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새롭고 독특한 문체'로 쓰인 작품에 수여되는 메디치상을 수상한 엠마뉘엘 베르네임은, 1985년 첫 작품 <잭나이프>를 출간할 당시부터 너무 짧고, 너무 간결하고, 너무나 건조한 문체의 독특한 작품으로 비평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마치 건축물 본연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모든 장식을 제거하고 최소한의 골격만 남기는 건축 기법 '브루탈리즘(brutalism)'을 연상케 하는 베르네임의 작품은 '100페이지의 미학'으로 불린다.
<나의 마지막 히어로>는 프랑스 문학의 독보적 존재로 자리매김한 엠마뉘엘 베르네임이 20년 동안 발표한 100쪽 남짓한 다섯 편의 소설 중 가장 마지막으로 발표된 것으로, 실제로 작가 자신이 가장 애착을 가진 작품이기도 하다. 앞서 출간된 바 있는 '엠마뉘엘 베르네임 소설 세트'의 연장이자, 100쪽 남짓한 짧은 소설의 마침표를 찍는 작품이다. 짧은 글 속에 녹아든 문학적 힘, 시퀀스처럼 효과적으로 정렬된 단락, 행간의 여백이 만들어내는 미학, 베르네임이 초점을 맞추는 줌렌즈에 따라 주인공의 눈에 비치는 작은 세계가 더욱 특별한 매력과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미니멀리스트로서 그녀의 재능을 다시금 확인케 한다. 책의 말미에는 「씨네21」의 이다혜 기자와 <코끼리는 안녕,>의 이종산 소설가가 작품을 읽고 난 후의 감상을 나눈 대담이 수록되어 있어 보다 풍부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나의 마지막 히어로> 외에도 베르네임의 작품 세계 전반을 아우르며 폭넓고 다양한 시각에서 흥미진진한 논의를 들려준다. 나의 마지막 히어로 ![]() : ‘두 번째 삶을 내 뜻대로 살아볼 기회가 생긴다면’ 이라는 상상을 현생에 실현하는 한 여성의 이야기. : 엠마뉘엘 베르네임, <록키3>에서 ‘호랑이의 눈’을 발견하고 소설의 영감을 얻다. 짧지만 완벽하고, 이지적이다. : 실베스터 스탤론이 한 소설의 히어로가 되다. :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강한 의지가 잠재되어 있던 여자와 그 여자의 계기가 되어준 청춘스타 록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