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천안신불당점] 서가 단면도
(0)

김행수 영화감독이 영화 제작과 함께 동시 출간한 구법(求法) 장편소설. 저자는 이 작품을 쓴 이유에 대해 "단 한번뿐인 인간의 소중한 삶을 지 맘으로 살아야 하는지, 남의 마음으로 살아야 하는지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共有)해 보고 싶어서였다"고 책에서 말한다.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지점은 대자유인이다. 어떻게 하면 지긋지긋한 인간계에서 진정한 대자유인(大自由人)이 될 수 있는가? 어디에도 걸림 없이 사자에도 놀라지 않고 바람에도 걸리지 않는, 막힘없는 삶을 끝낼 수 있는가? 이와 함께 김행수 감독은 "내가 가고 싶었던 그 길을 통해 말하고 싶었다. 남은 생(生) 그 길에서 내리고 싶은 마음 또한 없다"고 고백한다.

들어가며 / 스님! 도가 무엇입니까? / 어린 상좌 / 인간은 부처가 될 수 없다 / 만행, 그 세상길 위에서 / 지 마음 챙겨야지, 왜 남의 마음속을 들락거리는가? / 중생은 무엇이고? 부처는 무엇이냐? / 일대사를 해결하기 전에는 죽어서 만나자 / 살고 싶으면 이 뭣고를 붙들어라! /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 어머니 자궁 속 이전의 나는? / 이제 내 늙은 몸뚱이는 버려야겠다 / 적멸에 들다 /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라! / 眞 空 妙 有 / 마치며 / 작가 후기

: 영화제작과 동시 출간되는 『공유(空有)』는 산중 선사 묵계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인간 구원의 메시지와 묵계스님의 상좌 묘진(妙眞)과 법공(法空)의 입장에서 전하는, 수행자이기 전에 인간이 진실로 지녀야 할 삶의 가치가 무엇이며, 진리(眞理)에 이르기까지 감당해야 할 뼈저린 고뇌가 원작자인 영화감독 김행수의 의식으로 분해 용해(溶解)되어, 관객과 독자에게 큰 울림으로 다가오리라 생각한다.
인간이 세상에 와서 제 아무리 호사롭게 살았다 하지만, 때가 되면 이 생(生) 끝이라는 죽음은 피해 갈 수 없는 필연을 겪게 된다.
진정한 의미의 자유(自由)란 무엇인가?
진정한 자유 없이 인간이 행복할 수 있는가?
작품 『공유(空有)』에서 진정한 자유의 정의는 생사(生死)를 넘는 것이라 한다.
진정한 자유란? 태어남과 죽음에서 벗어날 때만 진정한 자유인(自由人)이 되는 것이라 한다.
인간은 고통스럽지 않아야 한다. 행복해야 한다. 우리는 늘 행복을 구하면서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고민하지 않는다.
재물을 모으는 것보다, 명예를 얻는 것보다, 나를 드러내는 일보다 시급한 것은, 대자유인 (大自由人)이 되는 것을 먼저 마치는 것이, 진실(眞實)로 행복한 생(生)이라 한다.
특히나 산중 묵계스님이 적멸(寂滅)에 들면서 자신의 육신(肉身)을 물고기에게 주라는 유언은, 많은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머릿속에 남아 있을 것 같다.
행복해야 할 인간의 삶은 고통이다. 삶의 고뇌를 진 수많은 독자들이 공유(空有)를 읽고 진정한 대자유(大自由)를 찾았으면 좋겠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동아일보 2018년 4월 21일자 '새로 나왔어요'

최근작 :<가락국왕 김수로 0048>,<공유> … 총 2종 (모두보기)
소개 :영화감독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졸업
전) 한국영화감독협회 부이사장
전) 대종상영화제 조직위원
전) 춘사대상영화제 심사위원
2018년 현) 청소년 세상충돌공모전 조직위원장
현) 밀짚모자영화학교 교장

김행수 (지은이)의 말
소설 제목 「공유(空有)」는 ‘진공묘유(眞空妙有)’에서 뽑았다.
나는 아직도 진공묘유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알지 못하면서 굳이 진공묘유를 내세웠을까?
대답은 간단하다. 나라고 하는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오래 전부터 고민해 왔기 때문이다.
어깨 너머로 듣고 배운 것이 있다면, 공(空)은 유(有)를 만나야 공(空)의 실체를 알 수 있는 것이고, 유는 공이 있어야 비로소 유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공이 유고, 유가 공이라는 말과 다르면서도 다르지 않다.
또한 진공은 무극으로 체(體)이며 공(空)이고, 묘유는 태극으로 용(用)이며 색(色)이라는 것쯤으로 나는 이해하고 있다.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지점은 대자유인이다.
어떻게 하면 인간계에서 진정한 대자유인(大自由人)이 될 수 있는가? 어디에도 걸림 없이 사자에도 놀라지 않고 바람에도 걸리지 않는, 막힘없는 삶을 끝낼 수 있는가?
누구나 가고 싶었던 그 길을 공유를 통해 느끼고 싶었다. 남은 생(生) 그 길에서 내리고 싶은 마음 또한 없다.
어디서나 이기적인 세상의 체질은 변하지 않고, 문명이 발달하면 할수록 사욕이 사람의 눈을 가리니, 아무리 둘러봐도 대의적 인간 구원의 손길은 들리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도 그 사악함은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을 성싶다.
다음 생(生)에도 똑같은 고통을 짊어지고 살아갈 수는 없는 일이지 않은가? 이생에서 결판을 짓고 끝을 내야 하지 않을까.
책 한 권, 영화 한 편이 사람이 살아가는 데 무슨 큰 도움이 되겠냐만, 진리(眞理)를 구하는 일에 크고 작음이 있겠는가?
내가 감히 「공유」를 쓴 것은 단 한번뿐인 인간의 소중한 삶을 지 맘으로 살아야 하는지, 남의 마음으로 살아야 하는지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共有)해 보고 싶어서이다.
인간의 삶이 얼마나 소중한가. 그렇듯 소중한 삶을 끄달림에 뺏긴 채, 남의 마음으로 허비해 버릴 수는 없지 않은가. 한순간 한순간이 얼마나 소중한 생(生)인데 남의 마음으로 허비해 버린다는 것인가?
진정한 행복은 죽음을 뛰어넘어야 한다. 세상에서 가장 큰 사건은 자신의 죽음이다. 그 앞에 그 어떤 명예도, 재물도, 사랑도 봄눈에 지나지 않는다. 불행하게도 나뿐만 아니라 대개의 사람들은 거기, 세상의 끄달림에 목숨이 다하고 온 곳도 갈 곳도 모른 채 떠난다.
남의 마음으로 살아서는 절대로 그것을 넘을 수 없다. 죽음 직전에 남의 마음으로 살았다는 사실을 알고, 지 맘을 찾으려 발버둥쳐 보지만 돌이킬 수 없게 된다.
최소한 공유(空有)를 이해한다면,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생이 되지 않을까 싶다.
불법의 근본은 진공묘유에 있으며 공유(空有), 즉 진공묘유를 모르고 화엄법계연기(華嚴法界緣起)를 말할 수 있겠는가?
진공묘유를 떠나 무슨 불법(佛法)을 더 논할 것이며, 내 본래의 모습을 어디에서 찾는단 말인가?
“진공묘유가 무엇인가”
“지 맘을 보는 것이다.”
“지 맘이 무엇인가”
“우주의 중심자리다.”
“우주의 중심자리가 무엇인가”
나는 우주의 중심 자리가 부처의 자리라고 말한다.
아직은 이 말에 틀림을 찾지 못했다.
시간에 쫓겨 가며 밤낮으로 책을 만드느라 수고해 주신 말벗 출판사 직원들에게 마음의 고마움을 보낸다.
끝으로 나의 생각과 다른 분들에게 누(累)가 되지 않기 바란다.

김행수 영화감독이 영화 제작과 함께 동시 출간한 구법(求法) 장편소설이다.
저자는 이 작품을 쓴 이유에 대해 “단 한번뿐인 인간의 소중한 삶을 지 맘으로 살아야 하는지, 남의 마음으로 살아야 하는지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共有)해 보고 싶어서였다”고 책에서 말한다.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지점은 대자유인이다.
어떻게 하면 지긋지긋한 인간계에서 진정한 대자유인(大自由人)이 될 수 있는가?
어디에도 걸림 없이 사자에도 놀라지 않고 바람에도 걸리지 않는, 막힘없는 삶을 끝낼 수 있는가?
이와 함께 김행수 감독은 “내가 가고 싶었던 그 길을 통해 말하고 싶었다. 남은 생(生) 그 길에서 내리고 싶은 마음 또한 없다”고 고백한다.
불교소설이 뜸한 이 시대에 그야말로 단비 같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