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설-한국사란 무엇인가
1. 국토와 자연환경
2. 한국문화의 특성
3. 한국인의 생존능력
4. 왕조교체의 의미
5. 사관의 여러 유형과 문제점
1편 고대 연맹국가_고조선과 열국
제1장 한국인과 한국문화의 기원
1. 구석기인
2. 신석기인
3. 청동기인
제2장 고조선과 열국
1. 고조선
2. 열국의 병립
2편 고대 귀족국가_삼국과 남북국
제1장 사국의 성립과 발전
1. 사국의 성립과 발전
2. 백제의 건국과 발전
3. 신라의 건국과 발전
4. 가야의 흥망
5. 고구려의 수·당과의 전쟁
6. 백제의 멸망
7. 고구려의 멸망
8. 신라의 반당전쟁과 삼국통일의 의의
제2장 삼국의 사회와 문화
1. 삼국의 통치조직
2. 삼국의 신분계급구조
3. 삼국의 문화
4. 삼국인의 일본 이주와 삼국문화의 일본 전파
제3장 발해와 그 문화
1. 발해 건국과 남북국시대
2. 발해의 정치와 경제
3. 발해의 문화
제4장 통일신라의 사회와 문화
1. 중앙집권체제 강화
2. 통일신라 귀족과 서민의 생활
3. 농업, 수공업, 국제무역
4. 통일신라의 문화
3편 중세귀족-관료국가_고려
제1장 후삼국과 고려의 건국
1. 신라 말 귀족세력의 반란
2. 6두품과 호족세력의 성장
3. 후삼국의 성립
4. 왕건의 후삼국 통일
제2장 고려 전기의 정치와 사회
1. 중앙집권적 양반체제 정비과정
2. 통치체제의 정비
3. 경제구조와 신분제도
4. 신분계급 구조
제3장 거란과의 전쟁과 송과의 문화교류
1. 거란과의 전쟁
2. 송과의 교류와 국위선양
제4장 고려 전기의 문화
1. 유교정치와 유교문화
2. 불교문화
3. 풍수지리, 제사, 민간신앙
4. 고려 전기의 예술
5. 고려 전기의 역사편찬
제5장 문벌의 등장과 고려사회의 동요
1. 여진족의 성장과 윤관의 9성 설치
2.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3. 무신의 난과 최씨정권
4. 무신집권기 지방사회의 동요
5. 무신집권시대의 문화
제6장 몽골과의 전쟁과 사대부의 성장
1. 몽골과의 전쟁
2. 원의 간섭과 고려정치의 굴절
3. 공민왕의 개혁
4. 사대부=성리학자의 성장과 그 문화
4편 근세 관료국가_조선
제1장 조선왕조의 성립
1. 이성계 일파의 역성혁명
2. 새 국호, 새 수도
3. 국가체제의 완성
4. 영토확장과 대외관계
제2장 조선 통치체제의 재편성
1. 관료기구의 재정비
2. 부역체제
3. 신분개편과 계층구조
4. 교육과 선거제도
5. 병역제도와 군대조직
제3장 조선 초기의 경제발전
1. 농업의 발전
2. 수공업의 발전
3. 상업의 발전
제4장 조선 초기의 문화
1. 성리학의 발달
2. 역사, 지리, 예서의 편찬
3. 훈민정음의 창제
4. 과학기술의 발전
5. 문학과 예술
제5장 16세기 사림의 성장과 그 문화
1. 부의 집중과 공납, 군역의 과중
2. 임꺽정 일당의 폭동과 정여립 반란
3. 사림의 등장과 사화, 당쟁
4. 16새가 사림문화
제6장 왜란과 호란
1. 임진왜란
2. 광해군의 전후복구사업과 중립외교
3. 인조반정과 호란
제7장 17~18세기의 왕조중흥
1. 효종~현종 대의 붕당연합과 북벌운동
2. 숙종 대 환국과 왕권강화
3. 영조의 탕평정책과 왕조중흥
4. 정조의 탕평책과 민국을 위한 개혁
5. 부세제도의 개선
6. 산업발전과 신분제의 변화
제8장 조선 후기의 문화와 중흥
1. 17~18세기 전반 실학의 대두와 발전
2. 18세기 후반 북학의 등장
3. 철학·종교의 새 경향
4. 국학 및 과학의 발달
5.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제9장 19세기 전반 서울과 지방의 갈등
1. 순조시대 세도정치와 홍경래의 난
2. 헌종~철종 대의 세도정치와 삼남민란
3. 19세기 전반기의 문화
5편 근대 산업국가_꿈과 좌절
제1장 문호개방과 개혁운동
1. 대원군의 개혁과 병인양요·신미양요
2. 고종의 개화정책과 세력균형정책
제2장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개혁
1. 동도개화정책의 확산(1884~1984)
2. 외교의 다변화와 자립경제 수호정책
3. 동학교도의 종교투쟁
4. 갑오동학농민전쟁
5. 변법개화파의 갑오개혁
제3장 근대국가-대한제국의 성립과 몰락
1. 일본의 명성황후 시해와 을미의병
2. 대한제국 성립과 광무개혁
3. 독립협회의 민권운동
4. 일본의 주권탈취
5. 일제의 경제침략
제4장 항일의병전쟁과 구국계몽운동
1. 항일의병전쟁
2. 구국계몽운동
제5장 일제강점기(1)-1910년대의 민족해방운동
1.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제적 약탈
2. 1910년대 국외·국내의 민족운동과 3·1 운동
제6장 일제강점기(2)-1920년대 실력양성운동과 민족협동운동
1. 일제의 기만적 문화통치와 경제수탈
2.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3. 만주지역의 무장투쟁
4. 민족문화 수호운동과 사회주의운동
5. 국내외 민족협동운동의 진전
제7장 일제강점기(3)-1930~1940년대 초의 민족통일전선운동
1. 일제의 중국침략과 한국의 병참기지화
2.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3. 민족문화 수호운동
4. 민족연합전선과 항일무장투쟁의 강화
5. 공산당 재건운동과 노동자·농민운동
6편 현대 민주국가_분단과 대한민국의 발전
제1장 광복과 대한민국의 탄생(1945~1948)
1. 8 ·15 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운동
2. 대한민국과 북한 정권의 수립(1948)
3. 일제잔재 청산의 진통
4. 사회·교육·문화 운동의 갈등
제2장 6 ·25 전쟁과 전후복구(1950~1959)
1. 6 ·25 전쟁 (1950~1959)
2. 6 ·25 전쟁 직후 정치적 혼란과 전후복구사업
3. 1950년대 북한의 독재강화와 사회주의정책
제3장 4·19 혁명과 남북한의 변화
1. 4·19 혁명(1960)
2. 민주당 정부(1950. 8~1961. 5)
3. 5·16 군사정변과 군정(1961. 5~1963. 12)
4. 박정희 정부-제3공화국(1963. 12~1972. 10)
5. 유신체제(1972. 10~1979. 10)
6. 1960~1970년대의 경제와 문화
7. 1960~1970년대의 북한의 변화
제4장 전두환, 노태우 정부와 북한의 변화
1. 신군부의 군사정변과 5·18 광주민주화운동(1979~1980)
2. 전두환 정부(1981. 3~1988. 2)
3. 민주화운동의 진전과 노태우 정부(1988. 3~1993. 2)
4. 1980~1990년대 북한의 변화
제5장 김영삼의 ‘문민정부’
1. 신군부시대 청산과 민족정기 회복
2. 금융실명제 실시, 세계화정책, 금융위기
3. 남북관계의 교착과 정계개편
4. 외환위기와 사회불안
제6장 김대중의 ‘국민의 정부’
1. ‘국민의 정부’의 경제개혁
2. 정부조직 및 교육개혁
3. 대북 포용정책과 남북정상의 만남
4. 스포츠와 문화
5. 여야의 정치적 갈등과 시민단체의 등장
제7장 노무현의 ‘참여정부’
1. 정치권의 세대교체와 이라크 참전
2. 대통령 탄핵, 개혁과 반발
3. 참여정부 시절의 남북관계
4. 참여정부 시대의 정제, 문화, 스포츠
5. 참여정부 말기 정치와 제17대 대통령 선거
제8장 이명박 정부
1. 쇠고기 수입 파동과 금융위기
2.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의 타계
3. 4대강 사업
4. 남북관계의 냉각
5. 스포츠와 문화
6. 제18대 대통령 선거
제9장 박근혜 정부의 출범과 최근의 북한경제
1. 박근혜 정부의 출범
2. 최근 북한의 경제사정
결론-새 천년을 열면서
부록
한국의 유네스코 유산
왕실세계도
참고도서
찾아보기
사진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