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에세이

이름:김형석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20년, 평안남도 대동군

최근작
2023년 6월 <[세트] 100세 철학자의 행복론 1~2 세트 - 전2권>

이 저자의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쎄인트s...
1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카알벨루...
2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Grac...
3번째
마니아

김형석

철학자, 수필가.
1920년 평안북도 운산에서 태어나 평안남도 대동군 송산리에서 자랐다. 평양 숭실중학교를 거쳐 제3공립중학교를 졸업했으며, 일본 조치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고향에서 해방을 맞이했고, 1947년 탈북하여 이후 7년간 서울중앙중고등학교의 교사와 교감으로 일했다. 1954년부터 31년간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봉직하며 한국 철학계의 기초를 다지고 후학을 양성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104세의 나이에도 방송과 강연, 집필 등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철학 개론』『철학 입문』『윤리학』『역사철학』『종교의 철학적 이해』 같은 철학서 외에도 『예수』『어떻게 믿을 것인가』『우리는 무엇을 믿는가』와 같이 기독교 신앙에 대한 성찰을 담은 책, 『영원과 사랑의 대화』『백세 일기』『남아 있는 시간을 위하여』『백년을 살아보니』『고독이라는 병』 등 사소한 일상사 속에서 작은 진리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현대인의 보편적 삶의 본질에 대해 성찰하는 에세이들을 펴냈다.  

출간도서모두보기

<100세 철학자의 인생, 희망 이야기> - 2019년 5월  더보기

나는 중고등학생 때 삼촌의 사과나무 과수원 속에 산 적이 있다. 그 당시의 사과나무는 크게 자란 거목들이었다. 언제나 나무의 가지, 잎사귀, 꽃들을 보았고, 가을이 되면 익어 가는 열매를 살피곤 했다. 한 번은 삼촌이 작은 묘목을 심으면서, 이 뿌리와 가냘픈 밑동의 생명 속에 저런 꽃들과 열매가 숨겨져 있다고 얘기했다. 긴 세월을 교육계에 몸담고 살아오면서 늦게 깨달은 바가 있다. 가장 소중한 교육은 인생의 뿌리와 밑동에 해당하는 시기라는 사실이다. 나 자신이 그렇게 자랐다. 중학교 때 동창이었던 윤동주는 시를 쓰는 것이 필생의 목적이었다. 그때는 병아리 시인이었던 그가 세상에 큰 울림을 남겼다. 작가 황순원도 그랬다.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작가로 살았다. H라는 일 년 후 배가 있었다. 그는 일찍부터 소아과 의사가 된다고 했다. 어려서 목숨을 잃는 어린애들을 많이 보았기 때문에 그 아까운 생명의 은인이 되고 싶었던 모양이다. 우리나라 소아과 의료계의 존경받는 선구자가 되었다. 지금도 나는 학생들에게 충고하는 때가 있다. 20대 전후가 되어서는 50~60대가 되었을 때 내가 어떤 직업을 갖고 봉사하는 사람이 될지 자화상을 그려 보라는 권고이다. 그 꿈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는, 성공과 실패에서는 물론 인생의 의미가 결정되는 것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학생이 되거나 성인이 된다는 것은 목적이 있는 삶의 출발에서 시작된다.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묻지 않는 사람은 자기 인생의 성공을 거둘 수가 없기 때문이다. 내가 오래전에 젊은 세대들을 위해 썼던 글은 그런 문제들을 취급한 내용이다. 목적이 희망이 되고 희망이 있었기에 용기를 갖추는 젊은이들을 키우고 싶었다. 최근의 많은 젊은이들은 우리에게도 장래가 약속되어 있는지를 묻는다. 희망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가 만들어 가야 한다. 옛날에 살았던 젊은이들은 더 어렵고 힘든 세월을 살았다. 그러면서도 오늘의 건설을 이루어 놓았다. 지금의 젊은 세대들은 아시아나 세계의 어떤 젊은이들보다도 장래가 뚜렷한 희망을 인정받고 있다. 용기와 봉사의 사명감만 있다면 보람 있는 장래는 주어져 있다고 믿는다. 오늘의 젊은 독자들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되길 기원한다.

- 철학계의 거장 100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독자들에게 드리는 글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