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로점] 서가 단면도
![]() |
박민정의 두번째 소설집. "IMF 이후 청년 세대의 여성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특화해 그려냈다"라는 평을 받으며 김준성문학상을 수상한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 이후 삼 년 만이다. 문지문학상 수상작인 '행복의 과학'을 포함해, 2014년 가을부터 2017년 봄까지 써내려간 일곱 편의 중단편소설은 그전보다 강력해진 목소리로 우리의 귀를 당긴다.
그 목소리는 특히 바로 지금, 국가와 시대를 초월하여 벌어지고 있는 여성혐오 문제와도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살인'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에서부터 '몰래카메라'와 같은 은밀한 폭력에 이르기까지, 박민정은 여성혐오와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소설 속으로 가져와 그간 '덜 시급한' 것으로 취급되어온 여성 문제를 전면으로 들고 나온다.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써내려간 <아내들의 학교>는 이 시대 여성 소설이 어떻게 다시 쓰일 수 있는가에 대한 가장 치열하고 설득력 있는 응답이다. 행복의 과학 _007 ![]() : 내가 몰랐던 나의 엄마, 아빠를 발견한다. 잊고 지낸 사촌언니, 중학교 선생님, 소식 끊긴 대학 선배, 기억하고 싶지 않은 동창을 발견한다. 세대와 시간, 공간을 과감하게 넘나들며 러시아 고려인이었다가 자이니치였다가 한국-일본 혼혈인으로 등장하던 그들이 어느새 2017년 대한민국을 살고 있는 평범한 내가 되는 순간을 경험한다. 방대하고 촘촘하다. 내게 이 책은 아주 예리하고 서늘한 ‘환상특급’ 시리즈다. : 『아내들의 학교』를 읽으며 당신은 이 소설집 속 여성들과, 이 소설집을 쓴 소설가와, 그해 죽은 여성들, 그녀들을 죽인 자들과 같은 시대에 살았음을 재차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이 한 권의 소설은 어떤 이들에게는 너무 현실적이어서 무서운 소설이고, 어떤 이들에게는 최선을 다해 상황을 알려주는 소설이며, 어떤 이들에게는 생전 한 번도 보지 못한 시선으로 앞장서 싸우려는 소설이다. 그러니까 박민정의 소설은 가장 빨리 도착한 지금 이 시대의 소설이자 가장 희망적인 종류의 소설이다.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겨레신문 2017년 9월 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