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말
1. 유년기, 인생항로를 결정지어준 도천의 교훈
- 경성유치원, 교동보통학교, 파고다공원, 종로의 진풍경들
2. 한이 승화될 때 예술이 된다
- 한과 예술, 서울말
3. 영화 '아리랑'에 깃든 함경도 사람들의 민족의식
- 일본의 식민지정책, 북청물장수, 임성구와 나운규
4. 일제를 거치면서 왜곡된 '풍류'의 타락상
- 요릿집과 기생, 가부끼와 사당패
5. 땅을 딛고 살되 이상은 하늘의 달과 같이
- 최승희, 종로의 극장, 토월회 창단, 광주학생사건
6. 엇갈리는 신극 공연의 효시
- 도항증명서, 이인직과 임성구, 이등박문, 배구자
7. 역류하기 시작한 한일간의 문화교류
- 1930년대 미완성의 일본, 동양극장
8. 연출은 타이밍이다
- 요리와 연극의 공통점
9 . 동해ㅡ물과 동ㅡ해물
- 친일파의 유형과 문화예술계의 표절
10. 데카당스의 시대
- 일제시대 예술풍조, 이광수와 김동인, 극예술연구회, 서정주와 이상
11.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하던 12월 8일 나는 결혼했다
- 1940년대 일본의 신정치체제와 서울의 풍경
12. 그대와 나
- 만주국 이주, 리고랑과 이창용, 미성년의 기준
13. 명치좌의 아트락숀쇼
- 일제 말기 강요된 문화
14. 집에 들어가면 '빨간 딱지'가 와 있을까봐 겁이 났다
- 징병과 징용
15. 전쟁은 언제 끝납니까?
- 각설이패, 해방직전 현실의 답답함
16. 송진우, 여운형, 박헌영 트로이카의 부상과 몰락
- 서울의 해방 분위기, 좌.우익의 대립
17. 이승만의 실패한 '반일'
- 미군정기의 정치적 소용돌이와 대한민국정부수립
18. 유행병처럼 번진 민주주의 열풍
- 제국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한국식 민주주의
19. 배꽃계집배움터와 번개딸딸이
- 한글전용
20. 한국연극계의 판도를 바꾼 김두한의 심영 피습사건
- 일제시대의 주먹들, 해방직후 연극계 동향
21. 인생에서 운이란
- 미신과 신앙, 이중섭과 추송웅
22. 첫 단추를 잘 꿰어야
- 국립극장 개관, 6.25 전쟁
23. 파랑새
- 연극동맹의 귀환, 납치와 부역, 민극 창단
24. '대추나무' 하나 가지고 '왜 싸워?'
- 서항석과 유치진의 헤게모니, 팔월극장
25. 옹헤야
- 임화수와 반공예술인단, 예그린악단
26. 광화문 유감
- 광화문 현판과 이순신동상
27. 장소가 바뀌면 예술도 바뀐다
- 서양의 오페라와 일본의 소녀가극단, 조선성악연구회와 여성국극단, 국립창극단
28. 영화에 담긴 인생, 인생이 담긴 영화
- 초창기 한국영화제
29. 개혁과 국익
- 일본식 한자용어의 문제점
30. 후라이보이, "40대는 물러나라"
- 세대교체론
31. 들에 핀 이름모를 꽃
- 송병준과 돈키호테형 인간
32. 예술, 현실, 예술가 1
- 예술의 기원과 서구의 극작가들
33. 예술, 현실, 예술가 2
- 예술의 본질과 현대예술
34. 인도주의
- 톨스토이의 부활
35. 유명 그리고 미지의 여생
- 늙음과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