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아직 멀었다는 말 작은 아씨들 (영화 공식 원..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모르는 영역'으로 감히 내딛는 그 한 발"
아직 멀었다는 말
권여선 지음 / 문학동네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왜 아침달 낮달 저녁달이 아니고 모두 낮달인가 생각하다, 해 뜨고 뜬 달은 죄다 낮달인 게지, 해는 늘 낮달만 만나고. 그러니 해 입장에서 밤에 뜨는 달은 영영 모르는 거지." <모르는 영역> 속 명덕은 생각한다. 고깃값을 흥정하며 "그렇게는 안 되지."라고 말하는 식당 주인에게 "왜 안 돼요?"라고 되묻는 딸 다영의 마음을 명덕은 알지 못한다. 딸은 도무지 좋게좋게 넘어가지 못하는 사람이다. "왜 해도 됩니까, 한 번은?" 다영의 이 날 선 질문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그는 알지 못한다. 그 '모르는 영역'을 향해 한 발을 내딛기 위해선 누구에게나 익숙한 '지금'을 정확하게 직시할 용기가 필요하다. 권여선의 소설은 "소설이 주는 위로란 따뜻함이 아니라 정확함에서 오는 건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라는 김애란의 추천의 글 속 문장처럼, 우리가 알지 못하는 감정을 정확하게 바라볼 용기를 권한다.

'당신이 알지 못하나이다' (2019년 출간된 권여선의 장편 <레몬>은 이 제목으로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소설은 끊임없이 이 구문을 되뇌게 한다. 50년을 함께한 레즈비언 커플 데런과 디엔의 이야기. 식당을 찾아 헤매던 중 '공기중에 퍼져있는 미세먼지처럼 어찌해볼 수 없는 재앙'을 예감하고 으르렁대고 마는, 조절할 수 없는 데런의 분노는 과거의 어느 시점에 머물러 있는지. (<희박한 마음>), 언니의 이름으로 빚을 만들고 도망친 엄마와 똑같은 방식으로 소희의 이름으로 빚을 만들고 도망친 언니. 매달 백칠십만원을 받고 스포츠매장에서 근무하는 소희가 빚 없는 사람이 되려면 식비를 얼마나 아껴야 하고, 손톱 치료를 얼마나 미루어야 할지. '우리도 사람이기 때문에, 소희도 사람이기 때문에' 상하는 마음은 어찌해야 하는지. (<손톱>) 사람의 마음, 사회의 구조, 운명과 섭리. 그 어디쯤의 '모르는 영역'에 대해 생각해 본다. 권여선의 소설은 우리가 모르는 어떤 감정들에 대해 굳이 색을 칠해 보여주지는 않지만, 그 정확함으로 묘사하는 슬픔의 풍경들이 선명해서 오히려 위로가 된다. 취기 후의 너그러움 같은 감각으로 알지 못하는 것을 새롭게 바라본다. 이 소설집에 실린 마지막 소설, <전갱이의 맛>은 이렇게 마무리된다. "모든 것은 사라지지만 점멸하는 동안은 살아 있다. 지금은 그 모호한 뜻만으로 충분하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첫 문장
다영은 여주에 있다고 했다. 여주라면 명덕이 공을 친 클럽에서 고속도로로 십 분 남짓 걸리는 곳이었다.

이 책의 한 문장
데런은 그때였다고 생각한다. 디엔의 꿈속에서 오래전에 죽은 걸로 등장한 자신이 오래전에 죽은 순간은 바로 그때였을 거라고. 끄라고! 디엔이 얻어맞은 직후에 자신의 기억이 모조리 사라진 건 그때 자신이 아무 말도, 아무 행동도 하지 못했다는 걸, 완전무결하게 무력했다는 걸 의미한다고. 끄라고! 그 주문은 담뱃불을 향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영혼, 그들의 사랑을 향한 것이었다고. 끄라고! 그때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던 자신의 내부에서 고요히 작열하던 무력감이 정신의 어떤 연결 퓨즈를 태워버렸을 거라고.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우리의 인생은 모두가 한 편의 소설이다"
작은 아씨들 (영화 공식 원작 소설·오리지널 커버)
루이자 메이 올콧 지음, 강미경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그레타 거윅 감독의 영화 '작은 아씨들' 속 ‘조의 책’을 재현한 1868년 초판본 표지 특별판. 소설 내용에 해당하는 영상 스틸컷 33장이 수록되어 영화 속 장면을 되짚어 음미할 수 있다. 거윅 감독은 30대에 다시 <작은 아씨들>을 읽으며 "소설이 현재와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고, '조'가 늘 자신과 함께 있었으며 "이 영화를 연출하기 위해 30년을 기다렸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렇게 영화는 소설의 구조와는 달리, 성인이 된 등장인물의 시점에서 유년 시절 속으로 들어간다. "우리가 길을 걸을 때 늘 어린 시절의 나와 함께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하기 위해.

어른이 되어 다시 읽는 <작은 아씨들>에서는 유년기에 잃어버린 무언가를 알려주는 그런 반짝이는 힘이 느껴진다. 거윅 감독을 비롯해 시몬 드 보부아르, 줌파 라히리, 조이스 캐롤 오츠, 조앤 K. 롤링 등 수많은 이들이 <작은 아씨들>을 '나를 만든 책'으로 꼽으며 사랑한 이유도 그러할 것이리라. 서로 다른 꿈을 꾸지만 각자의 꿈을 존중하고, 서로의 힘이 되어주며 함께 성장하는 네 자매의 사연이 150년을 뛰어넘어 여전히 현재의 이야기로 읽힌다. - 소설 MD 권벼리
이 책의 첫 문장
"선물도 없는 크리스마스가 무슨 크리스마스야." 조가 양탄자 위에 벌렁 드러누우며 불만을 터뜨렸다.

북트레일러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누가 기생하는가"
착취도시, 서울
이혜미 지음 / 글항아리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영화 '기생충'에서 동익(이선균 분)은 가난을 냄새로 식별한다. 쿰쿰한 반지하의 냄새. 그는 자주 코를 막는다. 현실 세계의 누군가는 가난에서 곰팡이 냄새 대신 돈 냄새를 맡았다. 영화보다 지독한 현실에서 그 누군가는 빈민의 돈을 좇는다.

서울 쪽방의 한 평당 평균 임대료는 18만 원이 넘는다. 강남의 아파트들 중에서도 이 정도 고가는 찾기 어렵다. 난방도 에어컨도 없는 1-2평 남짓한 비루한 방의 월세는 현금으로 돈다. 이 돈들이 모이면 꼬리표 없는 목돈이 된다. 윤리와 상식 바깥의 일이라 범인의 머리로는 상상조차 어렵지만 실제로 이 돈을 챙겨 제 배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창신동 쪽방촌의 건물 8채는 한 가계의 가족 사업이다. 매월 챙기는 현금 월세만 1400만 원 이상이다. 서울 쪽방촌의 실 소유주들 중 강남 3구에 현주소를 둔 소유주는 25명이나 된다.

이 실태를 처음 취재하고 보도한 저자는 이 문제를 '빈곤 비즈니스'로 분류했다. 공산주의조차 상품화한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빈곤 또한 예외는 아니다. 빈곤 비즈니스의 큰 문제는 쪽방촌에 한번 들어온 사람들이 이곳을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쪽방촌 건물주들은 재개발과 지자체의 복지를 막는다. 빈자들이 계속 쪽방촌에 차 있어야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쪽방촌의 주민은 이곳을 벗어나는 방법이 단 두 가지라고 말한다. 죽거나 노숙인이 되는 것. 숙주가 죽음에 이를 때까지 피를 빠는 기생충이 생각난다. - 사회과학 MD 김경영
이 책의 첫 문장
낡은 아이보리색 타일로 외관을 장식한 3층 높이의 빌딩.

이 책의 한 문장
'빈곤 비즈니스'.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되, 빈곤으로 벗어나는 데 기여하는 것이 아닌, '빈곤을 고착화'하는 산업. 가뜩이나 돈 없고 오갈 데 없는 이들의 곤궁한 처지를 이용해, 마땅한 노력 없이 불로소득으로 폭리를 취하고 자신들의 배를 불리는 데에만 관심을 보이는 행태.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극한의 효율성으로 시간을 지배하라!"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
스콧 영 지음, 이한이 옮김 / 비즈니스북스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시간이 없다는 것은 현대인들의 고질병이다. 시험을 앞둔 수험생, 외국어 능력이 시급한 여행자, 빠르게 변하는 기술을 따라잡아야 하는 직장인 등 단기간에 무언가를 마스터하고 싶은 이들은 초조함에 쉽게 지배당한다. 그렇다고 온종일 공부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유튜브 영상 보듯 2배속 재생으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여기 2배속도 아닌 4배속으로 대학의 정규 커리큘럼을 끝냈다는 저자 스콧 영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울트라러닝 프로젝트로 인생을 바꿨다는 그는 이 책에서 빠르고 강도 높은 아홉 단계의 지식 습득법을 소개한다.

울트라러닝, <열정의 배신> 칼 뉴포트가 처음 사용했다는 이 용어를 저자는 '지식과 기술을 얻기 위해 스스로 설계한 고강도 학습 전략'으로 정의한다. 우리는 여기서 '스스로'라는 단어에 먼저 주목해야 한다. 울트라러닝의 핵심이 자발성이기 때문인데, 많은 시간을 투입하는 것보다 자발적으로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했었다는 저자는 한국 학생들의 엄청난 학습 시간에 놀랐다 말하지만 동시에 그 공부가 과연 효율적인가에 대한 의문도 숨기지 않는다. 그렇다. 우리는 효율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시간은 공평하지만 상대적이기도 하다. 우리는 강도를 높여 몰입함으로써 시간을 지배할 수 있다. 이 극한의 훈련법은 MIT 4년 과정을 1년 만에 끝냈다는 저자나, 3개월마다 1개의 외국어를 마스터했다는 책 속 사례의 주인공처럼 특별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그렇게 필요한 기술을 효율적이고 유효하게 습득하는 능력은 학생들은 물론 바쁜 직장인들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 저자는 말한다. 누구나 시도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단지 하지 않을 뿐이라고. 이제 대범하게, 생각을 실행하는 일에 나서자. 그것이 아마도 울트라러닝의 0번째 법칙일 것이다. - 경영 MD 홍성원
이 책의 첫 문장
이제 몇 시간 남지 않았다. 새벽 동이 트고 햇빛이 건물들 사이로 쏟아지고 있었다.

이 책의 한 문장
법칙과 전술들 너머에는 울트라러닝 정신이 있다. 그중 하나는 자신의 공부에 대해 책임을 지는 정신이다.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 어떻게 배울지 결정하고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계획을 짜야 한다. 또한 이 프로젝트의 책임자는 자기 자신이므로 스스로 프로젝트의 결과에 궁극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이런 자세로 울트라러닝에 임한다면 이 규칙들을 제대로,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북트레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