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어쩌면 스무 번 여성, 정치를 하다 유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편혜영이라는 숲이 당신을 초대할 때"
어쩌면 스무 번
편혜영 지음 / 문학동네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표제작 <어쩌면 스무 번> 속의 한 장면. 옆집과 우리집 사이엔 어림잡아 삼천 평은 되는 것 같은 무성한 옥수수밭이 있다. 이웃과의 거리는 그 옥수수밭의 면적만큼 멀다. 옥황상제를 모셔야 한다는 전도사와 이런 골짜기 외딴집은 위험성 측면에서 단독주택이 아니라 길거리로 보는 편이 낫다고 비싼 가격의 보안 용품 설치를 권유하는 보안 업체 직원들이 가끔 이 집을 찾는다. "아아악." (<어쩌면 스무 번> 20쪽) 고즈넉한 교외의 풍경을 깨트리는, 느닷없이 내질러진 비명처럼 그렇게 서스펜스는 존재한다. 조금 더 일상적인 얼굴을 하고 우리를 찾은 편혜영이라는 숲의 풍경. <홀>로 셜리잭슨상을 수상하기도 한 편혜영의 여섯번째 소설집.

정교하고 경제적인 문장은 한 단락만으로도 우리를 그 숲으로 초대한다. "어찌보면 나는 줄곧 그런 사람한테 끌렸던 것 같아요. 삶을 포기하는 게 아니라 유지하기 위해서 애쓰는 사람들, 지금의 삶이 힘들어서 다른 삶으로 건너가려는 사람들." (소설가 손보미와의 인터뷰 <어쩌면, 편혜영> 中) 이라고 말하는 작가 편혜영은 부정하고 불의하고 죄책감을 느끼고 수치스러워하는 사람들을, 궁지에 몰린 후 '시골' 같은 낯선 곳에서 또 다시 삶을 세우려는 사람들을 선택해 그들의 앞에 갈림길을 내민다. 각 단편이 마무리되는 순간, 그 가차없는 마지막 문장 이후 남은 뒷맛을 바로 보내기가 아쉬워 몇 번이나 쉬어가며 소설집을 아껴 읽었다. 그들의 삶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이제 편혜영의 서스펜스는 죽음의 공포가 아닌 삶의 영속을,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기에 지독한 그 일상을 본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첫 문장
올여름은 옥수수를 많이 먹게 될 것 같다.

이 책의 한 문장
“걘 운이 좋아. 너도 알잖아. 별일 없을 거야.”
운이 좋다는 말. 무성의했지만 의지할 수 있는 유일한 말이기도 했다. 무영도 여러 차례 그 말을 들었다. 일이 안 풀릴 때마다 자신은 이미 운을 탕진했다고, 한 번에 왕창 써버렸다고 스스로에게 말해주었다. 자신에게도 운이 있었다는 걸 상기하기 위해서였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낸 여성 정치인 21명의 여정"
여성, 정치를 하다
장영은 지음 / 민음사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자기 목소리를 내며 살아가는 이들에겐 정치와 생활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이 책엔 여성 정치인 21명의 삶이 들어있다. 모두 각자의 방법으로 사회를 바꾸기 위해 노력한 이들이다. 굳센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번지수를 제대로 찾았다.

'삐삐'를 탄생시킨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은 풍자 소설로 집권당을 비판했고 독일의 미술가 케테 콜비츠는 나치에 대항하는 목소리를 모으는 일에 앞장섰으며 에멀린 팽크허스트는 여성의 투표권을 주장하며 달리는 말 앞에 몸을 내던졌다. 케냐의 왕가리 마타이는 나무를 심는 환경 운동가에서 직업 정치인이 되었고 시몬 베유는 임신 중단을 합법화했다.

각자 다른 방식으로 다른 목소리를 냈지만 비난과 조롱에 꺾이지 않고 끝까지 걸었다는 점에서만큼은 모두 같다. 저자는 애초 집필의 목적과 상관없이 이들의 이야기를 모으며 큰 용기를 얻었다고 한다. 한 명의 독자로서 나 역시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이 용기가 번져나가 또 다른 여성 정치인들을 탄생시키길 바란다. 몫 없는 이들이 자신의 몫을 모두 되찾을 때까지. - 사회과학 MD 김경영
이 책의 첫 문장
"여정은 이틀 반 동안이나 계속되었다.

이 책의 한 문장
그는 기꺼이 “젊은 여성들을 위한” 역할 모델이 되었다. 여학생들에게 “당당하게 말해요!” “참견을 하세요!”라고 자주 말했다. “여성들이 정상에 올라선 뒤에 성공의 사다리를 치워버리지 말고 다른 사람들이 성공을 하도록 도와야 하는 것에 대해 열정을 갖고 역설했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누가 나의 자질을 판단하는가」에서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유다는 과연 배신자였을까?"
유다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현대문학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배신'이란 무엇인가. 매년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꼽혀왔던 히브리 문학의 거장, 아모스 오즈의 생을 관통하는 이 물음은 그가 남긴 마지막 소설 <유다>의 뿌리가 되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라는 두 세계 중 하나를 택하지 않고 아랍 국가와의 공존과 평화를 주장했다는 이유로 배신자라 비난받았지만, 집필을 계속하며 침묵하지 않았던 작가의 삶이 소설 전반에 드리워져 있다.

소설은 역사 속 두 명의 '배신자'를 호명하여 숨결을 불어넣는다. 예수의 제자 '가룟 유다'와, 아랍인과 유대인이 공존하는 세상을 염원한 지식인 '쉐알티엘 아브라바넬'. 배신자라는 낙인이 덮어버린 이들의 삶 속 무수한 부분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면서, 작가는 말하는 듯하다. 배신이란 오직 선택지가 둘뿐인 이분법적 세계에서만 가능한 단어인지도 모른다고. 그리고 찢긴 세계를 잇고 치유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사랑뿐이라고. 오즈는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질문은 지금, 여기의 우리에게도 유효하다. 소설 속 대사가 여전히 깊은 울림을 남기는 이유다.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은 (...)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변화를 혐오하는 사람들 눈에 언제나 배신자로 간주될 수밖에 없어요." - 소설 MD 권벼리
이 책의 첫 문장
1959년 말에서 1960년 초 겨울에 있었던 이야기다.

이 책의 한 문장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 슈무엘은 말했다. “그 안에 변화할 의지가 있는 사람은, 어떤 변화도 인정할 수 없고 변화가 생기는 것을 죽을 만큼 무서워하며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변화를 혐오하는 사람들 눈에 언제나 배신자로 간주될 수밖에 없어요. 쉐알티엘 아브라바넬은 아름다운 꿈을 꾸었고, 그의 꿈 때문에 그들이 그를 배신자라고 부른 거예요.” _ 45장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여덟 빛깔의 사랑, 청소년 퀴어 로맨스 소설집"
그래서 우리는 사랑을 하지
박서련 외 지음, 무지개책갈피 엮음 / 돌베개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사랑하는 마음에 대하여. 한국문학의 현재이자 미래, 박서련·김현·이종산·김보라·이울·정유한·전삼혜·최진영(수록순) 여덟 작가의 소설이 모였다. "우리는 어째서 사랑을 할까?"라는 질문에 "비는 왜 내릴까?"라고 대답하는 마음, "오늘 집에 같이 갈래?"라고 조심스레 물어보는 마음, "사랑은 절대 나쁜 짓이 아니"라고 혼자 되뇌는 마음. 사랑의 다양한 순간들과 마음들이 소중히 포착되어 소설 속에 담겨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랑을 하지>를 손에 든 청소년들이 있는 그대로 행복했으면 좋겠다. 아무도 자기 자신을 의심하거나 타인의 시선에 맞추려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마음껏 사랑하기에도 모자란 시간이므로. 또 이 책을 읽는 청소년들이 사회에 발걸음 할 때에는,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이야기를 소개할 때 퀴어 로맨스라는 별도의 장르 수식어를 붙이지 않는 세상이기를 바라본다. - 소설 MD 권벼리
이 책의 한 문장
“이수이, 왜 그래? 왜 울어?” 나는 놀라서 물었다. 수이는 길바닥에서 울고 그러는 애가 아니다. 원래는. 그러나 사랑은 ‘원래’라는 말을 걸레로 훔치듯이 지워 내 버리는 법이다. 나도 원래는 매일 질투가 나서 속을 부글부글 끓이는 사람이 전혀 아니었다. _ (사랑보다 대단한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