은 물 건너갔지만, 해부학자인 저자는 그의 무릎에 찬 물에서 세월의 흔적을 읽는다. 인간의 몸은 유한하다. 조던도 예외는 아니었다. 조던을 비롯한 스포츠 영웅들의 몸에 새겨진 나이테를 해부학의 언어로 풀어낸 이 책은, 의학의 강을 풍요롭게 한다. : 고대 올림픽에서는 선수들이 벌거벗은 채로 경기에 출전했다. 체조를 뜻하는 gymnastics는 ‘벌거숭이’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gymnos에서 유래했다. 해부학의 탐구대상도 벌거벗은 인간의 몸이다. 그렇게 올림픽과 해부학은 인간 본연의 몸이라는 근원적인 공통분모 위에서 진화해 왔다. 올림픽이 인간이 표출하는 가장 이상적인 몸짓의 향연이라면, 해부학은 인간의 상처가 시작되는 통증유발점을 찾는 여정이다. 올림픽을 향한 해부학자의 시선은 우리 몸의 명과 암을 되돌아보게 한다. : 올림픽과 해부학이라! 낯설지만 그만큼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 책은 올림픽 종목마다 경이로운 성과를 거둔 선수들의 몸을 통해 스포츠에 담긴 의학적 지식은 물론 인문학적 교양까지 종으로 횡으로 펼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인간의 몸을 가장 아름다운 예술 그 자체로 여겼다. 그런 의미에서 고대 올림픽은 신이 빚어낸 가장 아름다운 창조물을 뽐내는 전시장이었다. 저자는 마치 미술관의 도슨트처럼 인간의 몸이라는 예술작품을 해부학적 관점으로 친절하게 안내한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