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이렇게 유쾌하다면 루저로 사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연체된 인생들, 찌질한 네 남자가 코딱지만 한 망원동 옥탑방에서 기묘한 동거를 시작한다. “개인이란 없다! 우리는 우리를 간섭한다.” 대책 없는 포 트러블 브라더스가 뒤죽박죽 뒤엉켜 펼치는 고군분투 인생 재기 프로젝트!
‘나’는 35세의 무명 만화가. 현재 마땅한 일감이 없는 ‘사실상 백수’로 서울 망원동의 8평짜리 옥탑방에 살고 있다. 어느 무더운 여름, 망원동 옥탑방은 방주인인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20대 만년 고시생 ‘삼척동자’, 30대 백수 ‘나’, 40대 기러기 아빠 ‘김 부장’, 50대 황혼이혼남 ‘싸부’가 함께 지내는 공간이 된다. 거기다 집주인 60대 ‘오지랖 할아버지’와 그의 손자 10대 ‘자퇴생’까지 내 옥탑방을 들락거린다. 여름의 끝. 인구밀도가 극단적으로 높은 망원동 옥탑방은 그야말로 불지옥이자 세대별 문제 남성들이 종류별로 진열된 장소가 되었다. ![]() : 소설의 한 구절에서처럼, 다들 인생이 연체된 건 똑같다. 망원동 옥탑방에 우연찮게 함께 살게 된 네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소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여자까지…… 다들 연체된 인생이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내일을 향해 조금씩 걸어가는 이야기다. 작가의 망원동 집에 여러 번 신세 진 적이 있어서인지 나에겐 이 소설이 너무 낯익다. 그의 달변이 소설에서는 찰진 입담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이 소설은 치명적으로 술을 부른다. 소설을 읽고 나면 누구나, 피가 섞이진 않았지만 가족같이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술이 마시고 싶어질 것이다. 다음 날엔 아구아구 해장국이 먹고 싶어질 테고. : 『망원동 브라더스』에서 주인공 오 작가가 사는 8평 옥탑방은 퍼시 애들론의 영화 <바그다드 카페>와 일맥상통하는 공간이다. 물론 모하비 사막에 덩그러니 놓인 영화 속의 공간과 찌질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서울의 옥탑방이 어찌 같겠냐만, 서로를 이해하고 끌어안아 그 공간을 사랑이 충만한 지상 최대의 낙원으로 만들어가려는 따뜻한 시선은 각기 다른 공간을 완벽하게 같은 곳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소설 속 인물들은 찌질하다 못해 사랑스럽다! 그들이 펼치는 긍정적 삶의 태도는 ‘세상은 살 만한 가치가 있는가’란 비관적인 질문에 답하듯, 서로를 보듬어주고 살다 보면 그 삶 또한 충분히 살아갈 가치가 있지 않은가를 웃음을 통해 증명해내고 있다. 그래서 좋다. 작가의 따뜻한 시선이 소설을 의미 있게 만들어내고 있다. 다들 웃으며 즐기시길. 책을 읽다 보면 정말이지 망원동에 가고 싶어진다. 소설처럼 희망을 찾아가는 각자의 현실들이 실현되기를 진심으로 고대하며……. : 나는 이 책의 작가를 만나고 싶지 않다. 십중팔구 실망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제아무리 훌륭하고 매력적인 사람이라 한들 이 책보다 훌륭하고 매력적이겠는가. 『망원동 브라더스』는 그런 작품이다. 작가가 궁금해지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작가를 외면하고 싶어지는, 그 자체로 빛나는 텍스트. 지지리 궁상맞은 네 남자가 코딱지만 한 옥탑방에서 아웅다웅 동거하는 이야기라는 설명만 들으면 누구나 칙칙한 풍경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이 소설은 놀랍게도 사랑스럽고 따뜻하며 유쾌하다. 작가는 구질구질한 세상을 기분 좋게 웃으며 건너가는 법을 알고 그것을 소설로 묘파해냈다. 실로 고수의 솜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