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 중 삶의 만족도에서 늘 바닥을 헤매는 대한민국. 그렇다면 삶의 만족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삶에 대한 대부분의 불만은 자신의 삶을 다른 사람의 삶과 비교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물론 타인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삶의 방식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강요 받을 때 생기며, 이는 물질적 빈곤에 앞에서 더욱 확대되기도 한다.
19세기 초절주의 철학자, 랄프 왈도 에머슨은 삶의 만족을 개인의 진실한 삶에서 찾았다. 에머슨은 모든 인간의 삶에는 누구에게도 양도할 수 없는 고유의 가치가 있으며, 누구든 자신의 삶에 긍지와 자신감을 갖고 떳떳하게 자신의 몫을 살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진실한 삶은 그 자체로 평가 받아야 마땅하다는 것이다.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만들고 그 방식 내에서 진실하게 행하는 자만이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이 에머슨 철학의 기본이다.
이 책은 삶에 관한 에머슨의 철학을 성공, 인생, 지혜, 진실, 건강이라는 5가지 키워드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에머슨의 말은 폐부를 찌르는 듯 통렬하다. 그래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에머슨의 글이 성경 다음으로 자신에게 큰 힘이 되었다고 말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에머슨의 중립성 추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여 년간 에머슨만을 연구해 온 저자 서동석은 이런 에머슨의 글을 빌어 롤러코스터와 같이 불안한 삶을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삶의 만족을 자신으로부터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최근작 :<어둠을 밝히는 지혜> ,<융합창의력과 인간교육> ,<나를 찾을 결심> … 총 19종 (모두보기) 소개 :저자는 한때 영문학 교수로 재직하던 대학에서 나와, 수행을 연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인문학으로 풀어 쓴 건강》, 《자연》, 《에머슨, 조화와 균형의 삶》, 《에머슨 인생학》, 《밥》, 《나는 좋은 부모인가》, 《삶의 만족은 어디에서 오는가》, 《공자 노자 석가 예수를 관통하는 진리》, 《나답게 사는 법》, 《주역 인생전략》, 《경계를 넘어 통합을 보다》 등 10여 권의 책을 썼다.
그는 인생을 사는 이치를 알고 싶어 인생학으로 삶의 항로를 전환했다. 영문학에서 인생학으로 넘어가는 가교역할을 한 것은 그가 전공한 에머슨... 저자는 한때 영문학 교수로 재직하던 대학에서 나와, 수행을 연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인문학으로 풀어 쓴 건강》, 《자연》, 《에머슨, 조화와 균형의 삶》, 《에머슨 인생학》, 《밥》, 《나는 좋은 부모인가》, 《삶의 만족은 어디에서 오는가》, 《공자 노자 석가 예수를 관통하는 진리》, 《나답게 사는 법》, 《주역 인생전략》, 《경계를 넘어 통합을 보다》 등 10여 권의 책을 썼다.
그는 인생을 사는 이치를 알고 싶어 인생학으로 삶의 항로를 전환했다. 영문학에서 인생학으로 넘어가는 가교역할을 한 것은 그가 전공한 에머슨이었다. 그의 박사학위논문은 《에머슨의 중립성 추구》다. 에머슨의 중립성은 중도와 연결통로가 되었다. 논문의 부제는 〈삶의 양극적 모순에 관한 생태적 통찰〉이다. 부제에서 볼 수 있듯이, 에머슨이 삶의 모순 속에서 균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수행학과 연결고리가 되었다.
한편 삶과 죽음이 하나로 연결되므로, 수행공부는 죽음학이기도 하다.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은 모두 삶과 죽음에 대한 바른 성찰이 부족한 데서 비롯된다. 저자는 수행문화를 통해 개인의 문제이자 이 시대 우리사회의 문제인, 물질과 정신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실용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모든 정신문화를 하나로 융합한 보편적 시대정신을 촉구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가 가장 존경하는 철학자 에머슨
현재의 삶을 만족으로 변화시키는 100가지 지혜
OECD 국가 중 삶의 만족도에서 늘 바닥을 헤매는 대한민국. 그렇다면 삶의 만족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삶에 대한 대부분의 불만은 자신의 삶을 다른 사람의 삶과 비교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물론 타인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삶의 방식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강요 받을 때 생기며, 이는 물질적 빈곤에 앞에서 더욱 확대되기도 한다.
19세기 초절주의 철학자, 랄프 왈도 에머슨은 삶의 만족을 개인의 진실한 삶에서 찾았다. 에머슨은 모든 인간의 삶에는 누구에게도 양도할 수 없는 고유의 가치가 있으며, 누구든 자신의 삶에 긍지와 자신감을 갖고 떳떳하게 자신의 몫을 살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진실한 삶은 그 자체로 평가 받아야 마땅하다는 것이다.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만들고 그 방식 내에서 진실하게 행하는 자만이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이 에머슨 철학의 기본이다.
이 책은 삶에 관한 에머슨의 철학을 성공, 인생, 지혜, 진실, 건강이라는 5가지 키워드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에머슨의 말은 폐부를 찌르는 듯 통렬하다. 그래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에머슨의 글이 성경 다음으로 자신에게 큰 힘이 되었다고 말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에머슨의 중립성 추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여 년간 에머슨만을 연구해 온 저자 서동석은 이런 에머슨의 글을 빌어 롤러코스터와 같이 불안한 삶을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삶의 만족을 자신으로부터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진정한 삶의 기술은, 우리가 살고 있는 표면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미끄러져 나가듯 사는 것이다
에머슨이 예로 든 스케이팅은 중도의 삶을 가장 잘 표현한 말이다. 삶은 미끄러운 빙판을 달리는 것과 같다. 빨리 앞으로 나아갈 때는 좌우 균형을 잘 잡으며 나아가는 스피드 스케이팅과 같다. 때로 왼쪽으로 때로 오른쪽으로 돌며 나아갈 때는 피겨 스케이팅과 같다. 장애를 만나면 급격히 왼쪽으로 틀어 나아가기도 하고, 반대로 급격히 오른쪽으로 틀며 나아가기도 한다. 좌우의 치우침이 없이 한가운데 있다는 것은 사실상 멈춰 서 있는 상태다.
개인의 발전도 이와 같다. 개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좌우의 균형을 잡으면서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삶이라는 미끄러운 빙판 위에서 균형을 잡고 삶의 모순을 잘 헤쳐나간다면, 조화롭고 아름다운 삶을 만들어갈 수 있다. 아름다운 삶의 미학을 이루고자 한다면 먼저 마음을 열고 높은 견지에서 세상을 넓고 깊게 멀리 바라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젊은이에게 세상은 자신을 단련시키는 훈련장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좌절하지 않고 참고 이겨내어 삶의 기술을 터득하면 세상은 자리를 내어줄 것이다
동일한 삶의 흐름은 비일관성을 보상한다.
또한 에머슨은 범선의 항해를 빗대 진실한 삶의 방향을 강조했다. 범선은 바람을 이용하여 지그재그로 나아가며 목표 지점을 향해 항해한다. 삶에서 중요한 것은 범선의 목표 지점에 해당하는 삶의 방향성이다. 진실한 삶을 살고자 하는 동일한 흐름은 모든 오해를 풀고 비일관성을 보상한다. 에머슨에게 동일한 흐름은 바로 삶의 진실이었다. 삶의 진실을 향한 동일한 움직임은 세상의 모든 오해와 모순을 풀고 진리의 세계로 안내한다.
조화와 균형으로 대변되는 중도의 철학, 그리고 진실한 삶을 향한 노력은 에머슨이 평생 찾았던 최고의 가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조화와 균형의 가치를 업신여기는 많은 사람들의 극단적 행동으로 피폐해지고 있다. 부디, 에머슨의 철학을 가장 쉽고 분명하며 이해할 수 있게 엮어진 이 책을 통해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현대인들이 늘어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