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은 까마득히 높고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날마다 행동하는 일상 속에 있다. 조선시대 대학자 율곡 이이 선생에게 배우는 인생의 가르침 <격몽요결>은 조선시대 대학자 율곡 이이 선생이 후학 교육을 위해 마련한 정신수양서로서, 세상을 살아가는 데 올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서 배우고 깨우쳐야 할 10가지 덕목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수세기를 뛰어넘은 오늘날에도 소중한 생활 교육 지침서로서, 가정을 바로세우고 정의로운 사회 실현을 꿈꾸는 모든 현대인들의 가슴에 깊이 새길 만한 가르침이 있다.
정제원 (시인, 문학박사) : 교육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최근작 :<[큰글씨책] 순언> ,<순언> ,<답성호원> … 총 66종 (모두보기) 소개 :1536년, 중종 31년 강릉 오죽헌에서 이원수와 사임당 신씨의 아들로 태어나다.
1551년, 모친 신 부인의 상을 당하다.
1554년,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제하다. 이 해 3월에 금강산에 들어가 불가의 선학(禪學)을 탐구하다.
1555년, 속가(俗家)로 돌아오다.
1556년, 책문(策文) 시험을 보았는데 한성시(漢城試)에서 장원으로 뽑히다.
1557년, 성주목사(星州牧使)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결혼하다.
1558년, 예안으로 퇴계 선생을 찾아가다. 퇴계 선생과 더불어 학문을 강론하고 율시(律詩) 1편을 지어 드리다.
1561년, 부친 찬성공(贊成公)의 상을 당하자, 사임당 묘소에 합장하다.
1564년, 생원 진사과에 합격하고, 다시 명경과에 급제하여 호조좌랑을 제수받았다. 이때부터 관직 생활에 접어들었다.
1569년,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선조에게 바치다.
1571년, 해주에서 파주 율곡으로 돌아오다. 이조정랑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 해에 향약을 짓다.
1572년, 우계 성혼과 더불어 이기(理氣), 사단칠정(四端七情),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논하다.
1574년, 우부승지로 승진되고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올리다.
1575년,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지어 바치다.
1576년, 파주 율곡으로 돌아오다. 관직에서 은퇴할 것을 결심하다.
1577년, 『격몽요결(擊蒙要訣)』이 이루어지다. 초학자들의 학습을 위하여 저술한 책이었다.
1578년,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짓다.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에 견주어 지은 것이었다. 이때부터 원근의 학자들이 더욱 많이 찾아왔다. 이 해에 다시 「만언소(萬言疏)」를 올리다.
1579년, 『소학집주(小學集註)』가 완성되다.
1580년, 『기자실기(箕子實記)』를 편찬하다. 이 해 대사간으로 부름을 받고 나갔으나 사은(謝恩)하고 곧 돌아오다.
1582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세 번이나 사양했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이 해 7월에 「인심도심설」을 지어 바치다. 또 『김시습전』을 짓다. 8월에는 형조판서가 되고, 9월에는 의정부 우참찬이 되다.
1583년, 조정에 나아가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십만양병설’을 주장하다.
1584년, 정월 16일에 병환으로 한성 대사동에서 작고하다.
1610년, 선생과 퇴계 선생을 문묘에 배향하자고 주청하다.
1611년, 문집이 간행되다.
1624년, 문성(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지다.
최근작 :<초한별록> ,<신완역 몽구 -하> ,<명심보감> … 총 57종 (모두보기) 소개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나 예동사숙에서 한문을 공부하고 사서연역회 편집위원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위원 등을 지냈으며,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집필위원, 민족문화추진회 번역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사서삼경입문』, 『논어해설』, 『양명학이란 무엇인가』, 『학계선생약전』, 『윤봉길의사약전』 등이 있고, 역서로는 『삼국유사』, 『명심보감』, 『격몽요결』, 『공자가어』, 『징비록』, 『동의수세보원』, 『연려실기술』, 『양반전』, 『당의통략』, 『연암선집』, 『효경』, 『순오지』, 『부모은중경』, 『목련경』, 『오륜행실도』, 『동국붕당원류』...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나 예동사숙에서 한문을 공부하고 사서연역회 편집위원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위원 등을 지냈으며,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집필위원, 민족문화추진회 번역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사서삼경입문』, 『논어해설』, 『양명학이란 무엇인가』, 『학계선생약전』, 『윤봉길의사약전』 등이 있고, 역서로는 『삼국유사』, 『명심보감』, 『격몽요결』, 『공자가어』, 『징비록』, 『동의수세보원』, 『연려실기술』, 『양반전』, 『당의통략』, 『연암선집』, 『효경』, 『순오지』, 『부모은중경』, 『목련경』, 『오륜행실도』, 『동국붕당원류』, 『주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