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소설집 『브로콜리 펀치』, 『모든 것들의 세계』, 연작소설 『좋은 곳에서 만나요』 등을 통해 현실을 돌파하는 능청스럽고 사랑스러운 상상력을 선보여 온 소설가 이유리의 소설집 『비눗방울 퐁』이 출간되었다. 2020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빨간 열매」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유리는 특유의 기발한 상상력과 위트 있는 문장으로 독자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아 왔다. 이유리가 펼치는 환상적인 이야기의 매력은 현실에 단단히 발붙인 채 어떠한 낭만도 거부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간다는 데에 있다.
『비눗방울 퐁』에서 이유리가 반복적으로 그리는 현실은 이별이다. 누구도 이별을 피할 수 없다. 사랑하는 사람은 언제든 떠날 수 있고, 모두가 죽음을 맞는다. 필연적인 이별을 마주한 이유리 소설의 인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별의 고통을 견뎌 낸다. 함께였던 기억을 팔아 버리고, 기쁨과 슬픔을 우려내어 술을 빚고, ‘우리’가 ‘너’와 ‘나’가 되었음을 서서히 받아들이며 떠나간 이의 평안을 빌어 준다. 하나였던 둘이 떨어져 나와 홀로서는 과정은 처절하고 고통스럽다. 이유리는 해피 엔딩을 위해 이별의 고통을 축소하지 않고 이별의 과정에서 떠오르는 복잡한 감정들을 모른 척하지도 않는다. 그저 그것들을 곱씹고 돌파할 쾌활한 상상과 명랑한 유머를 펼쳐 보인다. 사랑이 끝난 자리에서 잊고 회복하고 다시 사랑하려는 인물들은 매력적이다. 고통받는 이 인물들은 사랑의 한가운데에서 행복한 그 누구보다 아름답다. 유명한 노랫말처럼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는 우리에게 이유리의 소설은 경쾌한 재미에 더해 깊은 여운을 남긴다. 소설가 박서련의 말대로, 독자들은 ‘매일 이별하며’ 라고 선창하는 이유리를 따라 ‘살고 있구나’ 하고 따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살고 있구나, 라는 평범한 말의 아름다움에 조금 놀라면서.” 크로노스 7 ![]()
: “사랑의 진위를 사후적으로 판가름하는 기준은 역설적으로 이별의 고통에 있다. 그토록의 사랑이 아니었다면 이토록의 고통도 아니었을 것. 이 고통과 이 깨달음을 경유하여 이르는 성숙에도 뜻밖의 아름다움이 있다.
이별의 고통에서 회복한 이들은 더 이상 나는 뭐냐고 묻지 않게 된다. 스스로가 그때 무엇이었고 지금은 무엇인지를 정의할 수 있게 되었거나, 최소한 더는 타인에게 그 정의를 대행시킬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무엇이 어떠한지를 정의하고 사물과 사건에 의의를 부여하는 주체성은 스스로에게 돌아온다. “나도 나지만 너도 너”고(「크로노스」), “나는 여기서, (……) 너는 거기서” 살면 되고, 담금주는 “더럽게 맛있”고(「담금주의 맛」)……. 그리하여 『비눗방울 퐁』의 이별은 급습된 사건, 피치 못할 재난 즉 ‘당하는’ 것에 다름 아닌 동시에, 사랑에 내주었던 나의 모든 감각과 의견들을 ‘나’의 영역으로 되찾아오는 주체성 회복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이별을 견뎌낸 존재는 마침내, 다른 이름으로 저장된다. 큰 줄기는 그대로지만 이전과 같은 이야기가 아니게 된다. ‘너’를 쓴 문장들을 삭제하고도 다시 완연해진 서사로서의 나를 [SAVE]하는 이야기. 나는 이유리가 서사 속 존재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 바로 이것이라 믿는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