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 시리즈’를 내며 2판 머리말 1장. 양극성 장애란 무엇인가 1. 양극성 장애 혹은 조울증 2. 우울증 1) 정상적 우울과 병적 우울 2) 우울증의 주요 증상 3) 우울증의 진단과 평가 3. (경)조증 1) (경)조증의 주요 증상 2) (경)조증의 진단과 평가 3) 그림검사에 나타난 양극성 장애의 특성 4. 양극성 장애의 임상적 특징 1) 유병률 및 발병 시기 2) 경과 및 예후 3) 자살 및 위험성 4) 다른 장애와의 공병 5. 양극성 장애와 다른 장애의 구별 1) 신체질환 또는 물질로 인한 기분장애
‘이상심리학 시리즈’를 내며 2판 머리말 1장. 양극성 장애란 무엇인가 1. 양극성 장애 혹은 조울증 2. 우울증 1) 정상적 우울과 병적 우울 2) 우울증의 주요 증상 3) 우울증의 진단과 평가 3. (경)조증 1) (경)조증의 주요 증상 2) (경)조증의 진단과 평가 3) 그림검사에 나타난 양극성 장애의 특성 4. 양극성 장애의 임상적 특징 1) 유병률 및 발병 시기 2) 경과 및 예후 3) 자살 및 위험성 4) 다른 장애와의 공병 5. 양극성 장애와 다른 장애의 구별 1) 신체질환 또는 물질로 인한 기분장애 2) 주요우울장애 3) 정신분열증 4) 분열정동장애 5) 경계선 성격장애 6. 양극성 장애와 창의성 1) 양극성 장애를 경험한 예술가들 2) 양극성 장애는 왜 창의성과 관련되는가 2장. 양극성 장애는 왜 생기는가 1. 생물학적 입장 1) 유전적 요인 2) 신경생물학적 기반 2. 심리학적 입장 1) 정신역동적 이론 2) 인지 이론 3. 환경적 요인 1) 생활사건 2) 다른 환경적 요인 3) 기타 유발요인 3장. 양극성 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 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및 유의사항 1) 통합적인 치료의 필요성 2) 치료 시기에 따른 치료 목표 2. 양물치료 1) 약물치료의 원칙 2) 기분삽화별 약물치료 3. 심리치료 1) 통합적인 인지행동치료 2) 마음챙김에 기초한 심리치료 3) 대인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 4. 환자 및 가족 교육 1) 환자 및 가족 교육의 내용 2) 환자 및 가족 교육의 방법 3) 치료 순응을 높이기 위한 환자 및 가족의 역할 5. 스트레스 대처 1)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문제의 상호작용 2)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의 평가 3)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4) 문제해결적 접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