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의 기술과 새로운 기술의 영역을 분류하고, 새로운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기술을 설명하고 융합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개요로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정의와 국·내외 동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스마트 기술의 기초로서 디바이스 관련 기술, 네트워크 관련 기술, 상황인식 관련 기술, 생체인식 관련 기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부 4차 산업혁명 관련 스마트 기술의 응용에서는 커넥티드 홈, 제품·서비스 융합, 웨어러블 컴퓨팅, 빅데이터 활용 등으로 구성된다. 마지막 제4부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영향력에서는 개인, 산업, 사회 속에서 이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작 :<챗GPT와 함께하는 컴퓨터개론> ,<소비자 행동론>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이해> … 총 16종 (모두보기) 소개 :동국대학교 DUICA 교수. 서강대학교 경영학박사,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박사를 취득하였고, 동국대 DUICA 입시홍보팀장과 해외학위과정 학부장을 역임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학문적 접근을 조직운영에 실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기술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여, 2018년 이후에 계속해서 Marquia Who’s Who 인명사전에 등재되고 있다. 현재 경찰청 과학수사자문위원(법과학 분야), 국제 e-비즈니스학회 상임이사, 국가기술자격 전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슬기로운 생활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론』(2021), 『따라하며 배우는 웹 프로그래밍』(2020),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기술의 이해』(2018), 『빅데이터활용과 광고사례기반의 소비자행동론』(2017, 공저, 우수학술도서선정), 『유비쿼터스의 이해』(2012, 공저), 『인터넷 프로그래밍 기초』(2008), 『U시대의 인터넷 윤리』(2006, 공저, 우수학술도서선정), 『전자상거래 시스템운영 및 관리』(2003), 『향이 있는 자바스크립트』(2001) 등 총 14권이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모든 일상이 재해석되는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바이러스를 극복하는 다양한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 모든 문제해결의 시작과 끝을 기술, 일명 테크가 감당해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기술들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자연스럽게 일상으로 파고들었고, 대부분 사람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는 이전보다 훨씬 적극적이다.
현재는 이전의 IT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새로운 스마트 기술의 활용 범위에 대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요구하고 있다. 하나, 이는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시공간을 초월하고, 사람들만이 할 수 있는 초지능성을 기반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솔루션을 찾아내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을 활용하는 현장, 학교,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실질적인 고민과 통찰이 필요하다. 시대적인 요구를 학생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교수님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고 설명하지만, 강의마다 개인적 자료들을 덧붙여 한 학기를 채우면서 올바른 방향에 대해서는 언제나 의구심을 품고 있다. 현실은 융합으로 다양한 시너지를 내야 하는데, 학문적인 접근은 언제나 분리된 엄함으로 학문 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학문적 현실이 융합의 실마리를 찾아내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생각에 연구자로서 조금은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집필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
이 책은 이전의 기술과 새로운 기술의 영역을 분류하고, 새로운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기술을 설명하고 융합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제1부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개요로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정의와 국·내외 동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스마트 기술의 기초로서 디바이스 관련 기술, 네트워크 관련 기술, 상황인식 관련 기술, 생체인식 관련 기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부 4차 산업혁명 관련 스마트 기술의 응용에서는 커넥티드 홈, 제품·서비스 융합, 웨어러블 컴퓨팅, 빅데이터 활용 등으로 구성된다.
마지막 제4부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기술의 영향력에서는 개인, 산업, 사회 속에서 이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