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걸어본다'라는 소박하지만 또렷한 목적 아래 매일같이 예술로 사는 작가들의 매일 같은 발걸음을 좇아보자 하는 의도로 기획된 '걸어본다' 시리즈 첫번째 책. 문학평론가 이광호가 현재 그의 생활의 터전이기도 한 '용산구'를 테마로 걷고 보고 쓰면서 발끝으로 관통해낸 이야기로, '용산에서의 독백'이라는 부제가 달린 책이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용산구'를 크게 서쪽과 동쪽과 남쪽으로 나누어 각각에 위치한 동네의 이야기를 전개하는 식이다. 1부는 '오래된 망각'이라는 제목 아래 삼각지, 효창공원, 청파동, 용산전자상가, 용산역, 서부이촌동을, 2부는 '나누어진 인공낙원'이라는 제목 아래 삼각지 화랑거리, 전쟁기념관, 녹사평역, 해방촌, 이태원, 후커 힐, 남산을 다룬다. 마지막 3부는 '침묵의 상속자들'이라는 제목 아래 한남동, 동부이촌동, 국립중앙박물관, 남일당 터를 다루고 있다. 각 부를 여는 앞 장마다 각 부별로 전개되는 산책 코스를 담은 지도 또한 빼먹지 않았다. ![]() : 서울서 25년간 발 딛고 살 때 나는 지층의 울림을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아니 무관심했다고 하는 편이 정직하다. 한 문학평론가의 ‘용산에서의 독백’을 읽고 그것을 깨달았다. 역사는 삶의 시각을 확대시킨다. 13세기 고려 말 몽고군이 병참기지로 활용했다는 용산 동쪽들판을 떠올리니 역사의 잔뿌리에 달려 있는 개인의 삶들이 보다 더 애잔하게 다가왔다. 근세사의 고독이 묻혀 있는 용산에서 시간의 지층을 고고학자처럼 파내려가는 이 산책자가 쏟아내는 삶의 잠언들은 불편하지만, 진실이기에 아름답다. “풍경은 풍경 너머로 나아가는 혼자만의 시선 때문에 자기 안의 상처처럼 박힌다.” “우연들의 의미를 찾아낸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 삶은 피할 수 없이 잔혹해 보인다.” “도시가 내 영혼의 텅 빈 공간으로 느껴질 때 이 거리는 내게 자기 처벌의 장소가 되었다.” 산책자를 뒤따라 ‘거대한 가상 무대와 같은’ 용산을 따라가면 혼란스러운 스타일의 드래곤 힐 스파, 흐린 오후 이태원의 이슬람 사원 앞 전화 부스에서 전화를 걸고 있는 아랍 청년의 깊고 불안한 두 눈, 철거민 다섯 명과 경찰 한 명이 숨진 옛 금은방 남일당 터의 주차장을 만난다. 용산은 바로 한국 현대사의 축소판이며 산책자가 그린 이 의식의 세밀화는 부박한 시대에 바치는 ‘진정성’이라는 선물과도 같다. ‘강물에 던져진 돌이 스스로 가라앉는 시간을 음미하는 것’ 같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겨레 신문 2014년 6월 8일자 - 중앙일보 2014년 6월 7일자 '책 속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