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종로점] 서가 단면도
(0)

2011년 제11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이 출간됐다. 이번 황순원문학상은 2010년 7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심사하였으며, 예심은 문학평론가 정홍수, 심진경, 백지연, 이수형, 허윤진이 맡았고, 본심은 소설가 최윤, 이승우, 방현석, 문학평론가 성민엽, 류보선이 맡았다. 본심에서의 치열한 논의 끝에 제11회 수상작은 윤성희의 '부메랑'으로 결정되었다.

수상작품집에는 수상작 '부메랑'을 비롯해 수상작가 윤성희가 직접 고른 자선작 '고독의 의무', '하다 만 말', '구멍'이 실려 있다. 세 편의 자선작은 윤성희 소설이 지니는 특징들을 대표하는 작품들로, 등단 이후 꾸준히 구축해온 윤성희 소설세계의 넓이와 깊이를 가늠하게 한다.

또 수상작가가 직접 쓴 연보, 정홍수 문학평론가의 작가론 '세계를 긍정하는 고독의 속도', 문학평론가 강동호의 수상작가 인터뷰 '모호한 삶 곁에서 서성이기' 등을 통해 수상작가를 다각도로 조명하여 소설가로서 윤성희와 그의 작품세계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최종후보에 오른 권여선, 김이설, 박형서, 성석제, 정미경, 조경란, 편혜영, 한강의 작품도 함께 실었다. 지난해 수상자이자 올해 본심 심사를 맡은 이승우 소설가는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열 편의 소설을 즐겁게 읽었다. 우리 소설 문학의 다양성과 깊이를 한눈에 보여주는 작품들을 읽으면서 기준과 취향에 따라 어떤 소설이든 수상작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총평을 했다.

: 권여선 「은반지」
권여선의 소설은 그 어떤 인물에게도 도덕적 우월성이나 윤리적 자부심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소통과 공감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상상을 지녔던 인물들은 불안한 관계들의 본질을 자각하고 자신의 내면에 잠복한 속물 의식을 돌아보는 순간까지 나아가게 된다. 인물에 대한 그로테스크한 풍자가 빛을 발하는 이 소설에서, 치밀한 잇속의 세계와 속물적 욕망들은 가족과 친구 사이에서 그 실체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소설의 주인공인 오여사는 계산적인 모녀관계에 회의를 느끼며 외딴 요양소에 있는 친구 심여사를 찾아가지만 자신을 반기지 않는 심여사의 싸늘한 모습에 놀란다. 심여사는 오여사가 서로 믿고 의지하는 징표로 선물한 ‘은반지’마저 내팽개치며 그들이 함께했던 시간이 ‘구렁텅이’이자 ‘개골창’에 불과했던 기만적인 일상이었음을 거침없이 폭로한다. 오여사가 느끼는 놀라움은 동정과 연민으로 포장된 오여사 자신의 이기심을 확인하는 당혹스러운 감정으로 연결된다. 소설에서 인물의 내면을 뒤흔드는 이 서늘한 각성의 순간은 ‘매일매일’ 잠복해 있던 진실이 ‘어느 날 갑자기’ 다가오면서 맞게 되는 고통스러운 자기 성찰의 시작을 알려주는 것이기도 하다.
: 김이설 「부고」
부고(訃告)〔명사〕: 사람의 죽음을 알림, 또는 그런 글. 김이설의 「부고」는 ‘부고’로 시작해서 ‘부고’로 끝난다. 각각 ‘나’의 친모와 친부의 부고가 그것이다. 그러나 소설의 앞뒤에 배치된 이 두 개의 부고 사이에 작가는 두 개의 죽음을 슬그머니 끄집어내는데, 그것은 바로 계모의 자식과 이복오빠의 부고 소식이다. 그런데 뜻밖에도 소설 속 진실은 바로 이 예기치 않은 둘의 죽음에 관한 소식을 통해 밝혀진다. 그것은 바로 계모와 ‘나’ 둘 다 성폭력의 피해자이자 그로 인해 원치 않은 임신을 한 적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나’는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이복오빠에게 강간당한다. 그러나 문제는 그 사건이 ‘나’의 진짜 불행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자신의 체면과 위신을 지키기 위해 딸의 불행을 덮어버린 아버지의 거짓말 때문에 ‘나’는 불행할 수조차 없는 불행한 삶을 감수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아버지의 죽음을 알리는 결말 부분의 ‘부고’란 바로 이러한 비밀과 거짓말로 간신히 유지되어온 가족의 폭력적 진실을, 그 허위와 기만을 폭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의 결말 부분에서 아버지의 부고를 알리면서 울음을 터뜨리는 계모와 그 울음소리를 묵묵히 견뎌주는 ‘나’의 모습이 관계의 파탄이나 삶의 종결이 아닌, 새로운 관계와 생의 시작을 알리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그 때문일 것이다. 진짜 가족은 어쩌면 그 순간 탄생하는지도 모른다.
: 박형서 「아르판」
박형서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재주가 탁월한 작가이다. 사소한 일상의 서사에서 거대한 문명사적 서사에 이
르기까지, 스케일에 구애되지 않는 뛰어난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질은 「아르판」에서 다시 한 번 그 진가를 발휘한다. 「아르판」은 태국과 미얀마의 접경지대에서 생활하는 ‘와카’라는 고산족에 대한 이야기이자 와카족 유일의 작가 아르판에 대한 이야기이며, 또한 아르판의 소설을 표절해 유명해진 한 젊은 작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텔레비전도 신문도 전기도 전화도 없는 세계의 끝에서 오직 높이에 대한 동경을 품은 채 살아가는 와카족의 삶과 그 맞은편에서 ‘제3세계작가축제’라는 이름을 빌려 굳이 오지의 작가들을 초청해 알량한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소위 문명세계의 삶이 이루는 교묘한 대비 속에서 이야기를 풀어내기 시작한 박형서는 어느덧, 작가의 서명 없이 전승되는 구술문학의 전통으로부터 ‘영향의 불안’이라는 포스트모던한 문학이론에 이르기까지 수천 연래에 걸친 이야기의 기원과 진화에 대해, 다시 말해 이야기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아르판」은 대단히 거창하고 복잡한 서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누군가의 이야기에 매료된 한 독자가 어떻게 작가가 되는가에 대해 이야기하는 아주 작은 서사이기도 하다. 소설을 쓰는 도중 간혹 “젠장, 나 되게 훌륭하네.”라는 의미의 미소를 짓는 아르판을 닮고 싶은 젊은 작가의 욕망, 아마도 박형서의 소설 「아르판」은 그 작은, 그러나 작가에게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바로 그 욕망에서 출발했을 것이다.
: 성석제 「남방」
남방 한 장을 걸치고 남방의 땅을 떠도는 오십대 중년 사내의 수다와 허세는 좀체 사실의 표면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는 절제된 묘사를 통해 고독의 증명을 향해 달려간다. 말 많고 참견하기 좋아하는 그 인물은 ‘약간만’ 우습다. 오토바이를 타고 라오스 산길 수백 킬로미터를 달리는 동안 참았다 쏟아내는 그의 말들은 부박하다. 그는 누구인가. 우리는 그 떠 있는 말들로부터 도망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다. 밀쳐내면 다시 다가오는 말들. 성석제의 「남방」은 그 말들의 진퇴만으로 쓸쓸한 소설의 리듬을 빚어낸다. 그리고 그 리듬을 따라 떠들썩한 말들이 숨기고 있는 고독의 음계가 드러난다. 고독의 증명보다, 무언가를 견디고 있는 듯한 소설의 리듬이 우리를 위로한다.
: 정미경 「파견 근무」
「파견 근무」의 주인공 ‘강’은 명문대 입학, 사법고시 합격, 판사 임용의 순서로 진행되는 엘리트적 삶의 코스를 당연하다는 듯 밟아온 인물이다. 언뜻 강은 마쓰모토 하지메가 말한 ‘자본이 요구하는 우등생’의 전형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그렇게 단순히 자본의 요구에 순응할 만큼 멍청하거나 몰아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그는 우리 모두가 그렇듯이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간에 권력체제와 자본주의 시스템에 스스로를 동화시킴으로써 간신히 자신의 삶을 유지하는 존재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순응적 존재로서의 자기 자신을 자각할 만큼 냉소적이고 관조적이다. 부조리하고 뻔한 현실을 알면서도 부정하거나 전복하는 대신, 그러한 현실을 무표정하게 관조하는 자의 우울, 그 병리적 진실이야말로 이 소설을 감싸는 정조를 이룬다. 그렇다면 체제 바깥으로의 탈주를 감행하지도, 그렇다고 체제에 안주하지도 못하는 이 파견 근무자의 선택은? 도박에 중독되기다. 안락한 삶을 담보로 자신의 몰락에 배팅하는 도박만이 우울한 부르주아를 간신히 움직이며 살아 있게 하는 추동력인 것이다. 자기 존재감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를 상실해야 하는 이 딜레마에 빠진 자가 어찌 ‘강’뿐이겠는가. 눈 뜨고 귀 연 사람들 모두 그렇지 않겠는가. 그러니 어쩌면 우리는 모두 중독자일는지도 모르겠다.
: 조경란 「학습의 生」
이 작품은 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 집과 길, 내부와 외부, 남과 여, 늙음과 젊음, 생성과 소멸의 대조적인 이미지들을 정교하게 직조하고 있다. 차근차근 쌓아올려진 섬세한 이미지들은 마당에서 쇠공을 던지고 줍는 사람의 실루엣이라는 아름다운 회화적 장면으로 압축된다. 치료하기 힘든 면역질환을 안고 외딴 곳으로 이사 온 한 여성, 그리고 그녀를 찾아오기 시작한 한 소년이 있다. 소년은 그 여자의 집 마당에서 쇠공을 던지며 투포환 선수의 꿈을 환기하고, 그녀는 소년을 바라보며 자신 안에 잠복해 있던 맹렬한 생의 의지와 감각을 끌어낸다. 이들은 서로의 감정변화를 확인하면서 어느 순간이든지 새롭게 시작하고 배워가야 하는 ‘학습의 생’으로서의 인생 그 자체를 바라보기 시작한다. 소설에서 여성과 소년이 나누는 공감과 교류는 개별적인 존재의 강렬하고 자발적인 생의 의지에 대한 이야기로 심화되면서 깊은 서사적 울림을 주고 있다.
: 편혜영 「야행夜行」
허물어져가는 인간의 육체는 허물어져가는 공간을 닮았다. 남편은 죽었고, 아들과는 함께 살 수 없는 한 늙은 여인은 묘지를 연상케 하는 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언제 삶의 열쇠를 지상 위에 두고 이곳을 떠나야 할지 알 수 없듯이, 그녀도 언제 아파트에서 퇴거해야 할지 모른다. 시간이든 관계든 끝을 인식할 때, 비로소 의미로 충만하게 된다. 주거의 끝과 삶의 끝이 다가오는 것을 바라보면서 여인은 이삿짐을 정리하듯 기억을 정리한다. 아니, 짐을 정리하면서 그 자리에 있었는지 미처 떠올리지도 못했던 기억을 발견한다. 죽은 남편과 죽지는 않았으되 멀리 있는 아들의 기억을. 편혜영은 인간이 몸 붙이고 사는 공간과 인간 자체가 마치 기괴한 하나의 생명체처럼 서로 엉겨 붙어 있는 형상을 그리는 데 있어 탁월한 작가이다. 근대적 관료제가 낳은 전쟁 같은 삶의 구조를 밝혀왔던 그녀는 이제 보다 성숙한 시선으로,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자신의 공간적인 문법으로 물으려 한다.
: 한강 「회복하는 인간」
인간은 본질상 진노의 자식이고, 질투의 자식이며, 미움의 자식이다. 소설 속의 여자들도 그랬다. 모든 것을 다 가진 것처럼 보였던 언니는 동생을 질투하고 미워했다. 여자로서 자신이 경험한 치명적인 아픔을 동생이 유일하게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을까. 언니와 동생은 미움의 빙벽(氷壁)을 사이에 둔 채 심장이 딱딱하고 차갑게 얼어갔다. 고통과 죽음을 통해 인간은 이해하는 존재, 공감하는 존재, 사랑하는 존재가 된다. 언니의 죽음 이후 산 자로서 홀로 남게 된 동생은 화상을 입고 난 뒤 일부러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둔다. 점점 덧나가는 상처를 그저 바라보는 것은 그녀가 미움의 자식이었던 자신에게 내리는 일종의 형벌인 동시에, 병과 사투를 벌였던 언니의 아픔에 공감하는 일이다. 온몸을 썩게 만들 것만 같았던 환부에는 신기하게도 새살이 돋아난다. 죽음의 자리에서도 스러지지 않는 생명은, 찢겨 있던 존재와 상해 있던 관계에 따스한 사랑의 빛으로서 스며든다. 그렇게 인간은 회복된다. 이 작품 역시, 아픔의 연금술사인 한강이 우리에게 보내는 공감과 사랑의 전언이다.
: 백합, 50대 여성의 참회를 자극하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1년 10월 22일자

수상 :2021년 동인문학상, 2019년 김승옥문학상, 2016년 한국일보문학상, 2013년 이효석문학상, 2011년 황순원문학상, 2007년 김준성문학상(21세기문학상, 이수문학상), 2005년 현대문학상,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최근작 :<음악소설집 音樂小說集>,<소설의 첫 만남 11~20 세트 - 전10권>,<긋닛 5호 : 빚> … 총 80종 (모두보기)
소개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레고로 만든 집』, 『거기, 당신?』, 『감기』, 『웃는 동안』, 『베개를 베다』, 『날마다 만우절』, 장편소설 『구경꾼들』, 『상냥한 사람』, 중편소설 『첫 문장』 등이 있으며 현대문학상, 이수문학상, 황순원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한국일보문학상, 김승옥문학상,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2019년 조정래문학상, 2015년 채만식문학상, 2015년 요산김정한문학상, 2014년 요산김정한문학상, 2012년 무영문학상, 2005년 오영수문학상, 2004년 현대문학상, 2002년 동인문학상, 2001년 이효석문학상, 2000년 동서문학상, 1997년 한국일보문학상
최근작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소설의 첫 만남 1~10 세트 - 전10권>,<느낌 그게 뭔데, 문장> … 총 146종 (모두보기)
인터뷰 :"기억" 말로, 언어로 기록하고, 붙잡아야 할 <이 인간이 정말> 성석제 인터뷰 - 2013.11.14
소개 :1995년 『문학동네』에 단편소설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소설집 『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 『첫사랑』 『호랑이를 봤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참말로 좋은 날』 『이 인간이 정말』 『ㅤㅁㅢㅤ리도 괴리도 업시』 『사랑하는, 너무도 사랑하는』, 장편소설 『왕을 찾아서』 『인간의 힘』 『도망자 이치도』 『위풍당당』 『투명인간』 『왕은 안녕하시다』(전2권), 산문집 『소풍』 『성석제의 농담하는 카메라』 『칼과 황홀』 『꾸들꾸들 물고기 씨, 어딜 가시나』 등이 있다.
수상 :2024년 이상문학상, 2024년 김승옥문학상, 2008년 동인문학상, 2003년 현대문학상, 1996년 문학동네 작가상
최근작 :<소설, 한국을 말하다>,<움직임>,<일러두기> … 총 80종 (모두보기)
소개 :199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식빵 굽는 시간》 《가족의 기원》 《혀》 《복어》, 소설집 《불란서 안경원》 《나의 자줏빛 소파》 《코끼리를 찾아서》 《국자 이야기》 《풍선을 샀어》 《일요일의 철학》 《언젠가 떠내려가는 집에서》 《가정 사정》, 산문집 《조경란의 악어 이야기》 《백화점-그리고 사물, 세계, 사람》 《소설가의 사물》 등이 있다. 문학동네작가상, 현대문학상, 오늘의젊은예술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등을 받았다.
수상 :2023년 메디치상, 2022년 대산문학상, 2022년 김만중문학상, 2018년 김유정문학상, 2017년 이탈리아 말라파르테 문학상, 2016년 부커상, 2015년 황순원문학상, 2010년 동리문학상, 2005년 이상문학상, 1999년 한국소설문학상
최근작 :<소년이 온다 (10주년 한정 특별판, 양장)>,<디 에센셜 한강 (무선 보급판)>,<채식주의자 (리마스터판)> … 총 102종 (모두보기)
소개 :
수상 :2023년 김승옥문학상, 2021년 김유정문학상, 2018년 이효석문학상, 2016년 동인문학상, 2015년 동리문학상, 2014년 무영문학상, 2012년 한국일보문학상, 2008년 이상문학상, 2007년 오영수문학상
최근작 :<술꾼들의 모국어>,<푸르른 틈새>,<[큰글자도서] 토우의 집> … 총 99종 (모두보기)
소개 :
수상 :2006년 이상문학상, 2002년 오늘의작가상
최근작 :<나의 피투성이 연인>,<[큰글자도서] 프랑스식 세탁소 2 >,<[큰글자도서] 프랑스식 세탁소 1 > … 총 50종 (모두보기)
소개 :1960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폭설」이 당선되고, 2001년 《세계의 문학》에 단편소설 「비소 여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소설집 『나의 피투성이 연인』 『발칸의 장미를 내게 주었네』 『내 아들의 연인』 『프랑스식 세탁소』 『새벽까지 희미하게』, 장편소설 『장밋빛 인생』 『이상한 슬픔의 원더랜드』 『아프리카의 별』 『가수는 입을 다무네』 『당신의 아주 먼 섬』 등이 있다. 오늘의 작가상,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17년 별세했다.
수상 :2016년 김유정문학상, 2010년 대산문학상
최근작 :<뺨에 묻은 보석>,<마음의 부력>,<여기 우리 마주> … 총 36종 (모두보기)
소개 :1972년 춘천에서 태어났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현대문학》에 단편소설 〈토끼를 기르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들〉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소설집 《토끼를 기르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들》 《자정의 픽션》 《핸드메이드 픽션》 《끄라비》 《낭만주의》, 중장편소설 《새벽의 나나》 《당신의 노후》를 펴냈다. 대산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김유정문학상을 받았다.
수상 :2022년 김승옥문학상, 2019년 김유정문학상, 2017년 셜리 잭슨상, 2015년 현대문학상, 2014년 이상문학상, 2011년 동인문학상, 2009년 이효석문학상, 2007년 한국일보문학상,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최근작 :<후이늠 Houyhnhnm : 검은 인화지에 남긴 흰 그림자>,<음악소설집 音樂小說集>,<망각의 도시> … 총 86종 (모두보기)
소개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아오이가든』, 『사육장 쪽으로』, 『저녁의 구애』, 『밤이 지나간다』, 『소년이로』, 『어쩌면 스무 번』, 장편소설 『재와 빨강』, 『서쪽 숲에 갔다』, 『선의 법칙』, 『홀』, 『죽은 자로 하여금』 등이 있으며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젊은작가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셜리 잭슨상, 김유정문학상, 김승옥문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2023년 김현문학패, 200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2006년 대전일보 신춘문예
최근작 :<우리가 안도하는 사이>,<[큰글자도서] 누구도 울지 않는 밤>,<선화> … 총 57종 (모두보기)
SNS ://twitter.com/kim2seol
소개 :소설집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것들』 『오늘처럼 고요히』 『누구도 울지 않는 밤』, 연작소설집 『잃어버린 이름에게』, 경장편소설 『나쁜 피』 『환영』 『선화』 『우리의 정류장과 필사의 밤』을 펴냈다. 제1회 황순원신진문학상, 제3회 젊은작가상, 제9회 김현문학패를 수상했다.

문예중앙   
최근작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유쾌한 회전목마의 서랍>,<내가 스패너를 버리거나 스패너가 나를 분해할 경우>등 총 46종
대표분야 :한국시 24위 (브랜드 지수 36,649점),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30위 (브랜드 지수 22,398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