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문학 교수, 학습의 이론적 토대
1. 문학 교수, 학습의 철학적 기초 = 14
Ⅰ. 방법과 철학 사이 = 14
Ⅱ. 문학의 교육 작용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 18
Ⅲ. 문학 교수, 학습의 개념 변천 = 29
Ⅳ. 문학 교수, 학습 방법의 이원적 구조 = 36
2. 문학 교수, 학습의 교육과정론적 조명 = 44
Ⅰ.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 44
Ⅱ. 문학교육과정과 문학교수, 학습 = 47
Ⅲ. 문학교수, 학습의 실천적 국면 = 54
Ⅳ. 문학교수, 학습의 교육과정론적 의미 = 62
3. 문학 교수, 학습과 문학교육제도 = 67
Ⅰ. 문학교육제도에 관한 질문 방식 = 67
Ⅱ. 문학교육의 제도화 과정 = 74
Ⅲ. 문학교육제도와 주체의 관계 = 86
4. 문학 교수, 학습에서 문학이론의 역할 = 90
Ⅰ. 문학 교수, 학습에서 이론의 위치 = 90
Ⅱ. 이론에 대한 저항과 이론을 향한 지향 = 93
Ⅲ. 문학이론의 교실 수용을 위한 경로 = 99
Ⅳ. 상위이론을 통한 교실 수용의 실제 = 104
Ⅴ. 이론의 구체화 방향 = 115
제2장 문학 교수, 학습의 내용변인
1. 문학정서체험: 교육내용으로서의 본질과 가치 = 120
Ⅰ. 문학 수업의 한장면 = 120
Ⅱ. 문학교육에서 '정서'의 의미 = 122
Ⅲ. 체험을 통한 정서문화의 수용과 확산 = 127
Ⅳ. 정서체험진술의 의의 = 130
Ⅴ. 문학 수업의 가능 조건 = 133
2. 이념 인식으로서의 문학 전통과 문학 학습 = 137
Ⅰ. 문학과 전통 = 137
Ⅱ. 이념 표현으로서의 문학 담론 = 139
Ⅲ. 비판적 담론의 양식적 특성 = 143
Ⅳ. 비판적 대화로서의 시 전통 = 147
Ⅴ. 이념 인식으로서의 문학 수업 = 154
3. 문학적 장치의 대화적 교수, 학습 방법 = 158
Ⅰ. 문학적 장치의 교수, 학습상의 의미 = 158
Ⅱ. 교육 내용에 따른 교수, 학습방법의 모색 = 160
Ⅲ. 대화적 교수, 학습 방법 = 167
Ⅳ. 문학적 장치의 현동화 = 182
4. 문학사 교수, 학습의 지향점 = 186
Ⅰ. 문학과 문학교수 = 186
Ⅱ. 문학교육과 문학사 = 187
Ⅲ. 문학사의 특수성과 교육방안 = 189
Ⅳ. 문학이론 층위에서의 문학이론의 실제 = 191
Ⅴ. 문학비평 층위에서의 문학교육의 실제 = 195
Ⅵ. 문학사 차원에서의 문학교육의 실제 = 200
Ⅶ. 문학교육의 궁극성과 종합성 = 203
제3장 문학의 갈래별 교수, 학습 방법
1. 시의 교수, 학습 방법과 문제점 = 208
Ⅰ. 시 교육의 문제점과 지향점 = 208
Ⅱ. 교과서 수록 시의 위상 = 210
Ⅲ. 해석의 오류 = 212
Ⅳ. 제재 선택의 오류 = 217
Ⅴ. 교수, 학습 방법의 모색 = 222
2. 소설의 교수, 학습 방법과 실천논리 = 226
Ⅰ. 학교에서 배운 소설의 중요성 = 226
Ⅱ. 소설 잘 가르치고 배우기 = 230
Ⅲ. 소설 교육의 실천적 사례 = 235
Ⅳ. 소설 작품 해석의 다양성 = 241
Ⅴ. 소설 독서 체험의 확충 = 246
3. 수필의 교수, 학습 방법, 그 당위와 현실 = 251
Ⅰ. 수필의 정체성 되짚어보기 = 251
Ⅱ. 수필의 장르적 성격 = 253
Ⅲ. 증언으로서의 역사와 정체성을 위한 도정 = 258
Ⅳ. 교육 현장과 수필의 효용 = 261
Ⅴ. 일탈의 아름다움과 그 교육적 전략 = 268
4. 희곡의 교수, 학습방법 : 극본읽기의 경우 = 276
Ⅰ. 논의의 출발 = 276
Ⅱ. 극본 읽기의 교수, 학습 범주로서 '담화 장르' = 280
Ⅲ. '담화장르'를 중심으로 한 교수, 학습의 실제 = 285
Ⅳ. 비평 텍스트 생산 = 298
Ⅴ. 극본 읽기 교수, 학습의 교육적 효과 = 300
제4장 문학 교수, 학습의 목표별 전략
1. 문학현상 이해를 위한 교수, 학습 = 304
Ⅰ. 문학현상의 본질에 대한 문제 제기와 범주화 = 304
Ⅱ. 개념에 대한 과정적 접근 = 311
Ⅲ. 종합적 이해를 위한 전략 = 316
2. 상상력의 작동구조와 교수, 학습 = 322
Ⅰ. 상상력 교육 : 당위와 현실의 거리 = 322
Ⅱ. 상상력 교육의 근거 = 323
Ⅲ. 상상력의 작동구조 = 326
Ⅳ. 상상력이 작용하는 구체상 = 332
Ⅴ. 상상력의 교수, 학습 방법 = 342
Ⅵ. 상상력의 교육적 효용 = 346
3. 자아성장과 무학교수, 학습방법 = 349
Ⅰ. 문학과 인간, 그리고 사고 = 349
Ⅱ. 문학감상 과정의 속성 = 353
Ⅲ. 정의적 사고의 과정과 양상 = 360
Ⅳ. 문학의 감상과 인간성장 = 378
4. 매체변화와 문학 교수, 학습의 전략 = 380
Ⅰ. 매체의 변화와 교육 환경의 변화 = 380
Ⅱ. 다매체 환경의 정보 전달성 특성 = 382
Ⅲ. 다매체 환경에서의 문학 교수, 학습의 특징 = 385
Ⅳ. 다매체 환경에서의 문학 교수, 학습의 현황 = 391
Ⅴ. 다매체 환경에서의 문학 교수, 학습 방안과 전망 = 395
제5장 문학교수, 학습의 지평 확장
1. 문학 교수, 학습과 문학교재의 편수 = 402
Ⅰ. 문학교재의 교수, 학습상의 의의 = 402
Ⅱ. 교수, 학습과 문학교재 = 403
Ⅲ. 교수, 학습과 문학교재의 창조적 구조화 = 416
Ⅳ. 교수, 학습과 문학교재의 편수 = 421
Ⅴ. 문학교재 개발의 방안 = 431
2. 문학의 교수, 학습과 독자반응 연구 = 434
Ⅰ. 독자의 반응형태와 교수, 학습 방법 = 434
Ⅱ. 독자 반응의 제반 요인 = 436
Ⅲ. 독자 반응의 범주와 특성 = 443
Ⅳ. 읽기 선호도에 대한 관심 = 450
Ⅴ. 독자 반응이론과 문학교육의 방향 = 458
3. 문학교수, 학습의 새로운 발상과 도전 = 461
Ⅰ. 문학교육의 성격과 지향 = 461
Ⅱ. 문학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의 변천 = 464
Ⅲ. 문학교육의 새로운 도전 = 472
Ⅳ. 문학교육과 교수, 학습의 열린 지평 = 479
사항색인 = 485
인명색인 = 492
작품색인 =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