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 유홍준이 30여년만에 산문집으로 독자를 찾아왔다. 문화유산 전도사, 문화재청장 등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는 500만 부 판매의 신화를 쓴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작가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수십년 동안 베스트셀러 작가의 자리를 내려놓은 적 없는 유홍준의 글쓰기 비법과 그의 ‘문장수업’의 이력을 낱낱이 공개하고, 신문 등 다양한 지면을 통해 발표해온 유홍준의 산문 중 백미를 엄선해 묶어 시대와 호흡하는 지성인의 고뇌와 서정을 느낄 수 있다.
작가 스스로 ‘잡문’이라고 말하는 이 글들은 길지 않은 분량 속에서도 촌철살인의 메시지가 빛을 발하며 유홍준의 인간미 넘치는 매력과 특유의 입말을 살린 문체가 글에 윤기를 더한다. 금연 결심을 공개적으로 선언해 세간의 화제를 불러일으킨 「고별연」에서는 복잡한 세상사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유머감각과 인문정신이, 50년 지기 홍세화·김민기 등을 떠나보내며 쓴 추도사에서는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세월을 뛰어넘은 우정이, 자신의 주례 선생인 리영희 선생에 대한 회고에서는 질곡 많은 현대사 속에서도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했던 지식인들의 교류가 감명 깊게 펼쳐진다. ![]() : 유홍준은 어떻게 500만 권이나 팔린 대중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이 책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전격 공개한 유홍준의 글쓰기 비법서이다. 그를 자라게 한 토양과 지적 교류의 망, 현장의 생생한 교훈과 문장 쓰기의 요령에 이르기까지, 그가 후배들에게 남기고 싶은 이야기를 꾹꾹 눌러 담은 기록이다. 자전적이면서 시대적인 기록! : 간결하면서도 깊고 문학적이고, 사사로우면서도 시대적이고 역사적인 글, 중국 작가 루쉰이 즐겨 쓴 잡문이다. 유홍준 선생의 잡문도 그렇다. 특히 루쉰이 삶을 회고하면서 쓴 잡문집 『아침 꽃을 저녁에 줍다』를 닮았다. 이슬 머금은 꽃을 아침에 따지 않고 저녁에 줍는 사람은 삶에서 시간이 지닌 의미, 삶의 위대함과 허무를 아는 이다. 루쉰 목판화 운동을 국내에 처음소개하시더니, 이번에는 루쉰의 잡문 전통에 자신이 살아온 삶을 녹여 유홍준만의 백자 달항아리 같은 잡문을 빚었다. : 유홍준 선생님의 묻어둔 일기장을 엿보는 듯한 이 잡문집은 한국미술사와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인생에 대한 섬세한 시선으로 마치 하나의 예술작품집처럼 다가온다. 각 글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해, 우리가 잊고 있던 한국문화의 깊은 정서를 되살려주며, 그 속에 담긴 위트와 통찰력은 한국적 미의 본질을 깨닫게 하여 일상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눈을 열어준다. 예술적 영감과 전통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깊은 사유를 전하는 소중한 책이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