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와 리더가 아닌 자의 차이는 자신을 계발하고 기술을 향상시키는 능력의 차이"라고 규명하였다. 
그들이 내린 결론은 "리더란 평생 배우는 자"라는 것이다. - P60

당신이 일하고 있는 곳의 분위기에 따라 당신 자신과 당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  - P61

훌륭한 리더를 찾는 일은 순금 덩어리를 찾는 일이다.
경험을 통해서 배우는 아픔보다 더 진한 아픔이 있다. 
바로 경험을 통하여 배우지 못하는 아픔이다.
_아치볼드 매클리시_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저 사회정서적 역량은 바로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성공 successful이라고 하면 우리 사회에서는 특히 부자가 되거나 입신양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 오해의 소지가 있지만, 성공 말고는달리 번역할 만한 단어를 찾기가 힘들다. 
이렇게 성공적으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은 ‘자기 인식, 자기 관리, 사회적인식, 관계 기술, 책임 있는 의사 결정‘의 다섯 가지로 구성되는데, 이 다섯 역량을 향상시키는 과정이 사회정서학습이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정서학습 연수를 마친 뒤 "우리 교육이 바뀌려면 사회정서학습 요소 중 어느것이 가장 핵심이라고 보시나요?"라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잠시 고민한 나는 ‘선생님‘이라고 말씀드렸다. 아무리 좋은 묘안이라도 실행에 옮기는 사람의 의지 없이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해서다.
세상이 계속 앞으로 나아가려는데도 문제가 더 깊어지는 것은 사람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다가 ‘말‘은 상대방의 마음에도 파장을 일으키지만, 내 마음에도 파장을 일으킨다. 표면적으로는 듣는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지만, 사실은 그 말을 한 사람에게 가장 깊은 영향력을 남긴다. 
지적하는 말하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은 시간이 흐를수록 자신의 마음이 예민해지고, 화가 섞인 말하기를 사용하는 사람 마음에는 화가 쌓이기 마련이다. 
그러니 자신의 ‘말‘을 돌아보는 것은 말하자면, 지금 맺고 있는 관계와 자신의 마음을 보살피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다. 그것이 전문가라고 자처하는 나조차 틈틈이 나의 ‘말 그릇‘을 점검하고 돌아보는 이유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누구라도 자신의 ‘말그릇‘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가장 강력한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정서학습은 사회정서적 역량을 기르는 과정이다.
이렇게 줄일 수 있는 것은 ‘건강한 정체성을 형성하며, 감정을 관리하고 자신과 집단의 목표를 성취하며, 타인에 대한 공감을 느끼고 보여 주며, 타인과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책임 있고 배려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사회정서적 역량이기 때문이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